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성슬러지공정 하수종말처리장의 단위공정별 세균 제거효율
Bacterial Removal Efficiencies by Unit Processes in a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Activated Sludge Process 원문보기

水質保全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26 no.5, 2010년, pp.871 - 879  

이동근 (신라대학교 제약공학과) ,  정미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수과학연구센터) ,  성기문 (대전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학과) ,  박성주 (대전대학교 대학원 미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figure out the removal efficiency of indicator and pathogenic bacteria by unit processes of a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activated sludge process, analyses were done for incoming sewage, influent and effluent of primary clarifier, aeration tank, secondary clarifier and final discharge condui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Salmonella 검출을 위해서는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여과한 여과지를 bismuth sulfite agar (BSA) 배지에 올려 놓고 배양하거나,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평판 배지 위에 도말하여 일정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결과 형성되는 집락 가운데 가장자리에 하얀색 테가 있으며 (halo effect), 검거나 짙은 갈색의 금속광택으로 반짝이는 세균집락을 전형적 인 추정양성 Salmonella (다음부터 'Salmonella' 로 표기) 로 간주하여 계수하였다.
  • Positive or negative values of variation represent decrease and increase, respectively, of bacterial concentrations at sampling sites. Samples were abbreviated as IN (incoming sewage to the plant), PI (influent of primary clarifier), PE (effluent of primary clarifier), AI (influent of aeration tank), AE (effluent of aeration tank = influent of secondary clarifier), SE (effluent of secondary clarifier = influent of final discharge conduit), and FE (final effluent). Unit processes were abbreviated as PC (primary clarifier), AT (aeration tank), SC (secondary clarifier) and FD (final discharge conduit)
  • 단위공정별 세균 제거효율은 각 단위공정으로 들어오는 유입수의 세균농도에서 빠져나가는 유출수의 세균 농도를 뺀 값을 유입수의 세균농도로 나눈 백분율(%)로 구하였다.단위공정별 세균감소 여부와 세균농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V12.
  • Salmonella 검출을 위해서는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여과한 여과지를 bismuth sulfite agar (BSA) 배지에 올려 놓고 배양하거나,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평판 배지 위에 도말하여 일정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결과 형성되는 집락 가운데 가장자리에 하얀색 테가 있으며 (halo effect), 검거나 짙은 갈색의 금속광택으로 반짝이는 세균집락을 전형적 인 추정양성 Salmonella (다음부터 'Salmonella' 로 표기) 로 간주하여 계수하였다. Shigella 는 xylose lysine desoxycholate (XLD) agar 배지에 올려놓거나, 연속희석된 시료일정량을 평판배지 위에 도말하여 일정시간동안 배양하였다.
  • Shigella 는 xylose lysine desoxycholate (XLD) agar 배지에 올려놓거나, 연속희석된 시료일정량을 평판배지 위에 도말하여 일정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배양한 후 형성되는 붉은색 세균집락을 전형적인 추정양성 Shigella (다음부터 ‘Shigella 로 표기)로 간주하여 계수하였다.
  • 병원성세균으로는 먹는샘물 수질기준에 설정되어 있는 장티푸스 원인균인 살모넬라(장티푸스균, Salmonella typhi) 와 이질 원인균인 시겔라(세균성이질균, Shigella)의 2종류 병원균을 대상으로 하여 막여과법 혹은 평판계수법을 실시하였다. Salmonella 검출을 위해서는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여과한 여과지를 bismuth sulfite agar (BSA) 배지에 올려 놓고 배양하거나,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평판 배지 위에 도말하여 일정시간동안 배양하였다.
  • 대전하수종말처리장은 연속흐름혼합반응조(continuous flow-stirred tank reactor, CFSTR)의 활성슬러지공법으로서, 처리흐름도는 유입펌프장, 조목스크린, 침사지, 세목스크린, 최초침전지(다음부터 ‘초침’이라 표기), 포기조, 최종침전지(다음부터 ‘종침’이라 표기 ), 최 종방류관거의 순서 이다. 시 료채 취지 점 은 유입 펌프장에서 나오는 유입생하수(incoming sewage to the plant, IN), 초침유입수(influent of primary clarifier, PI), 초침유출 수(effluent of primary clarifier, PE), 포기조유입수(influent of aeration tank, AI), 종침유입수인 포기조유출수(effluent of aeration tank, AE), 최종방류관거의 유입수인 종 침 유출수(effluent of secondary clarifier, SE), 그리고 하수처리장을 빠져나가는 최종방류수(final effluent, FE) 등 처리공정흐름도를 따라 선정하였다. 시료는 2003년 5월에서 12월 사이에 총 20회 채취하였으며, 특히 여름인 7월에는 12회에 걸쳐 집중 채취하였다.
  • 연속흐름 혼합반응조(CFSTR, continuous flow-stirred tank reactor) 의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처리되는 대전시 하수종말처리장의 단위공정별 세균 제거효율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입생하수(IN), 초침유입수(PI), 초침유출수(PE), 포기조유입수 (AI), 포기조유줄수(AE), 종침유줄수(SE), 최종방류수(FE)를 대상으로 일반세균 (HPC), 총대장균군(TC), 분원성대 장균군 (FC), 분원성연쇄상구균(FS), Salmonella 와 Shigella 농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막여과법으로 계수하였다.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여과한 구멍크기 0.45 um 의 여과지를 분원성연쇄상구균 선택배지인 m-Enterococcus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35℃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나타나는 세균집락 가운데 붉은색 계통의 세균 집락만을 전형적인 양성 분원성연쇄상구균으로 간주하여 계수하였다.
  • 막여과법으로 계수하였다.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여과한 구멍크기(pore size) 0.45 um의 여과지를 분원성 대장균군 선택배지인 m-FC 한천배지에 올려놓고, 44.5℃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나타나는 파란색의 세균집락을 전형적인 양성 분원성대장균군으로 간주하고 계수하였다.
  •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방류수 수질기준에서 지표세균의 적합여부를 판단함과 동시에 , 하수종말처리시설의 단위공정별로 지표세균은 물론 병 원성세균인 Salmonella 와 Shigella 의 제 거효율을 비교하였다.
  • 활용된다. 일반세균수는 영양한천(nutrient agar, NA) 평판배지에 연속희석된 시료 0.1 mL을 접종하고, 35℃, 48 시간 배양한 후 형성되는 모든 세균집락을 계수하였다.
  • )을이용하여 대응, -검정과 대응표본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지표 세균과 병원성세균은 Kay 등(2008)이 사용한 상용로그 (log)를 취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질기준에 총대장균군과 분원성 대장균군 등 지표세균은 3000 이하라고 명시되어 있어 측정된 세균수로도 분석하였다.
  • 처리장 전체의 세균 제거효율은 유입펌프장에서 양수되는 유입생하수 (in) 와 처리장에서 빠져나가는 최종방류수 (FE)의 세균농도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처리효율을 ‘세균 항목 (평균, 최소, 최대)’로 표시하면 TC (76, -74, 99), FC (95, 61, 100), HPC (95, 67, 99), FS (98, 94, 100), Salmonella (-25225, -199900, 100), Shigella (-4760, -72900, 100) 이었다.

대상 데이터

  • 2003년 현재 대전시 하수종말처리장의 1단계 처리시설 (15만 m3/일)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전하수종말처리장은 연속흐름혼합반응조(continuous flow-stirred tank reactor, CFSTR)의 활성슬러지공법으로서, 처리흐름도는 유입펌프장, 조목스크린, 침사지, 세목스크린, 최초침전지(다음부터 ‘초침’이라 표기), 포기조, 최종침전지(다음부터 ‘종침’이라 표기 ), 최 종방류관거의 순서 이다.
  • 시 료채 취지 점 은 유입 펌프장에서 나오는 유입생하수(incoming sewage to the plant, IN), 초침유입수(influent of primary clarifier, PI), 초침유출 수(effluent of primary clarifier, PE), 포기조유입수(influent of aeration tank, AI), 종침유입수인 포기조유출수(effluent of aeration tank, AE), 최종방류관거의 유입수인 종 침 유출수(effluent of secondary clarifier, SE), 그리고 하수처리장을 빠져나가는 최종방류수(final effluent, FE) 등 처리공정흐름도를 따라 선정하였다. 시료는 2003년 5월에서 12월 사이에 총 20회 채취하였으며, 특히 여름인 7월에는 12회에 걸쳐 집중 채취하였다. 채취기간 동안 처리장의 소독공정은 가동되지 않았다.
  • 동정은 실시하지 않았다. 지표세균 계수에 필요한 배지 등은 Fluka와 BBL 등에서 구하였으며, 기타 시약은 Sigma에서 구하였다. 각 지표세균의 계수에는 수질오염 공정시험 방법(환경부, 2004)과 먹는 물 수질 공정시험 방법(환경부, 2008b)에 수록된 방법과 동일한 것이기는 하지만, 본연구는 이들 시험방법이 시행되기 이전에 수행된 것이다.

데이터처리

  • 값을 유입수의 세균농도로 나눈 백분율(%)로 구하였다.단위공정별 세균감소 여부와 세균농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 (V12.0) (SPSS Inc.)을이용하여 대응, -검정과 대응표본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지표 세균과 병원성세균은 Kay 등(2008)이 사용한 상용로그 (log)를 취하여 분석하였으며, 수질기준에 총대장균군과 분원성 대장균군 등 지표세균은 3000 이하라고 명시되어 있어 측정된 세균수로도 분석하였다.
  • 양의 제거효율은 100%를 초과할 수 없는 반면 음의 제거효율은 -199900%와 같은 음수값에 의해 처리효율이 왜곡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합리적인 제거효율을 산출하기 위해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Table 1에 하수처리장 유입생하수(IN)와 최종방류수(FE) 사이인 전체 처리장(IN-FE)의 세균 농도 변화의 평균, 최소, 최대와 함께 대응표본 △검정으로 구한 P-값을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 막여과법으로 계수하였다. 연속희석된 시료 일정량을 여과한 구멍크기(pore size) 0.
  • 최적확수법은 희석배수마다 5개의 발효관에 lauryl tryptose broth(LTB) 배지와 기포 포집관(Durham관) 을 넣고, 여기에 1/10씩 연속희석된 시료를 접종하여 35℃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기포가 발생된 발효관을 양성으로 간주한다. 양성시험관수를 세어 MPN 표를 이용하여 대장균군 수를 추정하는 추정-MPN 법을 사용하였다.
  • 총대장균군은 최적확수법 (most-probable-numbers, MPN) 을 적용하였다. 최적확수법은 희석배수마다 5개의 발효관에 lauryl tryptose broth(LTB) 배지와 기포 포집관(Durham관) 을 넣고, 여기에 1/10씩 연속희석된 시료를 접종하여 35℃ 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기포가 발생된 발효관을 양성으로 간주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