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l-B-C 조제 β-SiC의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에 미치는 α-SiC seed 첨가 영향: 미세 구조 변화
Influence of α-SiC Seed Addition on Spark Plasma Sintering of β-SiC with Al-B-C: Microstructural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17 no.1, 2010년, pp.13 - 22  

조경식 (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부) ,  이현권 (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부) ,  이상우 (금오공과대학교 신소재시스템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nique features of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are the possibilities of a very fast heating rate and a short holding time to obtain fully dense materials. $\beta$-SiC powder with 0, 2, 6, 10 wt% of $\alpha$-SiC particles (seeds) and 4 wt% of Al-B-C (sintering aid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림 1에서와 같이 결정립의 직경(DM)은 2차원 사진에서 결정립 넓이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원의 지름에 상당하는 원상당경으로 하여 분포를 측정하였다. 결정립 직경 분포가 이중 모드일 경우 각각 모드에서 작은 기지 결정립과 길게 자란 결정립의 직경을 각각 기지 직경(DMG)과 긴 결정립 직경(DLG)으로 하였다. 또한 장축 길이(L)는 최대 대각선 길이, 단축 길이(d)는 장축에 직각방향의 최대 길이를 측정하였고 장단비(R)는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로 하였는데, 전체 결정립의 평균 장단비(RM)와 이중 모드일 경우 각각 모드 부분의 장단비(RMG, RLG)도 구하였다.
  • 결정립 직경 분포가 이중 모드일 경우 각각 모드에서 작은 기지 결정립과 길게 자란 결정립의 직경을 각각 기지 직경(DMG)과 긴 결정립 직경(DLG)으로 하였다. 또한 장축 길이(L)는 최대 대각선 길이, 단축 길이(d)는 장축에 직각방향의 최대 길이를 측정하였고 장단비(R)는 단축에 대한 장축의 비율로 하였는데, 전체 결정립의 평균 장단비(RM)와 이중 모드일 경우 각각 모드 부분의 장단비(RMG, RLG)도 구하였다.
  • 미세구조를 평가하기 위해 소결체 연마면을 8% O2 혼합 CF4 가스로 플라즈마 에칭(Plasma Etching System, Miraehitec, Korea) 후, FE-SEM(Jeol, 6500F, Japan) 관찰하고 특정 시편에서는 15 KV 가속전압으로 EDS(INCK, Oxford Instruments, UK) 분석하여 선상 원소 분포를 알아보았다.
  • 미세구조에서 결정립 크기와 형상 분석을 위해 촬영한 SEM 사진에서 약 600개 결정립의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seed 첨가량 및 소결온도에 따른 미세구조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림 1에서와 같이 결정립의 직경(DM)은 2차원 사진에서 결정립 넓이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원의 지름에 상당하는 원상당경으로 하여 분포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결 조제로 Al-B-C를 일정하게 하고 β-SiC에 함량이 다르게 α-SiC seed를 첨가한 원료조합을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하여 seed 함량과 소결온도에 따른 미세구조(치밀화, 결정립 크기, 형상) 변화를 알아보았다.
  • 성형 압분체 입자 사이에 펄스 전류를 주어 순간적인 스파크 플라즈마를 열원으로 하는 초신속 활성 치밀화를 이루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에 의해 SiC 세라믹스를 제조하였다. 소결 공정은 100℃/min의 승온속도, 2단 소성 스케줄(1단계: 1100℃-10분유지, 2단계: 최고온도 1700~1850℃-10분), 40 MPa 압력 및 Ar 분위기(500 CC/min)를 적용하였다.
  • 성형 압분체 입자 사이에 펄스 전류를 주어 순간적인 스파크 플라즈마를 열원으로 하는 초신속 활성 치밀화를 이루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에 의해 SiC 세라믹스를 제조하였다. 소결 공정은 100℃/min의 승온속도, 2단 소성 스케줄(1단계: 1100℃-10분유지, 2단계: 최고온도 1700~1850℃-10분), 40 MPa 압력 및 Ar 분위기(500 CC/min)를 적용하였다. 승온 및 유지 공정 동안 직류 펄스 전류(12:2의 on: off 펄스)를 가했으며 인가 전력은 기록계로 모니터링 하였다.
  • 소결 공정은 100℃/min의 승온속도, 2단 소성 스케줄(1단계: 1100℃-10분유지, 2단계: 최고온도 1700~1850℃-10분), 40 MPa 압력 및 Ar 분위기(500 CC/min)를 적용하였다. 승온 및 유지 공정 동안 직류 펄스 전류(12:2의 on: off 펄스)를 가했으며 인가 전력은 기록계로 모니터링 하였다. 시편의 직접적인 실재온도 대신 graphite 몰드 표면에 초점을 맞추어 광기록계로 온도를 측정하여 소결온도로 표현했는데, 매우 빠른 승온속도와 짧은 유지 시간의 특성을 갖는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에서 엄밀하게는 시편과 몰드 표면 온도 사이에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3, 38, 43].
  • 입계 용해-재석출에 의한 액상소결 기구와 함께 β-α 상전이 되면서 점차적으로 입자 성장에 의한 치밀화가 일어나게 된다[18-26]. 이와 같이 SiC에 Al-B-C계의 소결조제를 사용하고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하여 낮은 소결온도와 짧은 유지시간에 탄화규소를 치밀화시켰다.
  • 탄화규소에 소결 조제로 Al-B-C를 2+1+1=4 wt%로 일정하게 하고 β-SiC에 0, 2, 6 및 10 wt%의 일정량 α-SiC seed를 첨가한 원료조합을 Ar 분위기, 100℃/min의 승온속도로 1700~1850℃에서 10분 동안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로 제조할 때 첨가되는 seed 함량이 소결체 미세구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상 데이터

  • SPS법으로 제조한 SiC 시편은 직경 20 mm 두께 약 2.5 mm의 디스크 형상이었다. 시편의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원리에 의해 측정하였다.
  • 상업용 β-SiC(Betarundum Ultrafine, Ibiden Co., Ltd., Japan), α-SiC(A-1, Showa Denko Co., Ltd., Japan), Al(99.9%, High Purity Chemicals, Japan), B(Grade 1, Amorphous, H.C. Starck, Germany) 및 C(99.7%, High Purity Chemicals, Japan) 분말을 출발원료로 하였다.
  • 이와 같은 출발원료로부터 표 1과 같이 Al+B+C 소결조제를 2+1+1=4 wt%로 한 96 wt%의 SiC에서 α-SiC seed 양을 달리한 조성분말을 준비했고, 이후 0S-ABC-SiC, 2S-ABC-SiC 6S-ABC-SiC 및 10S-ABC-SiC라 표기하였다.

이론/모형

  • 5 mm의 디스크 형상이었다. 시편의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원리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론 밀도는 분말 기준으로 혼합법칙으로 계산하여 정하였다.
  • 시편의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원리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론 밀도는 분말 기준으로 혼합법칙으로 계산하여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화규소에 산화물 첨가 시 미치는 영향은? 이후 1980년대 초 Omori 등이 처음 제안한 액상소결은 산화물 소결조제로 소결온도를 2000oC 이하로 낮추었다[10]. 탄화규소에 산화물을 첨가하면 공융액상(eutectic melts)을 형성하여 입자의 과대 성장 없이 고밀화가 가능하여 강도, 인성 등의 특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었다[9-12]. 이에 대한 주목할 만한 연구는 1994년 Padture애의 의한 이중 미세구조를 갖는 고인성 자기복합 탄화규소(in situtoughened SiC)[13]로 입계액상은 우선적인 균열 전파 경로로서 작용하는 약한 계면을 함유한 미세구조 특성을 지니고 있어 균열회절(crack deflection) 및 균열가교(crack bridging) 등의 파괴인성 증진기구를 일으킨다[14-17].
공유결합성의 탄화규소계 세라믹스 제조를 위해 소결조제로 B, B4C 및 C가 단독 혹은 동시에 첨가하는 고상소결을 할 때 발생하는 단점은? Prochazka가 소결조제로서 B와 C를 사용하여 탄화규소의 소결을 2000oC 이상의 온도에서 높은 밀도를 이루게 하였다 5]. 소결조제로 B, B4C 및 C가 단독 혹은 동시에 첨가하는 고상소결에 의한 탄화규소 제조가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으나 2000~2300oC의 높은 소결온도로 인하여 탄화규소의 결정립 크기가 매우 커져 기계적 성질이 크게 감소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이란? 소결조제로는 고상소결에서 잘 알려진 B+C에 더해 Al을 첨가하여 액상 소결 기구에 의한 소결 온도의 저하와 상전이를 촉진시켜 결정립의 이방적 성장을 증진하는 Al-B-C계 조성 첨가제가 주목할 만하다[18-26]. 그리고 소결 방법으로는 소결의 촉진 요인으로서 열적 확산과 가압에 의한 소성유동 이외에도, 소결 과정에서 펄스직류 전류의 인가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효과들로 인해, 짧은 시간에 치밀한 소 결체로의 제조가 가능한 급속 소결법으로서의 스파크 플라즈마 소결(SPS: spark plasma sinter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27-39]. 소결 조제로 Al-B-C를 2-8 wt% 첨가한 탄화규소로 1800oC에서 10분 스파크플라즈마 소결하면 치밀화 되고 작은 등축 입자(equiaxed grain)에 길게 자란입자(elongated grain)로 구성되며 유지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판상 결정립이 서로 교착된 미세구조(plate-like grains interlocking microstructure)를 형성함을 확인하였다[40-4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L. J. Schioler: Am. Ceram. Soc. Bull., 64 (1986) 268. 

  2. K. Yamada and M. Mohri: Silicon-Carbide Ceramics, S. Somiya and Y. Inomata (Ed.), Uchida Rokakuho Publishing Ltd., (1988) 9. 

  3. M. Srinivasam: Structural Ceramics, J. B. Wachtmann. Jr (Ed.), Academic Press, (1989). 

  4. W. L. Vaushn and H. G. Maahs: J. Am. Ceram. Soc., 73 (1990) 1540. 

  5. S. Prochazka: Ceramics for High Performance Applications, Burke, Gorum and Katz (Ed.), Brook Hill (1974) 239. 

  6. W. Bocker and H. Hausner: Powder Metal. Inter., 10 (1976) 87. 

  7. D. H. Stutz, S. Prochazka and J. Lorenz: J. Am. Ceram. Soc., 68 (1985) 479. 

  8. A. H. Heuer, G. A. Fryburg, L. U. Ogbuji and T. E. Mitchell: J. Am. Ceram. Soc., 61 (1978) 406. 

  9. L. U. Ogbuji, T. E. Mitchell and A. H. Heuer: J. Am. Ceram. Soc., 64 (1981) 91. 

  10. M. Omori and H. Takei: J. Am. Ceram. Soc., 65 (1982) C92. 

  11. M. A. Mulla and V. D. Kristic: Acta Metall. Mater., 42 (1994) 303. 

  12. M. A. Mulla and V. D. Kristic: Am. Ceram. Soc. Bull., 70 (1991) 439. 

  13. N. P. Padture: J. Am. Ceram. Soc., 77 (1994) 519. 

  14. S. H. Kim, Y.-W. Kim and M. Mitomo: J. Mater. Sci., 38 (2003) 1117. 

  15. N. P. Padture and B. R. Lawn: J. Am. Ceram. Soc., 77 (1994) 2518. 

  16. Y. W. Kim, K. S. Cho and J. G. Lee: Kor. J. Ceram., 2 (1996) 39. 

  17. Y. W. Kim, M. Mitomo and H. Hirotsuru: J. Am. Ceram. Soc., 80 (1997) 99. 

  18. R. M. Williams, B. N. Juterbock, S. S. Shinozaki, C. R. Peters and T.J. Whalen: Am. Ceram. Soc. Bull., 64 (1985) 1385. 

  19. B.-W. Lin, M. Imai, T. Yano and T. Iseki: J. Am. Ceram. Soc., 69 (1986) C67. 

  20. S. Shinozaki, R. M. Williams, B. N. Juterbock, W. T. Donlon, J. Hangas and C. R. Peters: J. Am. Ceram. Soc., 64 (1985) 1389. 

  21. J. J. Cao, W. J. Moherlychan, L. C. De Jonghe, C. J. Gilbert and R. O. Ritchie: J. Am. Ceram. Soc., 79 (1996) 461. 

  22. W. J. Moberlychan, J. J. Cao and L. C. De Jonghe: Acta Mater., 46 (1998) 1625. 

  23. W. J. Moberlychan and L. C. De Jonghe: Acta Mater., 46 (1998) 2471. 

  24. D. Chen, M. E. Sixta, X. F. Zhang, L. C. De Jonghe and R. O. Ritchie: Acta Mater., 48 (2000) 4599. 

  25. X. F. Zhang, Q. Yang and L. C. De Jonghe: Acta Mater., 51 (2003) 3849. 

  26. X. F. Zhang, G. Y. Lee, D. Chen, R. O. Ritchie and L. C. De Jonghe: J. Am. Ceram. Soc., 86 (2003) 1370. 

  27. M. Tokita: J. Soc. Powder Technol. Jpn., 30 (1993) 790. 

  28. N. Tamari, T. Tanaka, K. Tanaka, I. Kondoh, M. Kawahara and M. Tokita: J. Ceram. Soc. Jpn., 103 (1995) 740. 

  29. T. Nishimura, M. Mitomo, H. Hirotsuru and M. Kawakara: J. Mater. Sci. Lett., 14 (1995) 1046. 

  30. D. S. Perera, M. Tokita and S. Moricca: J. Euro. Ceram. Soc., 18 (1998) 401. 

  31. Y. Zhou, K. Hirao, M. Toriyama and H. Tanaka: J. Mater. Res., 14 (1999) 3363. 

  32. S. W. Wang, L. D. Chen and T. Hirai: J. Mater. Res., 15 (2000) 982. 

  33. Y. Zhou, K. Hirao, M. Toriyama and H. Tanaka: J. Am. Ceram. Soc., 83 (2000) 654. 

  34. K.-S. Cho, S. Kim, H.-J. Choi, J.-G. Lee and Y.-W. Kim: J. Kor. Ceram. Soc., 38 (2001) 687. 

  35. L. Gao, H. Wang, H. Kawaoka, T. Sekino and K. Niihara: J. Euro. Ceram. Soc., 22 (2002) 785. 

  36. K.-S. Cho, K.-S. Lee, J.-H. Song, J.-Y. Kim and K.-H. Song: J. Kor. Ceram. Soc., 40 (2003) 751. 

  37. W. Chen, U. Anselmi-Tamburini, J. E. Garay, J. R. Graza and Z. A. Munir: Mater. Sci. & Engineer., A394 (2005) 132. 

  38. U. Anselmi-Tamburini, S. Gennari and Z. A. Munir: Mater. Sci. & Eng., A394 (2005) 139. 

  39. K.-S. Cho and K.-S. Lee: Key Eng. Mater., 287 (2005) 335. 

  40. K.-S. Cho, K.-S. Lee, H.-K. Lee, S. J. Lee and H.-J. Choi: J. Kor. Ceram. Soc., 42 (2005) 567. 

  41. K.-S. Cho, Z. A. Munir and H.-K. Lee: J. Ceram. Pro. Res., 9 (2008) 500. 

  42. Y.-W. Kim, M. Mitomo and G.-D. Zhan: J. Mater. Res., 14 (1999) 4291. 

  43. K. Vanmeensel, A. Laptev, J. Hennicke, J. Vleugels, O. Van der Biest: Acta Mater., 53 (2005) 4379. 

  44. Y.-W. Kim, S.-G. Lee and M. Mitomo: J. Euro. Ceram. Soc., 22 (2002) 10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