$\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예술교육 패싯 분류체계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et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3 no.3, 2009년, pp.197 - 219  

박옥남 (성균관대학교 사서교육원) ,  오삼균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세영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분야 분류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패싯 기반의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류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국내외 도메인 전문가와 분류전문가가 협력을 통해 분류시스템을 향상시켜 그 결과 13개의 메인 패싯과 다양한 하위 용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분류시스템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자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이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개념에 대한 문화적 격차를 해소시키는데 사용되기를 바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cknowledges the need for classification systems 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study constructs a face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this domain based on systematic methods. The study utilized iterative collaboration between domain experts and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ers. The c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수혜자 패싯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상세하게 아마추어 예술가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제공되기도 하지만, 학생이나 일반시민과 같이 광범위한 대상을 위해 제공되기도 하므로 학생 및 일반시민의 카테고리를 제공하고 학생은 어린이, 청소년, 영재로 구분하고, 일반시민은 아마추어 예술가, 학부모, 노인 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최근 장애우나 취약계층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제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을 반영하기 위하여 이를 추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를 설계하는데 앞서 기존의 알려진 분류체계를 조사하였다. 이는 분류체계 설계하는 원칙 중 기존의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상호 운용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며(Leonard 2004), 향후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가 다른 분야의 정보게이트와 연계하여 활용되게 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는 분류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메인 전문가와의 협력기반 반복적 설계를 채택하였다. 협력적 설계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진으로 국내외 도메인 전문가가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지식구조에 대한 기술을 담당하는 것을 물론 도메인 전문가와 분류전문가의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도메인 분석, 용어 추출, 패싯 추출하는 과정을 공유하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았으며, 이러한 협력을 통해 체계적인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분석틀을 구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방법론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패싯 분류 시스템를 설계하였으며, 시소러스에 기반하여 분류 시스템의 용어를 기술하여 분류 시스템의 효율적인 활용을 지원하는 것이다.
  • 유네스코는 수 년 전부터 문화예술교육 분야에 관계해 왔으며, 2005년에 네 차례에 걸친 회의를 소집하였다. 이 회의는 21세기의 젊은 세대들이 창의적 능력을 구축할 필요성을 확정하고 모든 사회 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2006년 리스본에서 열린 유네스코 회의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과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실천적 틀, 즉 로드맵(Road Map)(UNESCO 2006)을 설계하였다. 유네스코 로드맵은 예술교육을 위한 종합 접근법, 교육학 자료, 예술교육의 목표, 예술교육의 주요 개념을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분류 시스템을 설계함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의 지식구조를 확립하고 이 분야의 정보공유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이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2010년 제2차 유네스코 예술교육 세계대회 한국개최를 앞두고 문화예술교육 분석틀 구축을 계획하였으며, 본 연구진이 연구를 통해 국제적으로 소통 가능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분류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류체계는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정보게이트웨이 구축의 기본 분석틀을 마련하여 국제적 수준의 정보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도메인의 기본구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메인의 개념 틀로써 이 분야 이용자로 하여금 도메인의 주요 개념및 용어, 주요 용어에 대한 학습도구의 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설정

  • 확실성(Ascertainability): 패싯은 명확하고 확실해야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를 설계하는데 앞서 기존의 알려진 분류체계를 조사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를 설계하는데 앞서 기존의 알려진 분류체계를 조사 하였다. 이는 분류체계 설계하는 원칙 중 기존의 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상호 운용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며(Leonard 2004), 향후 문화예술교육 분류체계가 다른 분야의 정보게이트와 연계하여 활용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분류체계는 도메인의 지식구조를 가장 잘 표현하는 자원 중 하나이므로 도메인 분석에 필수 요소이다(Hjørland and Albrechtsen 1995). 분류체계 조사를 위해 서지분류체계를 비롯하여 책이나 웹사이트의 개요, 목차, 구조 등을 참고 하였고, 본 장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도메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대표적인 분류체계를 기술하였다.
창의적 일람표는 무엇인가? 창의적 일람표(COMPENDIUM Initiative)는 유럽회의(the Council of Europe)가 문화정책 비교연구를 위한 유럽연구소(ERICarts)를 위시한 4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참여한 많은 문화 정책 전문가들과 공동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각국의 주요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항목을 표현한 구조이다. 이는 웹에 기반하고 유럽에서의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주요 회의, 활동, 프로그램, 방법 등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유럽 글로서리가 시작된 목적은 무엇인가? 공무원 유럽연합 네트워크(the EU-wide network of civil servants)에서 2005년부터 진행되어 온 유럽 글로서리는 유럽 국가의 문화예술 교육 정책 담당자의 도메인 이해를 높이고, 이 분야 전문가 간 파트너십을 지향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현재 유럽 글로서리는 다음 <표 2>와 같이 카테고리(문화예술교육의 콘텐트, 문화예술 교육 정책, 문화예술교육 행위자 및 에이전트), 국가, 교육레벨의 체계를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병준. 2007.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비판적 재구성과 미래전망: 문화정책과 교육정책의 불완전한 통합을 넘어서. "문화정책논의", 17: 9-38. 

  2. Aitchison, J., Gilchrist, A., & Bawden, D. 2000. Thesaurus construction and use: a practical manual. Chicago: Fitzroy Dearborn Publishers. 

  3. Bamford, A. 2006. The WOW-Factor. Germany: Waxmann Verlag GmbH. 

  4. Bishoff, L., & Meagher, E.S. 2004. “Building Heritage Colorado: The Colorado digitization experience." Metadata in Practice. Diane I. Hillmann, & Elaine L. Westbrooks. ed.,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7-36. 

  5. Broughton, V. 2006. “The need for a faceted classification as the basis of all methods of information retrieval.” Aslib proceedings, 58(1/2): 49-72. 

  6. Chiu, M. L. 2002. “An organizational view of design communication in design collaboration." Design Studies, 23(2): 187-210. 

  7. Foster, A., & Ford, N. 2003. “Serendipity and information seeking: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Documentation, 59(3): 321 - 340. 

  8. Gilchrist, A. 2000. “Taxonomies for business: description of a research project." [online]. [cited 2009.8.10]. . 

  9. Hjorland, B., & Albrechtsen, H. 1995. “Toward a New Horizon in Information Science: Domain-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6(6): 400-425. 

  10. Kwasnick, B. H. 1999. “The Role of Classification in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Discovery." Library Trends, 48(1): 22-47. 

  11. Leonard, W. 2004. “Thesaurus Consultancy."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7(3-4): 75-85. 

  12. Ranganathan, S. R. 1967. Prolegomena to library classification. New York: Asia Publishing House. 

  13. Spiteri, L. 1998. “Simplified Model for Facet Analysis."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3: 1-30. [online]. [cited 2009.8.15]. . 

  14. Sutton, S.A. 2004 “Digital Library Infrastructure: Metadata and the Education Domain." Metadata in Practice. Diane I. Hillmann, & Elaine L. Westbrooks. ed.,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16. 

  15. Trigg, R., & Clement, A. 2000. CPSR- participatory design. [online]. [cited 2009.8.10]. . 

  16. Uschold, M., & Gruninger, M. 1996. “Ontologies: Principles, Methods and Applications." Knowledge Engineering Review, 11(2). 

  17. Wimmer, M. 2009. Reflecting on the Domain of Arts Education. [online]. [cited 2009.8.10]. . 

  18. Woods, E. 2004. Building a corporate taxonomy: Benefits and Challenges. [online]. [cited 2009.8.15]. . 

  19. Wyllie, J., Skyrme, D. J., & Lelic, S. 2003. Taxonomies: frameworks for corporate knowledge: the shape of things to come. London, UK: Ark Group. 

  20. Art & Architecture Thesaurus. [online]. . 

  21. Compendium Initiatives for Cultural Policies and Trends in Europe. [online]. 

  22. Epicurious. [online]. . 

  23. ERIC Thesaurus(Education Resources Information Center) [online]. . 

  24. European Glossary. [online]. . 

  25. UNESCO Road Map for Arts Education. 2006. [onlin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