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재에서의 세균과 진균 오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acterial and Fungal Contamination in the Herbal Medicin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12, 2010년, pp.4826 - 4832  

이진성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  윤영식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0년 6월 1일부터 2010년 7월 30일까지 2개월간 서울에 위치한 3곳의 약업사에서 각각 13종의 한약재를 구입하여 이들에 대한 총 호기성 세균 및 진균에 대한 미생물 오염 실태를 분석하여 한약재에 대한 미생물 오염 검사기준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WHO의 총 호기성 세균 및 진균수 오염한도인 $10^7$ CFU/g과 $10^4$ CFU/g과 비교하면, 총 호기성 균 오염(7.7%)보다는 진균의 오염(12.8%)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7개의 세균 집락을 대상으로 한 16S rRNA 유전자에 대한 DNA 상동성 분석은 내성 포자를 형성하는 B. cereus를 포함한 토양 유래 세균들이 약 96.6%를 차지하여 한약재의 채취와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의 미생물 오염 한도 기준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약의 가공과정에 세균 및 진균의 혼입 가능성에 대한 시험조사와 함께 지속적인 한약재에 대한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has been done for about two months through June 2 to July 30 of 2010. The study subjects are three herbal-pharmaceutical companies located in Seoul. Each of them purchased thirteen types of medicinal herbs, then the study did analysis for microbial contamination status of bacteria and f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서울 경동시장에 위치한 3곳의 약업사에서 임의로 13종의 한약재를 선정해서 이들에 대한 총 호기성 세균과 진균의 정량 평가 및 주요 오염 세균에 대한 분자적 확인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재란 무엇인가? 자연에서 자라며 약리학적 효능이 있는 식물을 건조 또는 가공한 것을 한약재라고 하는데 일부 살균 효과가 있는 가열공정을 거친 것을 제외하고는 살균과정을 거친 것은 거의 드물다. 따라서 한약재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 수준과 주요 미생물의 모니터링 조사 연구는 한약재의 위생관리 및 오염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1-3].
한약재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 수준과 주요 미생물의 모니터링 조사 연구가 한약재의 위생관리 및 오염관리에 있어 중요한 이유는? 자연에서 자라며 약리학적 효능이 있는 식물을 건조 또는 가공한 것을 한약재라고 하는데 일부 살균 효과가 있는 가열공정을 거친 것을 제외하고는 살균과정을 거친 것은 거의 드물다. 따라서 한약재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 수준과 주요 미생물의 모니터링 조사 연구는 한약재의 위생관리 및 오염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1-3].
현재 유통되는 한약재는 대부분 어떤 상태인가? 따라서 한약재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오염 수준과 주요 미생물의 모니터링 조사 연구는 한약재의 위생관리 및 오염관리에 있어서 중요하다[1-3]. 현재 유통되는 한약재의 대부분은 일정기간 동안 보관하였다가 공급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토양이나 곤충 및 기타 불순물은 제거되지만 미생물의 제어는 곤란한 실정이다[4,5,6]. 따라서 한약재의 생산, 가공, 유통 단계에서 적절한 보관과 관리가 시행되지 않으면 한약재가 미생물에 오염되었을 경우 미생물이 증식에 의한 한약재의 부패나 변질이 가속화되어 한약재의 품질 저하와 이에 따른 한약의 약효를 떨어뜨릴 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 Kimura, et al., "Effects of steam sterilization on changes in the microbial counts, color and consititutes of powered hernbal drugs". Journal of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Vol. 31, No. 12, pp. 751-758, 2003. 

  2. I. Kosalec, et al., "Contaminants of medicinal herbs and herbal products". Arh Hig Rada Toksikol., Vol. 60, pp. 485-501, 2009. 

  3. H. M. Martins, et al.,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quality of medicinal plants used in natural infusions". Int. J. Food Microbiol., Vol. 68, pp. 149-153, 2001. 

  4. T. E. Chang, et al., "Microflora of manufacturing process and final products of saengshik".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6, No. 3, pp. 501-506, 2004. 

  5. 최선미, 정희진, 윤유식, 이미영, 최환수, 성현제 , "한약재 품질 관리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제21권 3호, pp. 99-112, 2000. 

  6. C. Wilson, et al., "Pathogen growth in herbal teas used in clinical settings: A possible source of nosocomial infection?". Am. J. Infect. Control., Vol. 32, pp. 117-119, 2004. 

  7. EP. Biological Tests. Supplement 5.2. "Bacterial Endotoxins. In: European Phamacopoeia (EP)". 5th eds., Strasbourg, France: Council of Europe -European Directorate for the Quality of Medicines, 2005. 

  8. EPA. "Good Laboratory Practice Standards: Toxic Substances Control Act". CFR. 792, 2003. 

  9. FDA. "General Biological Products Standards: General Provisions, Purity". CFR. 610.13, 2005. 

  10. T. Hauer, et. al., "Tea as a source of Acinetobacter baumannii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Vol. 20, pp. 594, 1999. 

  11. USP. "Bacterial Endotoxins Test". USP 30 NF25(85). Rockville, MD:The U.S. Pharmacopeial (USP) Convention, 2007a. 

  12. USP. "Pyrogen Test". USP30 NF25(151). Rockville, MD: The U.S. Pharmacopeial (USP) Convention, 2007b. 

  13. FDA. "Good Laboratory Practices for Nonclinical Laboratory Studies". CFR. 58, 2003. 

  14. Japanese Pharmacopeia B 14th eds., B, pp. 287-308, 1999. 

  15. Japanese Pharmacopeia B 14th eds., F, pp. 104-106, 1999. 

  16. Korean Pharmacopoeia 8th eds. pp. 1616-1632. 2008. 

  1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guidelines for assessing quality of herbal medicines with reference to contaminants and residue". Geneva, WHO, 2007. 

  18. World Health Organization. "Supplementary guidelines on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for the manufacture of herbal medicines". Geneva, WHO, 2006. 

  19. D. J. Beecher, et al.,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antigens detected by two commercial Bacillus cereus diarrheal enterotoxin immuno assay kits". Appl. Environ. Microbiol., Vol. 60, pp. 4614-1651, 1994. 

  20. L. K. Nakamura, et. al., "Bacillus pseudomycoides novel species". Int. J. Syst. Bacteriol., Vol. 48, pp. 1031-1035, 1998. 

  21. B. P. Simmons, et al., "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s in neonates associated with intrinsic contamination of a powdered infant formul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Vol. 10, pp. 398-401, 1989. 

  22. E. Czech, et. al., "Microbiological status of commercially available medicinal herbal drugs". Planta Med., Vol. 67, No. 3, pp. 263-269, 2001 

  23. J. C. Borwn, et. al., "Prevalence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on herbal products". J. Good Prot., Vol. 71, No. 7, pp. 1486-1490, 2008. 

  24. R. S. Farag,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Egyptian spice essential oils". J. Food Prot., Vol. 52, pp. 665-667, 1989. 

  25. S., N. Kimura, et. al., "Effects of steam sterilization on changes in the microbial counts, color and consititutes of powered hernbal drugs". Journal of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s, Vol. 31, No. 12, pp. 751-758, 2003. 

  26. I. Kosalec, et. al., "Contaminants of medicinal herbs and herbal products". Arh. Hig. Rada. Toksikol., Vol. 60, pp. 485-501, 2009. 

  27. H. M. Martins, et. al.,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quality of medicinal plants used in natural infusions". Int. J. Food Microbiol. Vol. 68, pp. 149-153, 2001. 

  28. J. Singh, et. al., "Antibacterial activity of yogurt starter in cow and buffalo milk". J. Food Prot., Vol. 42, pp. 664-665, 1979. 

  29. H. D. Belitz, et. al., "Food Chemistry, Springer-Verlag, Berlin, 1987. 

  30. J. A. Morris, "Antimicrobial activity of aroma chemicals and essential oils". J. Am. Oil Chem. Soc., Vol. 56, pp. 595-603, 197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