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 부산물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남해군에서 깐마늘 가공 후 생산되는 마늘껍질을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전후의 마늘껍질을 물과 80% 에탄올로 각각 추출하여 항산화능아질산염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발효 후 마늘껍질의 무기물 총량은 2,056.23 mg/100 g이었으며, 발효 전보다 약 1.5배 정도 증가되었다. 총 페놀 함량은 발효 후 마늘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발효 전후 마늘껍질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 중 전자공여능, 환원력NO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 후의 에탄올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활성이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발효 전보다 발효 후, 에탄올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에서 더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발효여부에 따른 유의차가 적었다. 따라서 발효과정을 거친 마늘껍질은 항산화능이 증가되어 가축의 사료로써 이용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ossibility for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garlic husk and its products ferment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Each water and 80% ethanol extracts made from garlic husk and its fermented products were tes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Total mineral co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늘껍질의 폭넓은 활용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마늘껍질과 마늘껍질 발효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늘은 어떤 기능을 가진 식물류인가? 마늘(Allium sativum L.)은 황화합물에 기인한 항균활성, 항암, 항혈전성, 혈압강하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노화방지 작용 및 항산화능을 가진 식물류이다(1,2). 마늘은 구근을 이용하는 채소이므로 지상부의 마늘 대와 잎, 그리고 마늘껍질은 모두 부산물에 해당되는데, 이들 마늘 부산물 중에는 폴리페놀 및 섬유소의 함량이 높고, 마늘과 유사한 항균활성이 있어 가축에게 급이할 경우 항생제에 대한 대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
마늘껍질의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생마늘에 비해 몇 배 더 높은가? 마늘껍질은 육질에 비해 식이섬유의 함량은 약 4배(4),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 7배 정도가 더 높고(5), 효소적 가수분해물에는 ρ-coumaric acid, ferulic acid 및 sinapic acid 등의 기능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또한 페놀, 플라보노이드, β-카로텐, 비타민 C 및 비타민 E 등의 항산화 성분이 존재하며(4), 항산화 활성의 지표가 되는 유리라디칼 소거능은 생마늘에 비해 1.5배 더 높아(5) 마늘 육질에 못지않은 생리활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마늘 부산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은 황화합물에 기인한 항균활성, 항암, 항혈전성, 혈압강하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노화방지 작용 및 항산화능을 가진 식물류이다(1,2). 마늘은 구근을 이용하는 채소이므로 지상부의 마늘 대와 잎, 그리고 마늘껍질은 모두 부산물에 해당되는데, 이들 마늘 부산물 중에는 폴리페놀 및 섬유소의 함량이 높고, 마늘과 유사한 항균활성이 있어 가축에게 급이할 경우 항생제에 대한 대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 마늘껍질은 육질에 비해 식이섬유의 함량은 약 4배(4),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약 7배 정도가 더 높고(5), 효소적 가수분해물에는 ρ-coumaric acid, ferulic acid 및 sinapic acid 등의 기능성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eak KH, Kim SS, Tak SB, Kang BS, Kim DH, Lee YC. 

  2. Byun PH, Kim WJ, Yoon SK. 2001. Changes of functional 

  3. Kim MH. 1996.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arlic (Allium 

  4. Shin SH, Kim MK. 2004. Effect of dried powders or ethanol 

  5. Nuutila AM, Puupponen-Pimia R. 2003.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onion and garlic extracts by inhibition 

  6. Schmidtlein H, Herrmann K. 1975. On the phenolic acids of vegetables. IV. Hydroxycinnamic acid and hydroxybenzoic acids of vegetables and potatoes. Z Lebensm Unters Forsch 159: 255-263. 

  7. Planning and conducting the crop production survey. 2009. 

  8. Planning and conducting the agricultural & livestock production 

  9. Hameed BH, Ahmad AA. 2009. Batch adsorption of methylene blue from aqueous solution by garlic peel, an agricultural waste biomass. J Hazard Mater 164: 870-875. 

  10. Kim YJ, Kim BK. 2005. Effect of dietary persimmon peel powd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39-44. 

  11. Kim YJ. 2005. Effect of dietary dried persimmon by-product on broiler performance and fatty acid contents in chicken meat. Korean J Poult Sci 32: 165-170. 

  12. Piao LG, Yun MS, Ju WS, Long HF, Park HY, Kim YY. 2006. Effects of fermented food waste supplementation of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in pig. J Anim Sci Technol 48: 361-374. 

  13. Park JH, Song YH. 1997. Non-ruminant nutrition: nutritive values of Korean medical herb residue as dietary supplements for broiler chicks. Korean J Anim Nutr Feed 21: 59-64. 

  1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15. Chung MJ, Shin JH, Lee SJ, Hong SK, Kang HJ, Sung NJ. 1998. Chemical compounds of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ion, Phyteuma japonicum Miq. Korean J Food Nutr 11: 437-443. 

  16. Wang YC, Chuang YC, Hsu HW. The flavonoid, carotenoid and pectin in peels of citrus cultivated in Taiwan. Food Chem 106: 277-284. 

  17.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8.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nthnopharmacol 71: 109-114.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0.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 apanese J Nutr 44: 307-315. 

  21.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2. Song HS, Moon KY. 2006.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profiles of β-glucans isolated from yeast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IS2. Food Sci Biotechnol 15: 437-440. 

  23. Kato H, Lee J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4. Kim SH, Byun SH, Lee SM, Hwang JH, Jeon BT, Moon SH, Sung SH. 2007. Effects of supplementation period and levels of fermented mineral feed (power-mix) on the growth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 Korean J Food Sci Ani Res 27: 450-456. 

  25. Kang HK, Kang CH, Kim DW, Na JC, Yu DJ, Lee SJ, Kim SH. 2008. Effects of feeding high and low Ca additive on laying performance and egg quality in laying hens. J Anim Sci Technol 50: 799-806. 

  26. Hyon JS, Kang SM, Han SW, Kang MC, Oh MC, Oh CK,Kim DW, Jeon YJ, Kim SH. 2009. Flavonoid component chang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ermented Citrus grandis Osbeck pe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310-1316. 

  27. Uda Y, Osawa Y, Takayama M, Suzuki K, Maeda Y. 1988. Free soluble bound phenolic acids in some cruciferous vegetables.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5: 360-366. 

  28. Hwang JH, Song YO, Cheigh HS. 2000.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29. Park JW, Lee YJ, Yoon S. 2007. Total flavonoids and phenolics in fermented soy products and their effects on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ifferent assays. Korean J Food Culture 22: 353-358. 

  30. Ichikawa M, Ryu K, Yoshida J, Ide N, Kodera Y, Sasaoka T, Rosen RT. 2003. Identification of six phenylpropanoids from garlic skin as major antioxidants. J Agric Food Chem 51: 7313-7317. 

  31.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32. N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33. David AW, Ljubuncic P. 2001. Oxidative stress and vascular smooth muscle cell function in liver disease. Pharmacol Therape 89: 295-308. 

  34. Ding AH, Nathan CF, Stuhr DJ. 1988. Release of 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s and reactive oxygen intermediates from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Comparison of activating 

  35. Nuttakaan L, Viboon R, Nantaya C, Janusz MG. 2006.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garlic and shallot preparations. Nutrition 22: 266-274. 

  36. Pedraza-Chaverri J, Medina-Campos ON, Segoviano-Murillo S. 2007. Effect of heating on peroxynitrite scavenging capacity of garlic. Food Chem Toxicol 45: 622-627. 

  37. Pe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so compounds. J Sci Food Agric 26: 1761-1766. 

  38. Choi SY, Chung MJ, Lee SJ, Shin JH, Sung NJ. 2007. N-nitrosamine 

  39.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Lee SJ, Sung N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Nutr 17: 237-2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