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지역 중학생의 식이섬유 섭취 실태 및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and Development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2, 2010년, pp.244 - 252  

김영혜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유주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인선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향숙 (충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충북 도내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24시간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섬유 섭취 수준을 조사하고 식이섬유 주요급원식품을 알아보았다. 또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이용하여 조사방법 간의 식이섬유 섭취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식이섬유섭취수준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열량 및 영양소 섭취량은 에너지필요추정량과 비교할 때 남학생은 75.4%, 여학생은 93.8%였다. 단백질은 평균필요량의 남녀 각각 85.8% 및 102.6%의 섭취수준을 보이며 남학생의 경우 다소 부족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평균필요량이 남녀학생 모두 낮은 섭취량을 보인 영양소는 칼슘, 철분 및 엽산 순이다. 전반적으로 남녀학생 모두 영양소의 섭취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4시간회상법에 의한 남학생의 1일 평균 식이섬유 섭취량은 $17.6\pm5.3$ g(54.8%), 여학생은 $16.5\pm4.8$ g(68.8%)으로 나타났으며 남녀학생 모두 충분섭취량에 매우 부족한 상태로 남녀학생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이섬유의 주요 급원식품 중 두 방법 간의 공통적인 섭취순위를 보인 식품은 1위 백미, 2위 배추김치이며 채소류와 곡류로부터 총 식이섬유의 68.44%의 섭취를 보였고 주요급원식품군별로 분류하면 채소류, 곡류와 그 제품, 과일류, 두류, 해조류 순이었다. 24시간회상법과 식품섭취빈도조사법 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71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적인 상관성(p<0.05)을 보였다. 백미가 0.82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19종의 식품품목이 상관관계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식이섬유 섭취량의 Pearson 상관계수가 낮고 유의성이 없는 식품을 제외한 후 섭취량을 보정한 결과 상관성이 0.78로 높게 나타났고 유의적인 상관성(p<0.01)을 보였다. 두 방법에 의해 산출된 섭취수준에 따라 각각 4등급으로 분류하였을 때 보정 후 낮은 등급이 일치할 확률이 90.2%에서 92.4%로 높아졌고 평균 식이섬유의 Kappa값은 0.54에서 0.59로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비교적 높은 타당성을 보였으므로 조사지의 수정보완을 통해 청소년의 식이섬유섭취상태 파악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섭취량 보정을 통해 선정된 식품품목 19종을 기초로 하여 학생들의 학교급식메뉴와 기호도를 조사하고 급식과 연계하여 식품품목을 증가시키기 위한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식품섭취조사지의 개발과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offer groundwork for grasp and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fiber intake through 24-hr recall method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dietary fiber intake. Average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북지역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양소와 식이섬유의 섭취를 조사함으로써 이들의 식이섬유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청소년기에 올바른 영양섭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식습관 교정과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식품섭취빈도법과 24시간 회상법을 동시에 조사하여 각각의 방법으로 추정된 식이섬유 섭취량을 비교 · 분석하여 청소년의 식이섬유섭취상태를 간편하게 추정할 수 있는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또한 식품섭취빈도법과 24시간 회상법을 동시에 조사하여 각각의 방법으로 추정된 식이섬유 섭취량을 비교 · 분석하여 청소년의 식이섬유섭취상태를 간편하게 추정할 수 있는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충북 도내에 거주하는 남녀 중학생 282명을 대상으로 24시간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섬유 섭취 수준을 조사하고 식이섬유 주요급원식품을 알아보았다. 또한 식품섭취빈도조사를 이용하여 조사방법 간의 식이섬유 섭취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식이섬유섭취수준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폐쇄형 문항이어서 포함되는 음식 품목 개수가 증가할수록 섭취량이 정확히 측정되는 특징이 있지만 문항이 짧으면서도 섭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섭취빈도 조사지에 포함되는 식품 문항을 잘 선정하여야 한다. 본 조사지는 음식항목은 주재료와 식이섬유 함량을 기준으로 총 39 항목을 선정하였으나 적합하지 않은 식품품목이 포함되어 조사방법 간의 변이차이를 보인 것으로 판단되어 보정 후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식품섭취빈도조사지와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식이섬유 섭취량의 Pearson 상관관계에서 상관계수가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과거에 비해 무엇을 선호하는가?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과거에 비해 주식보다는 간식의 섭취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면, 빵, 햄버거, 피자 등의 서구형 혼합 식사 패턴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이는 지방의 과잉섭취와 함께 성인기 비만으로의 위험도 증가, 만성질환의 발병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3,4).
청소년기의 적절한 영양공급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의 적절한 영양공급은 건강잠재력을 키우면서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할 수 있고 장래의 건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아동기와는 달리 부모의 영향을 벗어나 스스로의 식사 조절 능력이 생기며, 외식과 간식 등 선택 범위가 넓어지고, 섭취한 영양소에 따라 체격발달 및 건강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 시기이므로 식생활이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청소년기에 적절한 식품의 섭취는 영양소의 양과 질에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이에 따라 정신적, 생리적 변화뿐 아니라 학업 성취도 및 심리․정서적 발달에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이 시기에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1).
한국영양학회에서는 성인들의 식이섬유 충분섭취량을 무엇으로 제시했는가? 한국영양학회에서는 성인들의 식이섬유 충분섭취량을 12 g/1,000 kcal로 제시하였다. 이는 심혈관계 질환, 암, 당뇨병 등의 만성퇴행성 질환이 주요사인이 되지 않던 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의 한국인의 평균 식이섬유 추정섭취량을 성별, 연령별 1일 에너지필요추정량에 근거하여 식이섬유에 대한 충분섭취량으로 설정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an SS, Kim HY, Kim WK, Oh SY, Won HS, Lee HS, Jang YA, Kim SH. 1999. The relationships among household characteristics, nutrient intake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32: 691-704. 

  2. Song YJ, Joung HJ, Kim YN, Paik HY. 2006.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intake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Food and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39: 50-57. 

  3. Hu FB, Rimm EB, Stampfer MJ, Ascherio A, Spiegelman D, Willett WC. 2000. Prospective study of major dietary pattern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in men. Am J Clin Nutr 72: 912-921. 

  4. Fung TT, Rimm EB, Spiegelman D, Rifai N, Tofler GH, Willett WC, Hu FB. 2001.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atterns and plasma biomakers of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m J Clin Nutr 73: 61-67. 

  5. Williams CL, Bollella M. 1995. Is a high-fiber diet safe for children? Pediatrics 96: 1014-1019. 

  6. Christina MB, Inger J, Mark TC, Lauren L. 2002. Relation between breakfast food choices and knowledge of dietary fat and fiber among Swedish schoolchildren. J Adolesc Health 31: 199-207. 

  7. 한국영양학회 편집부. 200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한국영양학회, 서울. p 61-63. 

  8. Lee KH, Park MA, Kim ES, Moon HK. 1994. A study on dietary fiber intakes of Korean. J Korean Soc Food Nutr 23: 767-773. 

  9. Lee HS, Lee YK, Seo YJ. 1994.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69-1990. Korean J Nutr 24: 534-546. 

  10. Hwang SH, Kim JI, Sung CJ. 1996. Assessment of dietary fiber intake in Korean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Nutr 25: 205-213. 

  11. Sung CJ. 1997. A study on the dietary fiber intake and iron metabolism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30: 147-154. 

  12. Lee HJ, Kim YA, Lee HS. 2006.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91-2001. Korean J Nutr 39: 549-559. 

  13. 대한영양사회. 1999. 사진으로 보는 음식의 눈대중량. 

  14. Kim MJ. 1997. Validity of self-administer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by conditions of one portion size. MS Thesis. Dongduc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p 15-22. 

  15. 한국영양학회 편집부. 1998. 음식 영양소 함량 자료집. 한국영양학회, 서울 

  16. 한국영양학회 편집부. 200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한국영양학회, 서울. p 26. 

  17. Lim JY, Na HB. 2005. Nutrient intakes and physical fitness by BMI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 22-35. 

  18.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 2008. 2007 국민건강통계. p166, 168. 

  19. Jang HS. 2003. Identification of the nutrient intakes, energy expenditure according to exercise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Exercise Nutrition 7: 217-222. 

  20. Ro HK. 2000. Comparisons of nutrient intakes, dietary behavior and perception about body image between adolescent boys and girls in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280-288. 

  21. Park MY, Park EJ, Chung YJ. 2005. Evaluation of diet quality of Korean adolescents based on nutrient and food and food group intak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J Hum Ecol 18: 95-110. 

  22. Lee YN, Yim KS, Lee SK. 1996. Diet-related factors of overweight adolescent girl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 354-365. 

  23. Kang YJ, Kim HS. 2008. The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fiber intake of high school girls in Chungbuk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121-131. 

  24. Kim JY, Kim OY, Yoo HJ, Kim TI, Kim WH, Yoon YD, Lee JH. 2006. Effects of fiber supplements on functional constipation. Korean J Nutr 39: 35-43. 

  25. Lee HJ, Lee HS, Ha MJ, Kye SH, Kim CI, Lee CW, Yoon JS. 1997.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assess the dietary intake of adults in large citi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349-365. 

  26. Won HS, Kim WY. 200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33: 314-323. 

  27. Sobell J. 1989. Validation of a retrospective questionnaire assessing diet 10-15 years ago. Am J Epidemiol 130: 173-187. 

  28. Fleiss JL. 1981. Statistical methods for rates and proportions. 2nd ed. John Wiley & Song Inc, New York, USA. p 212-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