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이하 PMIS)는 과거의 업무보조 수단에서 벗어나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필수적인 도구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목표와 전략 부재로 인해 투자비 규모 설정은 물론 파급영향에 대한 기대감 상실로 정보화 노력이 일시적 현상에 그치고 있다. 이는 정보화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여 정보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동기 부여가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IS의 품질요인과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 간에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건설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요인, 정보시스템 품질평가 및 성공모델 도출에 대한 기존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젝트관리의 성공과 PMIS의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구성하였으며 실제 PMIS의 사용자인 시공사, 사업관리자(Construction Manager, 이하 CM)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들로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건설 사업에서 PMIS의 품질요인과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one of the key IT applications, the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PMIS)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onstruction management processes. This is because PMIS is an information system that gathers, integrates, and disseminates the output of project management processes among project 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문헌들에서 살펴보면 정보시스템의 품질요인으로 추가 ㆍ삭제되기는 했지만 대부분 Delone&McLean[4,5]이 제시했던 시스템 품질, 정보품질, 서비스 품질로 구성된다고 판단하고 이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는 정보화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여 정보화를 추진하는데 있어 동기 부여가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IS의 품질요인과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 간에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러한 건설 PMIS 개발 등 정보화의 노력이 일시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되기 위해서는 건설 PMIS의 사용이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관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어떤 PMIS 품질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산업에서의 PMIS의 품질요인과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에 대한 평가항목들을 파악하고 PMIS의 품질요인들이 프로젝트 관리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 건설 산업은 단품 수주산업으로 프로젝트 조직의 일시성 등과 같은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구축비용과 운영인원 등이 필요한 자체구축 방식보다는 프로젝트 수행기간 동안 필요한 기능과 그에 맞는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ASP방식이 효율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SP기반 PMIS로 범위를 한정하여 연구의 효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시스템 품질’이 ‘프로젝트 관리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2: ‘시스템 품질’이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3: ‘정보 품질’이 ‘프로젝트 관리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4: ‘정보 품질’이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5: ‘서비스 품질’이 ‘프로젝트 관리의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H6: ‘서비스 품질’이 ‘프로젝트 관리의 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MIS란 무엇인가? PMIS란 발주자, 감리자, 시공자 및 협력업체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기 위하여 공사에 관련된 각종 제반정보(문서, 도면, 사진 및 작업일지 등)를 종합하여 공유함으로서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전달에 의한 공기단축, 원가절감 등 관리의 효과성, 업무 효율화를 위한 사업 및 시공관리의 새로운 수단을 말한다.
PMIS의 프로젝트 관련 참여자간의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지원하는 기능 3가지는 무엇인가? 1) Communication(의사소통 지원체계) Internet이나 Intranet 등의 웹망을 통해 사업 참여자들 간의 관련지식 및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해 업무 효율화를 지원하는 기능 2) Collaboration(협업 지원체계) 실질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관련주체간의 협업관리체계를 능동적으로 지원하는 기능 3) Community(정보공유 지원체계) 사업 참여자간 정보공유 및 업무수행을 통해 관련 정보 및 자료의 축적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기능
건설 PMIS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건설 PMIS는 크게 건설기업에서 자체 개발하여 활용하는 정보시스템과 범용적으로 개발되어 공급되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이하 ASP)기반의 정보시스템, 그리고 특정 대형프로젝트에 특성화시킨 정보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다[2].건설 산업은 단품 수주산업으로 프로젝트 조직의 일시성 등과 같은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구축비용과 운영인원 등이 필요한 자체구축 방식보다는 프로젝트 수행기간 동안 필요한 기능과 그에 맞는 비용을 지불할 수 있는 ASP방식이 효율적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im YS, Yoon JH, Jin SY. Yoon SW. A Survey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 From Users' Viewpoints O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6;7(4):126-136. 

  2. Moon JH, Song BG. PMIS Solutions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3. 

  3. Park HG. Study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case of Web-based Proj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 SOC project,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2005;25(2):297-304. 

  4. DeLone WH. McLean ER, Information system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992;3(1):60-95. 

  5. DeLone WH, McLean ER,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 success: A ten-year updat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003;19(4):9-30. 

  6. Jung YS, Jung CH.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Success Factors of ASP Services, Information System Research 2005;14(2):25-53. 

  7. Kim G. A Scale Development for Measuring User Satisfaction with GKM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Policy Analysis and Evaluation 2007;17(4):117-148. 

  8. Kim JG. Exploring the Success Factors of ASP based Informatio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wo Factor Theory, e-Business Research 2007; 8(1):21-35. 

  9. Park JH, Kim JG, Kim JW. Lee HS. Deriving an ASP Success Model: An Application to Small Business, Business Information Research 2004;14(1):43-58 

  10. Jeo MH, Lee CK. An Empirical Analysis on Success Factor and Success Model of Information System: Focus on a local government. Journal of Korea Administration 1997;31(1):145-162. 

  11. Han YC, Lim ST. An Empirical Study on Evaluating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management Research 1997;12(1):257-288. 

  12. Bernroider EWN. IT governance fo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upported by the DeLone?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s success, Information & Management 2008;45(5):257-269. 

  13. Chang L, Kirk PA. Explor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b site success in the context of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 Management 2000;38(1):23-33. 

  14. Swanson EB.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ppreciation and involvement" Management Science 1974;21(2):178-188. 

  15. Zmud RW. Individual differences and MIS succes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Management Science 1979;25(10):966-979. 

  16. Ballou DP, Pazer HL. Cost/quality tradeoffs for control procedures in information systems, Omega 1987;15(6):509-521. 

  17. Parasuraman A, Zeithaml VA, Berry LL, SERVQUAL: A multi-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s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1998;64(1):13-30. 

  18. Munns AK. Bjeirmi BF. The role of project management in achieving project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96;14(2):81-87. 

  19. Baccarini D. The logical framework method for defining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1999;30(4):25-32. 

  20. Khang DB, Moe TL. Success Criteria and Factor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Project: A Life-Cycle-Based Framework. Project Management Journal 2008;39(1):72-84. 

  21. Pinkerton WJ. Project management: achieving project bottom-line success. New York; McGraw-Hill; 2003. 

  22. Pinto JK, Slevin DP. Critical Success Factors in Effective Project Implementation.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1988;34(1):22-27. 

  23. Ashley DB, Laurie CS, Jaselskis EJ.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1987;18(2):69-79. 

  24. Wit AD. Measurement of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1988;6(3):164-170. 

  25. Belassi W, Tukel OI. A new framework for determining critical success/failure factors in pro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1996;14(3):141-151. 

  26. Chua DKH, Kog YC, Loh PK.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Different project Objectiv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999;125(3):142-150. 

  27. Chan APC, Scott D, Chan APL.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4;130(1):153-155. 

  28. Ling FYY, Liu M. Using neural network to predict performance of design-build project in Singapore, Journal of Building and Environment 2004;39(10):1263-1274. 

  29. Fortune J, White D. Framing of project critical success factors by a systems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2006;24(1): 53-65. 

  30. Yu ATW, Qiping S, John K, Kirsty H. Investigation of Critical Success Factors in Construction Project Briefing by Way of Content Analysi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6;132(11):1178-1186. 

  31. Lam EWM, Chan APC, Chan DWM. Determinants of Successful Design-Build Project.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8;134(5):.333-341. 

  32. Saqib M, Farooqui RU, Lodi SH. Assessment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Construction Projects in Pakistan. Fir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in Developing Countries (ICCIDC-I-2008) 2008;392-404. 

  33. Lee CJ, Kim SK, Kim JJ. The Deduction of the Success Factor in Construction Projects by Design Build Method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7;8(5):182-190. 

  34. Hyeon CT, Jeo GM. Key Success Factors for the Fast-Track in Public Design-Build Projec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7;23(1):129-136. 

  35. Yu IH, Kim KR, Wung YS, Chin SY. Analysis of Quantified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Construction Companie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06;7(4):154-164. 

  36. Belsley DA, Kuh E, Welsch RE. Regression Diagnostics: Identifying Influential Data And Source of collinearity. John Wiley and Sons; 1980. 

  37. Nunnally JC, Bernstein IH.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