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식호흡 운동이 비만 대학생의 체중, 체지방률, BMI, 복부 비만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bdominal Breathing Exercise on Weight and Body Fat, BMI, Waist Hip Ratio in Obese College Studen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2 = no.128, 2010년, pp.1867 - 1871  

곽이섭 (동의대학교 체육학과) ,  김영일 (영산대학교 스포츠건강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을 20명을 대상으로 AB spur를 착용하고 12주 복식호흡 운동을 함에 따라 신체적 특성및 체지방률(% body fat), 체질량지수(BMI), 복부 비만율(Waist/Hip ratio)의 변화를 검증하여 비만과 관련되어 복식호흡의 중요성 강조 및 비만관련 인자 감소에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모두 D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상자(총 20명; 남: 3 명, 여: 17명)들로 문진을 통하여 사전과 현재 병력을 조사하여 의학적으로 질환이 없는 대상자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복식호흡기기를 이용한 복식호흡훈련을 충분히 숙지 시킨 후에 하루 6시간, 12주간 매일 착용하게 하였다. 복식호흡 방법은 크게 들이쉬기(2~3초), 숨정지(1~2초), 내쉬기(약 4~5초) 순서로 하였으며, 정확한 호흡을 유도하기 위하여 AB spur를 착용하고, 숨을 들어 마시며 복부를 최대한 내밀어준다. 본 연구결과 12주 복식호흡 훈련은 체중 및 체지방률, BMI, 복부 비만도를 유의하게(p<0.05) 감소시켰고 이는 비만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결과라 사료된다. 추후 운동과 더불어 비만자에 있어 이러한 복식호흡의 중요성을 강조하면 비만에 따른 체중 및 체지방 감소에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abdominal breathing exercises, through AB spur, on weight and BMI, % body fat, and waist-hip ratio in healthy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20 obese young college students, and all of whom had no other health com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건강한 성인 20명(남 3, 여17)을 대상으로 AB spur를 착용하고 12주 복식호흡 운동을 함에 따라 신체적 특성 및 체지방률(% body fat), 체질량지수(BMI), 복부 비만률(Waist/Hip ratio)의 변화를 알아보고 복식호흡이 비만판정과 관련된 요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험에서 실시한 복식호흡 방법은 어떻게 되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복식호흡기기를 이용한 복식호흡훈련을 충분히 숙지 시킨 후에 하루 6시간, 12주간 매일 착용하게 하였다. 복식호흡 방법은 크게 들이쉬기(2~3초), 숨정지(1~2초), 내쉬기(약 4~5초) 순서로 하였으며, 정확한 호흡을 유도하기 위하여 AB spur를 착용하고, 숨을 들어 마시며 복부를 최대한 내밀어준다. 본 연구결과 12주 복식호흡 훈련은 체중 및 체지방률, BMI, 복부 비만도를 유의하게(p<0.
비만이 가져올 수 있는 건강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3%는 과체중이거나 비만이라고 할 수 있다[15]. 건강에 좋지 않은 수많은 결과들은 비만과 제2형 당뇨(T2DM)와 관련 되어 있으며[14] 비만은 만성 대사질환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질환과 우울증을 수반한다[7]. 이렇듯 비만은 우리나라에서도 성인 뿐만 아니라 청소년 비만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어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n, J. D. 2003. The effect of taekwondo player's stress decrease on abdominal breathing and meditation program. J. Korean Soc. Study Phy. Edu. 8, 172-187. 

  2. An, S. E. 2008. Effect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and labor time in primipara women. Korean J. Wom. Heal. Nurs. 14, 196-204. 

  3. Benson, H. 1975. The relaxation response. NY: William Morrow & Co. 

  4. Bodenlos, J. S., S. Kose, J. J. Borckardt, Z. Nahas, O'Neil. PM. Shaw, S. L. Pagoto, and M. S. George. 2007. Vagus nerve stimulation and emotional responses to food among depressed patients. J. Diabetes. Sci. Technol. 1, 771-779. 

  5. Chang, S. B., H. S. Kim, Y. H. Ko, C. H. Bae, and S. E. An. 2009. Effect of abdominal breathing on anxiety, blood pressure, peripheral skin temperature and saturation oxygen of pregnant women in preterm labor. Korean J. Wom. Heal. Nurs. 15, 32-42. 

  6. Cigaina, V. 2002. Gastric pacing as therapy for morbid obesity: preliminary results. Obes. Surg. 12, 12S-16S. 

  7. Fitzgibbon, M. L., M. R. Stolley, and D. S. Kirschenbaum. 1993. Obese people who seek treatment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than those who do not seek treatment. Health Psychol. 12, 342-345. 

  8. Fried, R. 1986. The hyperventilation syndrome: research & clinical treatment. Baltimore, The Johns Hopkins Univ press. 

  9. Jung, I. K. and J. W. Yoon. 2006. Human performance & exercise physiology. pp. 187, 3th eds., Dae Kyong books. Seoul. 

  10. Kang, S. J., S. Y. An, B. S. Sin, Y. E. Choi, J. Y. Youn, B, H. Lee, C. K. Kim, J. S. Yang, and B. W. Joe. 1987. Effect of performance on danjeon breathing and oriental medicine administration. J. Korean Fitn. Sci. 2, 1-21. 

  11. Kim, G. S. and Y. H. Song. 1993. Relaxation therapy for pain control. Korean Acad. Craniomandibular Disorders 5, 1-5. 

  12. Kim, K. 2006. Effect of diaphragmataic breathing on activation of trunk muscle of normal healthy people. Korean Spor. Resear. 17, 545-554. 

  13. Kim, K. S., S. W. Lee, M. A. Choe, M. S. Yi, S. Choi, and S. H. Kwon. 2005. Effect of abdominal breathing using biofeedback on stress, immune respons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 mastectomy for breast cancer. J. Korean Acad. Nurs. 35, 1295-1303. 

  14. Mokdad, A. H., E. S. Ford, B. A. Bowman, W. H. Dietz, F. Vinicor, V. S. Bales, and J. S. Marks. 2003. Prevalence of obesity, diabetes, and obesity-related health risk factors, 2001. JAMA 289, 76-79. 

  15. Ogden, C. L., M. D. Carroll, L. R. Curtin, M. A. McDowell, C. J. Tabak, and K. M. Flegal. 2006.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1999-2004. JAMA 295, 1549-1555. 

  16. Pardo, J. V., S. A. Sheikh, M. A. Kuskowski, C. Surerus-Johnson, M. C. Hagen, J. T. Lee, B. R. Rittberg, and D. E. Adson. 2007. Weight loss during chronic, cervical vagus nerve stimulation in depressed patients with obesity: an observation. Int. J. Obes. 31, 1756-1759. 

  17. Piper, A. J. and R. R. Grunstein. 2010. Big breathing: the complex interaction of obesity, hypoventilation, weight loss, and respiratory function. J. Appl. Physiol. 108, 199-205. 

  18. Renault, J. A., R. Costa-Val, M. B. Rosseti, and M. H. Neto. 2009. Comparison between deep breathing exercises and incentive spirometry after CABG surgery. Rev. Bras. Cir. Cardiovasc. 24, 165-172. 

  19. Roslin, M. and M. Kurian. 2001. The use of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vagus nerve to treat morbid obesity. Epilepsy Behav. 2, S11-S16. 

  20. Rush, A. J., H. A. Sackeim, L. B. Marangell, M. S. George, S. K. Brannan, S. M. Davis, P. Lavori, R. Howland, M. A. Kling, B. Rittberg, L. Carpenter, P. Ninan, F. Moreno, T. Schwartz, C. Conway, M. Burke, and J. J. Barry. 2005. Effects of 12 months of vagus nerve stimulation in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a naturalistic study. Biol. Psychiatry 58, 355-363. 

  21. Rush, A. J., L. B. Marangell, H. A. Sackeim, M. S. George, S. K. Brannan, S. M. Davis, R. Howland, M. A. Kling, B. R. Rittberg, W. J. Burke, M. H. Rapaport, J. Zajecka, A. A. Nierenberg, M. M. Husain, D. Ginsberg, and R. G. Cooke. 2005. Vagus nerve stimulation for treatment-resistant depression: a randomized, controlled acute phase trial. Biol. Psychiatry 58, 347-354. 

  22. Segal, N. A., J. Hein, and J. R. Basford. 2004. The effect of Pilates training on flexibility and body composition. Arch. Phys. Med. Rehabil. 85, 1977-1981. 

  23. Shim, J. O. and S. B. Chang. 2006. Effect of abdominal breathing on preterm labor anxiety. Korean J. Wom. Heal. Nurs. 12, 106-114. 

  24. Weiner, P., J. Waizman, M. Weiner, M. Rabner, R. Magadle, and D. Zamir. 1998. Influence of excessive weight loss after gastroplasty for morbid obesity on respiratory muscle performance. Thorax. 53, 39-42. 

  25. Westerdahl, E., B. Lindmark, T. Eriksson, O. Friberg, G. Hedenstierna, and A. Tenling. 2005. Deep-breathing exercises reduce atelectasis and improve pulmonary function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Chest 128, 3482-3488. 

  26. Yu, S. J. and M. S. Song. 2001. The effects of abdominal relaxed breathing training on stress response and blood pressure for elderly hypertension patient. J. Korean Acad. Nurs. 31, 998-1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