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방성 제제의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을 위한 가이드라인
Guideline for Bioequivalence Studies of Controlled Release Products 원문보기

藥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harmaceutical sciences, v.40 no.1, 2010년, pp.63 - 66  

서현옥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김소희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안미령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안충열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박혜진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오은경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이은주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김보연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김민정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우나리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서희원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성과) ,  정수연 (식품의약품안전청 의약품안전국 의약품심사부 약효동등)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uidance Document for Bioequivalence Study" was revised for adding to bioequivalence studies of controlled-release products after meal(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Notification #2008-22, 2008.5.7). The bioequivalence study design for controlled-release products is $2{\times}2$ 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방성 제제에 대한 생물학적동등성시험기준 개정 내용을 살펴보았다. 서방성 제제의 경우, 공복 시험과 함께 식후 시험을 실시하도록 하였으며, 선진 외국의 기준을 검토하여 그 디자인, 투약방법 및 식단의 구성 등을 결정하였다.
  • 이에 따라 1988년 국내 생물학적동등성시험기준이 제정된 이후 선진외국의 기준과 국제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수차례 개정하였다. 최근에는 서방성 제제인 경우 식후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을 추가하는 내용으로 개정한 바 있으며(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8-22호, 2008.5.7), 본 논문에서는 그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방성 제제의 특성은? 서방성 제제는 그 특성상 투여된 형태 그대로 장시간 소화관 내에 체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화관 내 생리적 요인의 영향을 받기 쉬우며, 속방성 제제에 비해 고함량의 의약품이 한꺼번에 투여되므로 음식물에 의해 약물과량방출(dose dumping)이 일어날 수도 있다.3,4)
국내 생물학적동등성시험기준을 선진외국의 기준과 국제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개정한 이유는? 신약보다는 제네릭 의약품 개발이 활성화된 우리나라 제약업계의 현실여건을 고려할 때, 제약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네릭의약품 개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생물학적동등성시험제도의 선진화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1988년 국내 생물학적동등성시험기준이 제정된 이후 선진외국의 기준과 국제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수차례 개정하였다.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이란 무엇인가?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이라 함은 주성분이 전신순환혈에 흡수되어 약효를 나타내는 의약품에 대하여 동일 주성분을 함유한 동일 투여경로의 두 제제가 생체이용률 즉, 주성분 또는 그 활성대사체가 제제로부터 전신순환혈로 흡수되는 속도와 양의 비율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실시하는 시험을 말한다.1) 우리나라에서는 의약분업을 실시하고, 대체조제가 가능하게 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어, 생물학적동등성시험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uidance Document for Bioequivalence Study(KFDA Notification #2009-184), KFDA, Korea (2009). 

  2. Regulation on Drug Product Authorization, Declaration, & Review (KFDA Notification #2009-209), KFDA, Korea (2009). 

  3. Guidance for Industry: Food-Effect Bioavailability and Fed Bioequivalence Studies, FDA, US (2002). 

  4. L. Hendeles, M. Weinberger, G. Milavetz and M. Hill, Food-Induced “Dose-Dumping” from a Once-a-Day Theophylline Product as a Cause of Theophylline Toxicity, Chest, 87(6), 758-765 (1985). 

  5. Guideline on Food-Effect Bioavailability and Fed Bioequivalence Studies, NITR, Korea (2005). 

  6. J.M. Custodio, C.Y. Wu and L.Z. Benet, Predicting Drug Disposition, Absorption/Elimination/Transporter Interplay and the Role of Food on Drug Absorption, Advanced Drug Deilivery Reviews, 60, 717-733 (2008) 

  7. Guidnace for Industry: Bioavailability and Bioequivalence Studies for Orally Administered Drug Products - General Considerations, FDA, US (2003). 

  8. Guideline for Bioequivalence Studies of Generic Products, 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2006). 

  9. Note for Guidance on the Investigation of Bioavailability and Bioequivalence, EMEA (2001). 

  10. Note for Guidance on Modified Release Oral and Transdermal Dosage Forms: Section (Pharmacokinetic and Clinical Evaluation), EMEA (1999). 

  11. Conduct and Analysis of Bioavailability and Bioequivalence Studies - Part A: Oral Dosage Formulations Used for Systemic Effects, Health Canada, Canada (1992). 

  12. Conduct and Analysis of Bioavailability and Bioequivalence Studies - Part B: Oral Modified Release Formulations, Health Canada, Canada (1996). 

  13. Multisource (generic) Pharmaceutical Products: Guidelines on Registration Requirements to Establish Interchangeability,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937, 347-390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