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 특성 및 전기화학 특성이 향상된 리튬이차전지용 ZrO2 코팅 PVA (Polyvinyl Alcohol) 복합 부직포 분리막 개발
Development of Polyvinyl Alcohol (PVA) Non-woven Separator Coated with ZrO2 Ceramic Nanoparticles for Improving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nd Thermal Property of Lithium Ion Batteries 원문보기

전기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lectrochemical Society, v.20 no.3, 2017년, pp.49 - 54  

김기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신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차전지용 분리막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올레핀 계열 분리막의 취약한 열 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부직포 기반의 세라믹 코팅 복합 분리막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복합 분리막은 지르코늄 다이옥사이드 ($ZrO_2$) 나노 입자와 PVDF-HFP (Polyvinylidi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바인더로 구성된 세라믹 코팅층전기 방사로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 (PVA) 지지체 양면에 코팅하여 제조하였다. 개발 복합 부직포 분리막의 통기도 및 전해액 함침성을 측정한 결과 상용 PE 분리막 대비 매우 낮은 Gurley값과 우수한 전해액 함침 특성을 나타냈으며 이로 인해 이온 전도성이 상용 PE 분리막 대비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발 복합 부직포 분리막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위해 코인셀을 제조하였고 고율 방전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상용 PE 분리막 대비 고율방전 특성이 크게 향상됨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 복합 부직포 분리막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열 수축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개발 복합 부직포 분리막의 열수축율이 상용 PE 분리막 대비 크게 개선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develop a ceramic composite separator prepared by coating $ZrO_2$ nanoparticles with a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 copolymer on a polyvinyl alcohol (PVA) mechanical support prepared by electrospinning technique to improve thermal properties. The gurley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열 안정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킨 세라믹 복합 부직포 분리막 개발을 수행하였다. 열 안정성 및 전기화학적 특성이 향상된 세라믹 복합 부직포 분리막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지지체는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인 PVA (PVA는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다른 고분자와는 달리 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수용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전기 방사법을 이용하여 제조 할 시 환경 친화적이며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기계적 특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 특히 섬유나 필름 생산품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음.
  • 12))를 전기방사법으로 제조한 부직포를 사용하였으며 PVA 지지체의 기공 크기 제어를 위해 ZrO2 나노 입자와 PVDF-HFP (Polyvinylidi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바인더로 구성된 세라믹 코팅층을 PVA 부직포 양면에 Dip 코팅법을 이용하여 코팅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개발 분리막은 상용 분리막인 폴리에틸렌 (PE) 분리막과 전기화학적 특성 및 열안정성 특성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개발 분리막의 리튬이차전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한계는 무엇인가 리튬이차전지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분리막은 폴리올레핀 계열 물질로 화학적 및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재료적 특성과 연신을 포함하는 제조 공정상의 특징으로 인해 고온에서 극심한 열 수축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전지의 내부 단락을 일으키는 궁극적인 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2-4) 최근, 이러한 폴리올레핀 분리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열 안정성이 우수 한 부직포 형태의 분리막을 전기 방사법으로 제조하여 리튬이차전지에 도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차전지의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핵심 부품은 무엇인가? 리튬이차전지에서 안전성은 궁극적으로 양극과 음극이 서로 맞닿게 되는 내부 단락 현상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하는 분리막은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라 할 수 있다.1) 하지만 분리막이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분리막은 리튬이온의 이동 통로로 인식되어 대부분의 연구가 전지 성능 향상과 관련된 위주로 진행되고 있을 뿐 안정성 관련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리튬이차전지에서 안전성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가? 리튬이차전지에서 안전성은 궁극적으로 양극과 음극이 서로 맞닿게 되는 내부 단락 현상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양극과 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차단하는 분리막은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이라 할 수 있다.1) 하지만 분리막이 안전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분리막은 리튬이온의 이동 통로로 인식되어 대부분의 연구가 전지 성능 향상과 관련된 위주로 진행되고 있을 뿐 안정성 관련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P. Arora and Z. Zhang, 'Battery Separators' Chem. Rev., 104, 4419, (2004). 

  2. H. Lee, M. Yanilmaz, O. Toprakci, K. Fu, X. Zhang, 'A review of recent developments in membrane separators for rechargeable lithium-ion batteries' Energy Environ. Sci., 7, 3857 (2014). 

  3. S. S. Zhang, 'A review on the separators of liquid electrolyte Li-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64, 351 (2007). 

  4. P. Kritzer, 'Nonwoven support material for improved separators in Li-polymer batteries' J. Power Sources, 161, 1335 (2006). 

  5. Y. K. Kim, W. -Y. Lee. K. J. Kim, J. -S. Yu, Y. -J. Kim, 'Shutdown-functionalized nonwoven separator with improved therm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for lithium-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305, 225 (2016). 

  6. X. Zhang, L. Ji, O. Toprakci, Y. Liang, M. Alcoutlabi, 'Electrospun Nanofiber-Based Anodes, Cathodes, and Separators for Advanced Lithium-Ion Batteries' Polym. Rev., 51, 239 (2011). 

  7. T. H. Cho, T. Sakai, S. Tanase, K. Kimura, Y. Kondo, T. Tarao, M. Tanaka,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polyacrylonitrile nanofiber-based nonwoven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y' ECS Solid-State Lett., 10, A159 (2007). 

  8. J.-R. Lee, J. -H Won, S. -Y. Lee, 'SiO2/Styrene butadiene rubber-co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nonwoven composite separators for safer lithium-ion batteries' J. Electrochem. Sci. Tech., 2, 51 (2011). 

  9. T.-H. Cho, M. Tanaka, H. Onishi, Y. Kondo, T. Nakamura, H. Yamazaki, S. Tanase, T. Sakai, 'Silica-Composite Nonwoven Separators for Lithium-Ion Battery: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J. Electrochem. Soc., 155, A699 (2008). 

  10. S.-S. Choi, Y.S. Lee, C.W. Joo, S.G. Lee, J.K. Park, K.- S. Han, 'Electrospun PVDF nanofiber web as polymer electrolyte or separator' Electrochim. Acta, 50, 339 (2004). 

  11. Y.M. Lee, J.-W. Kim, N.-S. Choi, J.A. Lee, W.-H. Seol, J.-K. Park, 'Novel porous separator based on PVdF and PE non-woven matrix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 Power Sources, 139, 235 (2005). 

  12. C. Zhang, X. Yuan, L. Wu, Y. Han and J. Sheng, 'Study on morphology of electrospun poly(vinyl alcohol) mats' Eur. Polym. J., 41, 423 (2005). 

  13. K. J. Kim, J. -H. Kim, M. -S. Park, H. K. Kwon, H. Kim, Y. -J. Kim, 'Enhancement of electrochem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separators coated with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for Li-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198, 298 (2012). 

  14. K. J. Kim, H. K. Kwon, M. -S. Park, T. Yim, J. -S. Yu, Y. -J. Kim, 'Ceramic composite separators coated with moisturized ZrO2 nanoparticles for improving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nd thermal stability of lithium ion batteries' Phys. Chem. Chem. Phys., 16, 93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