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랭지 지역에서 재배한 녹두 품종들의 항산화 활성 및 아미노산 조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Amino Acid Components of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29 no.4, 2010년, pp.381 - 387  

진용익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홍수영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김수정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옥현충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연구운영과) ,  이예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남정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윤영호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정진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이순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고령지농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랭지 재배된 녹두의 항산활활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GABA함량이 품종 간 그리고 나물 이용 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항산화활성 분석에서 '장안' 녹두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물의 활성이 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물의 기능성 관련 지표로 이용되는 총페놀 함량을 분석한 결과 고랭지 재배 녹두의 종실에 함유된 총페놀 함량은 $1,186-1,493\;{\mu}g\;g^{-1}$ 범위를 보였고, 나물은 $2,321-2,783\;{\mu}g\;g^{-1}$으로 분석되어 종실을 나물로 이용 시 총페놀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실의 아미노산 함량 분석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소선' 녹두의 함량이 높았다. 이들 아미노산 함량은 녹두나물 제조 시 현저히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Valine과 arginine의 함량이 700mg $100g^{-1}$ 이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두는 독특한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 금후 새로운 대체작물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antioxidant activity,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s including GABA(gama-amino butyric acid) among mungbean cultivars grown in Highland area (Jinbu) and to compare those between seeds and sprouts. In DPPH (diphenyl picrydrazyl) radical scaven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랭지 재배된 녹두의 항산활활성 및 유리아미노산 등 기능성물질로 알려진 GABA함량이 품종 간 그리고 나물 이용 시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항산화활성 분석에서 '장안' 녹두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물의 활성이 종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에서는 고랭지재배 녹두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와 나물의 항산화 활성도와 유리아미노산 조성을 살펴보고 GABA 함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녹두의 고랭지 재배 후 고부가가치 기능성 작물로의 발전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두의 단백질 함량은? 녹두는 다른 콩과 작물과 마찬가지로 풍부한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콩의 단백질 함량 41.3% 보다는 낮으나 21.2%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갖고 있다(Kang et al., 1971).
녹두의 분류학적 위치는? 녹두(Vigna radiata L. Wilczek)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며 식미가 독특하여 콩과작물 중 콩, 팥 다음으로 이용도가 높고, 식용 뿐 아니라 약용으로도 이용되어 왔다(Ko et al., 1982).
녹두는 식용으로는 어떤 형태로 이용되는가? , 1982). 식용으로는 녹두전, 묵(청포묵), 죽, 전병, 숙주나물 형태로 이용된다(Kim et al., 198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 S. H., Kwon, O. S., Kwon, H. B., Kim, S. Y., Kim, W. S., Kim, C. K., Park, S. S., Bae, J. H., Lee, C. J., Chang, S. H., Jeong, H. S., Choi, J. W., 2007. Concepts in Biochemistry, pp.597-600, third ed. Worldscience, Korea. 

  2. Choi, K. S., Kim, Z. U., 1985.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germination of mung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7(4), 271-275. 

  3. Chung, I. M., Kim, S. H., 2004.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Crop Sci. 49(spc1), 43-50. 

  4. Hong, D. O., Jeon, S. H., Lee, C. W., Kim, H. Y., Kang, J. H., 2008.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color mungbean sprouts affected by water supplying on the harvest day, Korean J. Crop Sci. 53(1), 28-33. 

  5. Hyon, S. W., Ko, M. S., Song, C. H., Kang, Y. K., 1992. Effects of row spacing on growth and yield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37(4), 335-338. 

  6. Jung, B. M., Roh, S. B., 2004.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 132-139. 

  7. Kang, J. H., Ryu, Y. S., Yoon, S. Y., Jeon, S. H., Jeon, B. S., 2004. Growth of mungbean sprouts and commodity temperature as affected by water supplying methods, Korean J. Crop Sci. 49(6), 487-490. 

  8. Kang, Y. H., Lee, J. O., Chung, H. B., Lee, K, Y.,1971. A study on nitrogen compounds and the vicissitude of free amino acids in mungbean staute, Korean J. Nutrition 4(1), 63-67. 

  9. Kim, B. J., Kim, J. H., Hoe, M. Y., Kim, H. P., 1998.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mungbean, Cosmetics and Toiletries magazine 113, 71-74. 

  10. Kim, D. K., Chon, S. U., Lee, K. D., Kim, J. B., Rim, Y. S., 2008.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3), 279-284. 

  11. Kim, D. K., Choi, J. G., Lee, Y. S., Son, D. M., Moon, J. K., Oh, Y. J., Kim, K. H., 2009a. A new mungbean clutivar, “Dahyeon” with many pod and high yielding, Korean J. Breed. Sci. 41(1), 36-39. 

  12. Kim, D. K., Park, G. R., Shin, S. H., Han, W. Y., Oh, K. W., Choi, Y. M., Na, Y. W., Ko, H. C., Gwak, J. K., Cho, G. T., 2006. Mungbean. RDA. 

  13. Kim, D. K., Son, D. M., Chon, S. U., Lee, K. D., Kim, K. H., 2009b. Phenolic compounds content and DPPH, ADH, ALDH activities of mungbean sprout based on growth temperature, Korean J. Crop Sci. 54(1), 1-6. 

  14. Kim, K. J., Kim, K. H., Kim, Y. H., 1981.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Korean J. Crop Sci. 26(3), 243-250. 

  15. Kim, S.H., Song, H. K., Ahn, J. K., Kim, J. T., Hahn, S. J., Chung, I. M., 2004. Changes of phenol compounds according to storing years in soybean. Korean J. Crop Sci. 49(2):82-88. 

  16. Kim, Y. S., Han, Y. B., Yoo, Y. J., Jo, J. S., 1981.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mung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13(2), 146-152. 

  17. Kinnersley, A. M., Turano, F. J., 2000. Gamma aminobutyric acid(GABA) and plant response to stress. Crit. Rev. Plant Sci. 19, 479-509. 

  18. Ko, M. S., Park, B. H., Rhee, H. J., 1982. A study on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mungbean during the ripening process, Korean J. Nutrition & Food. 11(3), 75-79. 

  19. Ko, M. S., Park, B. H., 1983. Changes of sugar contents of mungbean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 Nutrition. 12(3), 236-239. 

  20. Ko, M. S., Lee, Y. B., 1988. The effects of ultrasonic irradiation on germination of mungbean, J. Korean Soc. Food Nutr. 18(2), 153-159. 

  21. Lim, S. D., Kim, K. S., 2009.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1), 45-51. 

  22. Myung, J. U., Hwang, I. K., 2008. Func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extracts, Korea Soybean Digest 25(1), 23-29. 

  23. Oh, S. H., Moon, Y. J., Oh, C. H., 2003. $\gamma$ -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Selected Uncooked Foods. Nutraceuticals & Food. 8, p.75-78. 

  24. Oh, S. H. 2007. Effects and application of germinated brown rice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Food Sci. Industry 40, 41-46.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1999. Recommended Standard Fertilization for Crops, RDA, Korea. 

  26. Singleton V. 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 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s in Enzymology. 299, 152-178. 

  27. Zhuang, X. P., Lu, Y. Y., Yang, G. S., 1992. Extraction and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gingko, Chinese Herbe Med. 23,122-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