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세권 특성이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분석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way Trips and Characteristics of Subway Catchment Are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12, 2010년, pp.5191 - 5198  

조현우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석환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신강원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철 이용수요와 토지이용, 개발밀도, 환승교통체계, 접근성과 같은 다양한 역세권 특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어 왔으나, 역세권내 보행 가로망 구조와 지하철 이용수요간의 관계에 관한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79개 지하철 역세권내 가로망의 구조를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역세권내 가로망 구조의 접근성을 포함한 다양한 역세권 특성이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역세권 가로망 구조를 대변할 수 있는 공간지표인 통합도, 연결도, 명료도 중 역세권 가로망의 접근 편의성을 나타내는 통합도가 높을수록 지하철 이용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세권 토지이용형태와 개발밀도를 각각 반영하는 집객시설 집중도와 용적률이 높을수록 지하철 이용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산광역시의 지하철 역세권 구조를 대중교통 중심의 개발 체계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역세권내 보행가로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로 설계와 통행 목적성이 강한 도시시설물을 압축 고밀의 건축물에 조성하기 위한 노력들이 추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way travel demand (STD)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subway catchment area (SCA), a few studie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D and the structure of pedestrian networks within each SCA. Hence, this study evaluates the stru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 하에 그간 지하철 이용수요와 토지이용, 개발밀도, 환승교통체계, 접근성과 같은 다양한 역세권 특성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추진되어왔으나, 역세권내 보행 가로망의 구조와 지하철 이용수요간 관계에 관한 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79개 지하철 역세권내 가로망의 구조를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역세권 가로망 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역세권 특성이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부산시 지하철 역세권의 특성과 이용수요의 관계를 대중교통중심개발적(TOD) 측면에서 객관적이며, 정량적인 실증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권역안에 있는 85개의 지하철역 중 열차 환승역(서면역, 연산동역, 수영역, 동래역) 과 광역적인 접근수단의 버스 환승역(부산역, 노포동역) 을 제외한 총 79개 지하철역의 역세권 특성과 지하철 이용수요와의 관계를 탐색적방법과 가산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정성적인 접근 편의성 변수를 이용하여 지하철 이용수요와 TOD 설계요소간 관계를 규명한 선행연구와 달리 공간구문론을 통해 산출된 정량적인 접근 편의성을 포함하여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각 인자의 특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하지만, 부산시 지하철 역세권의 특성만 반영한 실증분석 결과로 타 도시에 대한 역세권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이용수요와 TOD의 주요 설계 요소 중 접근 편의성의 관계를 객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기 위해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역별 지하철 이용수요는 역세권 통합도 (i.e. 접근편의성) 뿐 아니라 다양한 역세권 특성에 영향을 받는바, 본 절에서는 표 1에 제시한 부산시 지하철 역세권 특성들이 지하철 이용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통발생량과 관련 변수간의 관계 규명에 주로 사용되는 가산모형 중 지하철 이용수요가 항상 양의 값을 갖는다는 점과 관측된 자료의 분산이 평균보다 크다는 과분산 (over-dispersion) 현상을 반영하기 위해 음이항 모형 (negative binomial model)을 적용하였으며, 모형 구조는식.

가설 설정

  • B 교수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1980년대부터 연구‧개발되었다. 공간구조의 사회적 영향 관계를 가시성(Visibility)과 접근성 (Accessibility)을 기준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분석‧ 해석하는 연구 방법론으로, 공간구조상의 중요도를 분석 대상 범위내의 모든 공간이 기점이자 종점이 된다는 가정하에 각 공간의 접근성을 산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OD의 장점은? TOD는 도시공간구조를 지하철 역세권을 ‘대중교통 결절점’의 중심으로 하여 도보로 접근 가능한 범위에서 고밀도의 복합적 토지이용, 중심기능의 집중배치, 보행과 자전거 수단 등 교통약자 친화적인 도시설계 요소를 적용하여 개발함으로써 도시의 외연적 확산을 방지하고, 자동차이용을 최소화하여 도시교통혼잡과 환경문제 그리고 시민의 안정과 건강을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지하철 역세권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TOD의 도시설계요소를 고려하여 지하철의 지속적인 건설 및 환승할인제도 도입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하철 이용수요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행친화적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은 무엇이 있는가? 지역지구제(zoning)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기능주의적․평면적 도시계획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보행친화적 도시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도시계획의 패러다임으로서 어번빌리지(Urban village), 컴팩트시티(Compact city), 뉴어바니즘(New urbanism) 등이 대두되고 있다.
대중교통중심개발적 측면에서 역세권 특성과 이용수요 관계 등을 분석한 결과는? 첫째, 토지이용의 혼합적 측면에서는 역세권 내의 다양한 토지이용(상업, 주거, 녹지, 공업)의 비율 및 면적보다는 집객시설 집중도가 이용수요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는 통행 목적성이 강한 시설물을 역세권 공간구조에 우선 배치함으로써 대중교통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공간구문론을 이용해 도출한 역세권의 접근 편의성 변수 중 역세권 통합도의 합(총접근성)이 타 변수에 비해 지하철 이용수요와 상대적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역세권 내 보행가로를 역으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방향 전환이 적은 격자형 가로 패턴의 설계를 통하여 역으로의 접근 시 공간의 인지가 용이 하도록 공간구조를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길과 길사이의 연결성을 높여 지하철역으로 다양한 접근기회를 제공하는 공간구조 개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개발밀도 측면에서는 역세권의 용적률이 높을수록 지하철 이용수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OD형 도시공간구조 설계를 위해서는 역세권의 공간구조를 압축‧고밀의 컴팩트한 공간으로 유도 및 조성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성현곤.김옥연.김진유,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의 의의와 바람직한 개발방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보지, 통권, 제321호, pp. 3-14, 12월, 2008. 

  2. 황기연, 신상영, 조용학, 손기민, "TOD형 개발 촉진을 위한 통합교통서비스 지표의 개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8권, 제1호, pp. 1-10, 1월, 2008. 

  3. 박세훈, 손동욱, 이진희, "대중교통중심형 도시로의 개편을 위한 역세권 도시공간구조 분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9권, 제29호, pp. 111-120, 1월, 2009. 

  4. 이상국, 김율성, 이원규, "부산 지하철 역세권 잠재이용승객에 관한 연구", 부산발전연구원, 현안연구보고서, 4월, 2007. 

  5. 이도희, 김억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한 도시노인의 접근유발요소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3권, 제5호, pp.165-178, 10월, 2008 

  6. 손동욱, 김진 "서울시 역세권의 도시공간특성과 대중교통 이용률간의 연관성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1권, 제1호, 3월, 2010. 

  7. 윤용우, 김영욱, 박영기, "물리적인 거리와 공간깊이가 공간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지, 제21권, 제5호, pp. 77-84, 5월, 2005. 

  8. 김영욱, 신행우, "토지이용에 따른 보행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8권, 제3호, pp.83-94, 9월, 2007. 

  9. 서정화, 이명훈, 전병혜, "대학가 역세권의 보행 및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3권, 제2호, pp. 35-45, 4월, 2008. 

  10. 이재영, 송태수, "수도권 신도시의 역세권과 지하철 이용행태 변화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9권, 제4호, pp. 93-103, 8월, 2004. 

  11. 김대웅, 유영근, 최한규, "지하철 도보역세권 설정방법과 적용에 관한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7권, 제5호, pp. 177-186, 10월, 2002. 

  12. 김동준, 김덕녕, 양재환, 성현곤, 이성모, "역세권특성에 따른 수요예측의 정확도 분석", 교통연구원, 제17권, 제1호, pp. 23-35, 3월, 2010. 

  13. 손기민, 심현진, "Factors generating boarding at Metro st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ities, 제27권, 제5호, pp. 358-368, 10월, 2010. 

  14. Cervero, R. and Gorham, R. "Commuting in transit versus automobile neighborhood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 61, NO.2, pp. 210-225, 1995. 

  15. Frank, L. and Pivo, G. "Impact of mixed use and density on utilization of three modes of trave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Vol. 1466, pp. 44-52, 1995. 

  16. Hillier, B. "Space is the Machine. Cambridge Univercity Press, 1996. 

  17. Jang, T. Count data models for trip generation. ASCE Journal of Transportation Engineering. Vol. 131, Issue 6, pp. 444-450, June 2005. 

  18. Washington. S., Karlaftis. M., Mannering. F.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 Hall/ CRC, Washington, D.C. 2003. 

  19. http://www.spacesyntax.com 

  20. http://www.humetro.busan.kr 

  21. http://sgis.kostat.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