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비량이 많은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해 국외기준과 비교하여 그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전국에서 재배되어 서울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 20종 300건을 2009년 1월부터 10월까지 구입하여 중금속 8종(수은, 납, 카드뮴, 비소, 크롬, 니켈, 구리, 아연)을 수은분석기 및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의 분해는 산분해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장비로 사용된 ICP-OES 및 수은 분석기의 검출한계와 정량한계는 각각 0.0002~0.0018 mg/kg 및 0.0009~0.0065 mg/kg으로 감도가 높았다. 채소류 중 중금속 함량[평균(최소~최대), mg/kg]은 수은 0.0005(N.D~0.007), 납 0.011(N.D~0.259), 카드뮴 0.012(N.D~0.188), 비소 0.002(N.D~0.142), 크롬 0.100(0.019~0.954), 니켈 0.093(0.003~1.231), 구리 1.098(0.072~36.29), 아연 3.480(0.485~21.3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 중 수은, 납, 카드뮴, 비소, 구리, 그리고 아연은 기존 연구들과 유사하였으며 크롬, 니켈은 낮은 수준이었다. 납과 카드뮴의 경우 채소류 중 중금속 기준을 초과한 것은 한 건도 없었다. 또한 2005년 국민영양조사 결과보고서의 1일 섭취량을 근거로 FAO/WHO의 중금속 잠정주간섭취허용량과 비교하면 Hg, Pb 및 Cd는 각각 0.44%, 1.98% 및 7.71%의 낮은 수준으로 식이를 통한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아직 세부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채소류에 대한 중금속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heavy metal contents of vegetables available on the markets in Seoul area. Concentrations of mercury (Hg), lead (Pb), cadmium (Cd), arsenic (As), chrome (Cr), nickel (Ni), copper (Cu), and zinc (Zn) were measured in 300 samples using a mercury analyzer and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 중 많이 소비되고 있으나 아직 국제기준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품목에 대해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여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오염방지 및 사후관리 대책 수립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소비량이 많은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해 국외기준과 비교하여 그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전국에서 재배되어 서울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 20종 300건을 2009년 1월부터 10월까지 구입 하여 중금속 8종(수은, 납, 카드뮴, 비소, 크롬, 니켈, 구리, 아연)을 수은분석기 및 ICP-OE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의 중금속 오염은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식품의 중금속 오염은 식품의 수확, 가공, 포장 등의 과정에서 우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오염된 물과 토양 또는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서 일어난다. 금속은 오염원이 매우 다양하며 농산물이나 인간에게 이행되었을 때 자연적 또는 인위적 방법으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축적된다. 체내에 들어온 모든 금속이 그대로 축적 되는 것은 아니며 식품에 의해 섭취된 실제 흡수량은 섭취식품의 종류와 건강상태 등에 따라 달라지나 저 농도 일지라도그 독성이 농산물이나 인간에게 경제적 손실과 심각한 건강상 위해를 끼칠 수도 있다(2).
중금속이란 무엇인가? 중금속은 비중이 4 이상 되는 금속원소로서 인류가 금속을 이용하기 시작하면서 인체에 대한 위해인자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산업화 과정에서 공업의 급속한 발전과 인구의 도시 집중, 그리고 인간 활동의 증가는 중금속에 의한 환경오염을 초래하였다(1).
식품의 중금속 오염은 어떤 과정으로 일어나는가? 식품의 중금속 오염은 식품의 수확, 가공, 포장 등의 과정에서 우발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대부분 오염된 물과 토양 또는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 재배되는 농작물에서 일어난다. 금속은 오염원이 매우 다양하며 농산물이나 인간에게 이행되었을 때 자연적 또는 인위적 방법으로 쉽게 분해되지 않고 축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Lee SR. 2008. Food safety. Free Academy Publisher, Seoul,Korea. p 206-220. 

  2. Reilly C. 1991. Metal contamination of food. 2nd ed. Elsevier 

  3. Kim MK, Kim WI, Jung GB, Yun SG. 2001. Safety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of Korea. Kor J Env Hlth Soc 20: 169-174. 

  4. Lee JO, Sho YS, Oh KS, Kang KM, Suh JH, Lee EJ, Lee YB, Park SS, Kim HY, Woo GZ. 2005. Heavy metal survey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n circulation market. Annu Rep KFDA 9: 953. 

  5. KFDA. 2008. Korea Food Code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unyoungsa, Seoul, Korea. p 9-1-5. 

  6. KFDA. 2008. Korea Food Code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unyoungsa, Seoul, Korea. p 10-6-11. 

  7.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2000. Safety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WHO Food Additives Series 44, International Programme on Chemical Safety and WHO, Geneva, Switzerland. p 273-391. 

  8.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2006. Codex General Standard for Contaminants and Toxins in Foods. CX/FAC 06/38/19. 

  9.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Survey (Ⅱ)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 123-171. 

  10. Kim HY, Kim JI, Kim JC, Park JE, Lee KJ, Kim SI, Oh JH, Jang YM. 2009. Survey of heavy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238-244. 

  11. Chung SY, Kim MH, Sho YS, Won KP, Hong MK. 2001. Trace metal contents in vegetabl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12. Kim DW. 2005. A study on metal contents of root vegetables 

  13. Tanaka T, Aoki Y, Tamase K, Umoto F, Ohbayasi H, Imou M. 1992. Improve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total mercury and its application to vegetables and fruit in markets. J Food Hyg Soc J pn 33: 359-364. 

  14.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MAFF). 1997. 

  15.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Monitoring of Heavy Metals in Agricultural Products. Available from: http: //www.foodnara.kfda.go.kr. Accessed Mar. 16, 2009. 

  16. Park JS, Na HS. 2000. Analysis of trace metal in agricultural 

  17.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MAFF). 1997. Survey of lead and cadmium in foods. Food surveillance paper No. 113. publ HMSO, London, UK. p 1-6. 

  18. Australia Food Authority. 1992. The 1992 Australian market basket survey-a total diet survey of pesticides and contaminants. Australia. p 78-88. 

  19. Ikebe K, Nishimune T, Sueki K. 1990. Contents of 17 metal elements in food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vegetables, fruits, potatoes and fungi). J Food Hyg Soc Jpn 31: 382-393. 

  20. Jung MS, Kang JS, Park SH. 1994.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vegetables and soil at Seoul area. Kor J Env Hlth Soc 20: 55-64. 

  21. Nam HS, Won YJ, Seo IW, Yoon CY, Lee DM, Park DH, Lee HM, Kim SS, Kim HJ, Lee KY. 2002. Study on hazardous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vegetables in Korea. Annu Rep KFDA 6: 162-168. 

  22. Dabeka RW, McKenzie AD, Lacroix GMA, Cleroux C, Bowe S, Graham RA, Conacher HBS. 1993. Survey of arsenic in total diet food composites and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arsenic by Canadian adults and children. J AOAC Int 76: 14-25. 

  23. WHO. 1983. International Digest of Health Legislation. 34, 

  24. Yoo CC, Kim DW. 2005. Studies 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some vegetables sales on markets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8: 254-264. 

  2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994. Summary of Evaluations Perfo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ILSI, Geneva, Switzerland. 

  26. WHO. 1989.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18-Arsenic.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 43-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