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해 가두리 양식장용 먹이공급시스템
Feed supply system for Fish farm in Ocean Sea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4 no.10 = no.156, 2010년, pp.793 - 797  

오진석 (한국해양대학교 선박전자기계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해의 어족자원 고갈 및 수질오염은 수산양식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해에서 외해로 양식장이 이동하고 있다. 외해 양식장은 근해보다 해상환경에 강인하게 개발되어야 하며, 안정적인 양식장 운영을 위해 원격 자동먹이 공급장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해상의 양식장에 적합한 원격 먹이공급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어류는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를 먹는 양이 변화한다. 해상 양식장의 경우 육상에 비하여 온도 변화가 크게 일어난다. 본 논문은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라 먹이량을 계산하고 자동으로 먹이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모형을 활용한 먹이 공급 장치의 성능을 실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pleting fishes resource and water pollution in coast has a decisive effect on the fish farm and fisheries.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fish farms are moving to the offshore. The fish farms in offshore have to design the strong mechanism as compared with cost's fish farm, and operate b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먹이 공급 장치의 수온을 측정하여 수온 값 변화에 따라 양식장용 자동 먹이 공급 장치가 정상 동작하는 지를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실험은 제어 시스템을 제외한 부분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실험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한 부이식 외해 가두리양식장에 적합한 원격 먹이공급시스템 연구결과를 기술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외해 양식장에서 사용되는 자동 먹이 공급 장치 시스템을 구성하고 수온 및 어체 중량에 따른 먹이 공급량을 계산하여 실제로 정량의 먹이가 공급되는지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일정한 범위 내에서 계산된 먹이량을 투여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상에서 분무 혹은 투기의 방식의 단점은? 현재 외해가두리 양식장에 적용되고 있는 먹이공급시스템은 부력체에 의하여 부양된 상태이므로 해상에서 분무 혹은 투기의 방식으로 먹이를 뿌려주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 방식의 단점은 일단 투여된 먹이는 자중에 의하여 해중(海中)에서 일정시간 부유하다가 흡수되면서 해저로 침착하는 형태로서 어류가 먹지 않고 유실되는 양이 많게 되고, 그 만큼 필요 이상의 먹이를 공급하여야 하며, 특히 이들이 오염의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국립 수산과학원, 2007)
자동 먹이공급시스템의 단점은? 다른 방식으로는 해상 부유물에 밸브, 도관, 펌프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주기와 양으로 먹이를 해저 면에 공급되도록 하는 자동 먹이공급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원거리에서 먹이의 공급량 및 공급시간을 제어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중에 설치된 가두리의 경우에는 필요한 먹이를 잠수부에 의하여 공급하여야 하므로 생산원가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김, 2007)
주로 외해가두리 양식장에 적용되고 있는 먹이공급시스템은 무엇인가? 현재 외해가두리 양식장에 적용되고 있는 먹이공급시스템은 부력체에 의하여 부양된 상태이므로 해상에서 분무 혹은 투기의 방식으로 먹이를 뿌려주는 형태가 대부분이다. 이 방식의 단점은 일단 투여된 먹이는 자중에 의하여 해중(海中)에서 일정시간 부유하다가 흡수되면서 해저로 침착하는 형태로서 어류가 먹지 않고 유실되는 양이 많게 되고, 그 만큼 필요 이상의 먹이를 공급하여야 하며, 특히 이들이 오염의 근본 원인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국립 수산과학원, 양식 사료용 연구 센터(2007), 넙치양식 지침서 표준안. 

  2. 김경민(2007) “외해가두리를 이용한 돌돔 시험 양식과 적정사료공급을 위한 기반 연구”,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오진석, 곽준호, 정성재, 함연재, 이지영(2008) “ 외해 가두리 양식장 데이터 분석 및 원격 감시 시스템 개발”, 한국마린엔지니어링 학회지 제 32권 제 1호, pp153-161 

  4. 오진석, 조관준(2009), “양식장용 자동 먹이 공급시스템 설계”,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 33권 제 10호, pp709-713 

  5. 이강헌, 메카트로닉스를 위한 모터제어기술, 성안당, 1992 

  6. Avnimelch, Y, M. Kochva, and S. Dia (1994), "Development of controlled intensive aquaculture systems with a limited water exchange and adjusted carbon to nitrogen ratio", Israel Jounal of aquaculture-bamidgeh 46, pp119-131 

  7. Tacon, A. and Jackson, A. J,(1985) In Nutrition and Feeding in Fish (eds Cowey, C.B., Mackie, A. M. and Bell, J. G.), Academic Press, London, 1985, pp. 119-1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