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 유통 중인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Heavy Metal Contents of Vegetables from Korean Marke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4 = no.212, 2010년, pp.502 - 507  

유하영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  정진주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은주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성태 (서울산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판중인 일부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해 국외기준과 비교하고 그 안전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전국에서 재배되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 15종 243건을 시료로 하였다. 시료의 분석방법은 습식분해법microwave 법을 이용하였으며 납, 카드뮴, 비소, 크롬, 구리, 망간, 아연을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채소류의 평균 함량(최소-최대함량, mg/kg)은 Pb, 0.0026(ND-0.0313); Cd, 0.0017(ND-0.0280), As, 0.0005(ND-0.0332); Cr, 0.0156(0.0010-0.1798); Cu, 0.3767(0.0556-1.3980); Mn, 3.0214(0.0182-26.4100); Zn, 3.5796(0.830-14.4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들 중 납, 카드뮴, 비소는 기존 연구결과들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이었으며 크롬, 구리, 망간, 아연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한 품목의 주간 섭취량을 FAO/WHO에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설정한 PTWI와 PMTDI 기준과 비교한 결과 그 수준이 매우 낮아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이들 채소류로부터 섭취하는 중금속 양은 안전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아직 세부기준이 설정되지 않는 채소류의 중금속 기준을 설정하는데 있어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stimated the heavy metal contents of vegetables grown in Korea (n=234). The samples were digested using the microwave metho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Pb, Cd, As, Cr, Cu, Mn, and Zn) were determined using inductively-coupled plasma spectrometry (ICP). The average values of heavy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채소류의 품목 선정에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식품별 1인 1일 섭취량 조사 결과(7)를 참고하였다. 그리고 중금속의 주간섭취량을 계산하여 FAO/WHO의 주간섭취허용량인 PTWI(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또는 잠정1일 최대 섭취 허용량(provisional maximum tolerable daily intake, PMTDI)과 비교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판중인 일부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해 국외기준과 비교하고 그 안전성을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전국에서 재배되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 15종 243건을 시료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채소류 중 많이 소비되고 있으나 아직 국제기준설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품목과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있지 않은 품목에 대해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였다. 채소류의 품목 선정에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식품별 1인 1일 섭취량 조사 결과(7)를 참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드뮴에 인체에서 일으키는 초기증상과 장기간 노출 시 증상은 무엇인가? 카드뮴은 적은 양으로도 신장독성을 일으키며 산성식품과 접촉하여 쉽게 용출된다. 초기 증상은 단백뇨를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골조직에서 칼슘과 인 대사 불균형을 초래하며 골다공 증과 골연화증, 비장의 기능장애, 고혈압, 간장손실, 폐손상, 기형발생 등을 일으킨다(2). 이번에 조사된 채소별 카드뮴 함량은 Heo 등(18)의 전라도 지역의 미나리(0.
납은 인체에서 어떠한 부작용을 일으키는가? 납은 신경, 평활근 장애와 적혈구 중의 헤모글로빈을 감소시켜빈혈을 유발하며 빈혈, 뇌손상마비, 신장장애 등의 급성독성 증상과 창백한 피부, 두통, 식욕 감퇴 등의 만성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이번에 조사된 채소별 납 함량은 Park 등(11)의 상추(0.
본 연구에서 시판중인 일부 채소류의 중금속 함량을 조사하기 위해 분석한 중금속의 종류는 무엇인가? 전국에서 재배되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채소류 15종 243건을 시료로 하였다. 시료의 분석방법은 습식분해법 중 microwave 법을 이용하였으며 납, 카드뮴, 비소, 크롬, 구리, 망간, 아연을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기(inductively coupled plasma spectrometer, ICP)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채소류의 평균 함량(최소-최대함량, mg/kg)은 Pb,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Tanaka K, Aoki Y, Tamase K, Umoto F, Ohbayashi H, Sasaki M. Improved methods for determination of total mercury and its application to vegetables and fruit in markets. J. Food Hyg. Soc. Jpn. 33: 359-364 (1992) 

  2. Kim MH, Kim JS, Sho YS, Chung SY, Lee JO. Contents of toxic metals in fruits available on Korean marke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23-526 (2004) 

  3. Kim SJ, Ryang HS. Studies on the heavy metals in paddy rice and soils in Janghang smelter. J. Korean Soc. Soil Sci. Fer. 18: 336-347 (1985) 

  4. Choi SY. Food Contamination. Ulsan University Publisher. Ulsan, Korea. pp.196-228 (1995) 

  5. Kim MK, Kim WI, Jung GB, Yun SG. Safety assessment of heavy metal in agricultural products of Korea. Kor. J. Env. Hlth. Soc, 20:169-174 (2001) 

  6. UNEP/FAO/WHO. The Contamination of Food. UNEP, Nairobi, Kenya (1992) 

  7. MHW.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port. 3rd e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378-380 (2006) 

  8. KFD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10-6-13 (2008) 

  9. FAPAS. Metallic contaminants in powdered rice -Report to participants in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The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The Food and Environment Research Agency, Sand Hutton, York, UK (2007) 

  10. WHO. Lead (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pp. 44-54 (1977) 

  11. Park JS, Na HS. Analysis of trace metal in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Food Nutr. 13: 595-601 (2000) 

  12. Kang JS, Park SH, Jung MS.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vegetables and soil at Seoul area. Kor. J. Env. Hlth. Soc. 20: 55-63 (1994) 

  13. Jun WY, Nam HS, Seo IW, Yoon SY, Lee DM, Park DH, Lee HM, Kim SS, Kim HJ, Lee KY. Study on hazardous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vegetables in Korea. Gwangju Regional KFDA. The annual Report of KFDA, 6: 162-168 (2002) 

  14. Chung SY, Kim MH, Sho YS, Won KP, Hong MK. Trace metal contents in vegetabl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2-36 (2001) 

  15. Kim MH, Kim JS, Sho YS, Chung SY, Lee JO. The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various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61-567 (2003) 

  16. Lee TJ, Kim KC, Shin IC, Han KS, Sim TH, Ryu MJ, Lee JK. Survey on the contents of trace heavy metal in agricultural products of Gangwon-do. Rep. Inst. Health Environ. 7: 75-87 (1996) 

  17. KFDA, Foods and Heavy Metals-Are the Safety of Heavy Metals in Food Ever in Korea. Woozin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4-15 (1999) 

  18. Heo NC, Kim CM, Park S, Na HS. Investigation on contents of heavy metal and parasites of the dropwort cultivated in Chollanamdo.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70-973 (2000) 

  19. Ikebe K, Nishimune T, Sueki K. Contents of 17 metal elements in food determined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ry (vegetables, fruits, potatoes and fungi). J. Food Hyg. Soc. Jpn. 31: 382-393 (1990) 

  20. Yoo CC, Kim DW. Studies 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some vegetables sales on markets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8: 254-264 (2005) 

  21. Dabeka RW, Mckenzie AD. Total diet study of lead and cadmium in food composites: Preliminary investigation. J. AOAC Int. 75: 386-394 (1992) 

  22. Kim DW, Yoo CC. O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some vegetables on the super markets in Korea. Korean J. Food Nutr. 18: 254-264(2005) 

  23. Dabeka RW, McKenzie AD, GMA. Lacroix, Cleroux C, C, Bowe, S, Graham RA, Conacher HBS. Survey of arsenic in total diet food composites and estimation of the dietary intake of arsenic by Canadian adults and children. J. AOAC Int. 76: 14-25 (1993) 

  24. Cho TW. A study 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vegetables in Inchon area Inchon city. Institute of Health. Korean J. Env. Hlth. Soc. 12: 55-61 (1986) 

  25. Park HS, Kang YH. The Role of trivalent chromium as a supple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762-768 (2004) 

  26. FAO. Summary of evaluations performed by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International Life Science Institute, Geneva, Switzerland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