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발생 캘러스를 이용한 아그로박테리움 매개형질전환 장미 식물체 획득
Acquirement of transgenic rose plants from embryogenic calluses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 원문보기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식물생명공학회지, v.37 no.4, 2010년, pp.511 - 516  

이수영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이정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김원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김성태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  이은경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화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그로박테리움 매개에 의한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 'Sweet Yellow'로부터 유도된 체세포배 (배발생캘러스 포함)로 intron-GUS유전자가 전이된 식물체를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이 제시되었다. Intron-GUS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AgL1(O.D=0.7~1.6)에 30분 감염시켜 3일간 공동배양 한 후 $4^{\circ}C$에서 7일간의 저온처리를 거친 후 cefotaxim $250\;mg{\cdot}L^{-1}$ 첨가 체세포배발아 배지에 배양된 체세포배 (배발생캘러스 포함)들 대부분으로 유전자가 전이된 것을 GUS transient assay에 의해 확인하였다. Intron-GUS유전자가 전이된 체세포배 (배발생캘러스 포함)로부터 신초원기를 유도한 후 신초를 재분화시켰고, 재분화된 신초로부터 다신초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다신초로부터 신초의 일부를 떼어 GUS transient assay 분석을 실시하여 intron-GUS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후 발근시켜 순화 후 온실로 옮겼다. GUS transient assay에 의해 확인된 유전자 발현율은 100%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cess to acquire intron-GUS gene-expressed transformants from somatic embryos (including embryogenic calli) of Rosa hybrida cv. 'Sweet Yellow' using Agrobacterium-meditated transformation method was reported in this study. Somatic embryos including embryogenic calluses were infected with Agro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팀은 2008년도에 특허출원하여 실험실에서 유지 보존하고 있는 기내 뿌리 유래 체세포배(배발생캘러스 포함)를 절편체로 이용하여 콩, 옥수수 등 몇몇 작목에서 성공된 바 있는 유전자총 매개에 의해서 보다는 보편적으로 유전자전이에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는 아그로박테리움 매개에 의한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하여 장미 형질전환체를 대량 획득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본 연구 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그로박테리움 매개에 의한 체세포배(배발생캘러스 포함) 유래 형질전환체를 획득하고자 할 때, 절편체로의 효율적인 유전자전이과정과 더불어 중요한 과정이 유전자가 전이 된 체세포배(배발생 캘러스 포함)로부터 기내식물체의 발근까지인데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유전자 전이 이후의 과정에 대해 상세한 설명부분이 미진하다.
  • 그런데 본 연구 팀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아그로박테리움 매개에 의한 체세포배(배발생캘러스 포함) 유래 형질전환체를 획득하고자 할 때, 절편체로의 효율적인 유전자전이과정과 더불어 중요한 과정이 유전자가 전이 된 체세포배(배발생 캘러스 포함)로부터 기내식물체의 발근까지인데 대다수의 연구에서는 유전자 전이 이후의 과정에 대해 상세한 설명부분이 미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으로부터 유도된 체세포배(배발생캘러스)로의 유전자전이 식물체를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미에 있어서 체세포배(배발생캘러스)를 이용한 형질전환체의 획득에 관한 연구보고로는 국내 최초이기도 하지만 재료로서 국내 육성 품종 ‘Sweet Yellow’ 유래 체세포배(배발생 캘러스 포함)를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획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체세포배를 이용하여 유전자의 전이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었으며, 유전자 전이 후, 선발배지에서 획득된 신초를 다신초 개체가 되었을 때 발근시켜야 유전자가 전이된 개체의 고사를 막을 수 있음에 관한 보고로서 장미에 있어서 형질전환체의 획득하는데 성공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2008년도에 보고된 장미의 효율적인 체세포배발생캘러스 유도 방법을 이용하여 체세포배발생캘러스를 유도한 후 본 연구에서 보고된 효율적인 유전자 전이 방법을 이용한다면 전통적인 육종 방법으로 도입하기 힘든 특성을 가진 장미 품종을 육성하는데 성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체세포배발생캘러스를 이용한 연구 현황은? Suntory사의 Tanaka(2009) 보고를 포함하여 위에서 제시되어 있는 장미 형질전환체 획득에 성공하였다는 국외 보고의 대다수는 절편체로 기내 잎(엽병포함) 및 줄기 단편으로부터 유도된 캘러스 또는 체세포배발생캘러스를 이용하여 아그로박테리움이나 유전 자총을 매개로 하여 유전자의 도입을 시도하였으나 효율이 낮고 극히 일부 품종에 국한되어 연구되었다. 국내에서도 장미 형질전환에 관한 연구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1996년부터 2000년까지 4년간 장미 체세포배발생 캘러스의 유도 및 형질전환 기술을 개발하고자 시도하였고, Kim 등(2004)이 Castillon과 Kamo(2002)가 ‘Tineke’로부터 유도한 체세포배발생캘러스를 절편체로 이용하여 GFP유전자가 도입된 형질전환체를 획득하였다는 보고가 있으나 국내의 경우 본 연구팀을 제외하고는 장미 체세포배발생캘러스 유도 기술 조차도 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장미를 포함한 주요 화훼작물들의 신품종 개발을 위한 품종간 또는 종간교잡 기술의 한계점은? 장미를 포함한 주요 화훼작물들의 신품종은 주로 품종간 또는 종간교잡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되고 있다. 품종간 또는 종간교잡 등 교잡육종 기술은 신품종을 개발하는 주요 수단이지만 유전자원들이 보유하지 않은 특성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설사 유전자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특성이라도 유전자원들간에 교잡화합 성이 없을 경우에는 그 특성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기가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교잡육종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형질전환 기술이다.
교잡육종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품종간 또는 종간교잡 등 교잡육종 기술은 신품종을 개발하는 주요 수단이지만 유전자원들이 보유하지 않은 특성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설사 유전자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특성이라도 유전자원들간에 교잡화합 성이 없을 경우에는 그 특성을 가진 품종을 개발하기가 불가능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교잡육종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형질전환 기술이다. 세계 3대 절화류의 하나인 장미의 경우, 형질전환체를 획득하기 위하여 선행적으로 수행되는 수많은 재분화 연구에 대한 보고가 있지만 형질전환에 관한 연구로는 미국 DNA Plant Technology사의 Firoozabady 등(1994)에 의해 최초로 보고된 이후 최근까지 세계적으로 3~4개의 연구팀에 의해서 몇몇 연구만이 보고되었다(De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astillon J, Kamo K (2002) Maturation and conversion of somatic embryos of three genetically diverse rose cultivars. hortscience 37:973-977 

  2. Derk FHM, van Dijk AJ, Hanisch ten Cate ChH, Florack DEA, 

  3. Firozabody E, Moy Y, Courtneygutterson, N, Robinson K (1994) Regeneration of transgenic rose (Rosa hybrida) plants from embryogenic tissues. Bio/Technology 12: 609-613 

  4. Han JS, Kim CK, Park SH, Hirschi KD, Mok IG (2005)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Standl.) Plant Cell Rep. 23:692-698 

  5. Jafferson RA, Kavanagh TA, Bevan MW (1987) GUS fusion: $\beta$ -glucuronidase as a sensitive and versatile gene fusion marker in high plants. EMBO J 6:39.1-39.7 

  6. Kim CK, Chung JD, Park SH, Burrell AM, Kamo KK, 

  7. Lee SY, Jung JH, Kim JH, Han BH (2008) In vitro multiple shoot proliferation and plant regeneration in rose. J. Plant Biotechnol. 35:223-228 

  8. Li X, Gasic K, Cammue B, Broekaert W, Korban SS (2003) 

  9. Li X, Krasnyanski S, Korban SS (2002) Optimization of the uidA gene transfer into somatic embryos of rose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 Plant Physiol Biochem 40:453-459 

  10. Marchant R, Davey MR, Lucas JA, Power JB (1996) Somatic embryogenesis and plant regeneration in floribunda rose (Roas hybridaL.) cvs. Trumpeter and Glad Tidings. Plant Sci 120:95-105 

  11. Marchant R, Davey MR, Lucas JA, Lamb CJ, Dixon RA, 

  12. Marchant R, Power JB, Davey MR (1998b) Biolistic transformation of rose (Rosa hybrida L.) Ann Bot 81:109-114 

  13. Schenk RU, Hildebrandt AC (1972) Medium and techniques for induction and growth of monocotyledonous and dicotyledonous plant cell cultures. Can J Bot 50:199-204 

  14. Souq E, Coutos-Thevnot P, Yean H, Delbard G, Maziere Y, 

  15. Tanaka Y (2009) Flower colour modification by genetic engineering. 2009 PlantScience Conference: 9 

  16. Van der Salm TPM, Bouwer R, van Dijk AJ, Keizer LCP, 

  17. Van der Salm TPM, van der Toorn CJG, Bouwer R, Hanisch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