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억부하가 얼굴과 공간 작업기억의 유지에 미치는 효과: 사건유관 fMRI 연구
The Effect of Memory Load on Maintenance in Face and Spatial Working Memory: An Event-Related fMRI Study 원문보기

인지과학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v.21 no.2, 2010년, pp.359 - 386  

김정희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  정광우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강형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  이무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  박태진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기억의 유지 처리에 대한 영역특수모형과 처리특수모형을 검증하고자 수행한 사건유관 fMRI 연구이다. 지연반응과제에서 얼굴자극을 표적자극으로 사용하고 표적자극의 수를 달리하여 기억부하를 조작하였으며 일정한 지연기간 후 위치 및 얼굴 재인판단을 요구하였는데, 지연 동안 정보유형(위치와 얼굴)이 기억부하효과의 신경상관물에 미치는 영향을 뇌영상 처리로 분석하였다. 독립변인은 정보유형(자극영역)과 기억부하(표적자극의 수)로서, 정보유형변인은 얼굴작업기억(비공간작업기억) 및 공간작업기억의 두 수준, 기억부하변인은 표적자극이 1개인 조건(저부하)과 3개인 조건(고부하)이었다. 행동수행 분석 결과, 재인정확도에 있어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두 작업기억 모두에서 동등한 정도의 기억부하효과가 확인되었다. 뇌 영상분석 결과, 유지단계에서 전전두피질의 하측 및 중/상측영역이 모두 얼굴작업기억과 공간작업기억 양자와 관련되고 특히 VLPFC가 두 작업기억에 공통적으로 관련된다는 것이 밝혀졌는데, 이러한 결과는 처리성분에 따른 전전두피질의 기능적 전문화를 주장하는 처리특수모형에 더 잘 부합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domain-specific model and process-specific model of spatial and nonspatial working memory (WM), this study manipulated the memory load of the delayed response task and examined how the neural correlates of memory load effect was influenced by the stimulus domain (face and 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기억부하를 조작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되, 작업기억용량에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는 수준에서 저부하조건과 고부하조건간 차이(기억부하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부하조건들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각 시행의 지연 동안에 시간경과에 따라 유지에 상응하는 단계를 구분하여 뇌 영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참가자, 동일한 실험자극, 동일한 운동반응을 공간 및 비공간 작업기억과제 양자에 적용하고, 인지적 처리 요구 및 두 작업기억과제의 난이도 차이를 최소화하는 실험조건을 채택하며, 지연반응과제를 사용하여 사건유관설계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억부하를 조작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되, 작업기억용량에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는 수준에서 저부하조건과 고부하조건간 차이(기억부하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부하조건들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각 시행의 지연 동안에 시간경과에 따라 유지에 상응하는 단계를 구분하여 뇌 영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간(위치) 및 비공간(얼굴) 작업기억과 관련된 PFC 하부영역의 기능적 구조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PFC 하부영역인 DLPFC와 VLPFC, 그리고 두정영역의 SPL과 IPL이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기억의 유지 기능과 어떻게 관련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방법론적 차이는 각 연구의 결과 해석을 모호하게 하고 연구 결과들 간 비교를 어렵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한 참가자, 동일한 실험자극, 동일한 운동반응을 공간 및 비공간 작업기억과제 양자에 적용하고, 인지적 처리 요구 및 두 작업기억과제의 난이도 차이를 최소화하는 실험조건을 채택하며, 지연반응과제를 사용하여 사건유관설계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억부하를 조작하여 그 효과를 관찰하되, 작업기억용량에 과도한 부담이 되지 않는 수준에서 저부하조건과 고부하조건간 차이(기억부하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부하조건들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 특히 정보의 유형(얼굴과 위치)에 따른 기억부하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작업기억 유지기능과 관련된 뇌 활성화 영역들이 정보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연반응과제에서 정보유형과 기억부하를 조작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뇌 활성화 패턴을 사건유관 fMRI 연구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작업기억의 유지와 관련된 영역 특수 신경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 이상과 같은 방법론적 고려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의 유지와 관련된 영역특수 신경기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보의 유형(얼굴과 위치)에 따른 기억부하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작업기억 유지기능과 관련된 뇌 활성화 영역들이 정보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간(위치) 및 비공간(얼굴) 작업기억과 관련된 PFC 하부영역의 기능적 구조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PFC 하부영역인 DLPFC와 VLPFC, 그리고 두정영역의 SPL과 IPL이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기억의 유지 기능과 어떻게 관련 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연반응과제를 사용하되 표적자극의 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지연 동안의 기억부하를 조작하였다.
  • 이상과 같은 방법론적 고려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작업기억의 유지와 관련된 영역특수 신경기전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보의 유형(얼굴과 위치)에 따른 기억부하효과를 조사함으로써 작업기억 유지기능과 관련된 뇌 활성화 영역들이 정보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연반응과제에서 정보유형과 기억부하를 조작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뇌 활성화 패턴을 사건유관 fMRI 연구를 통해 확인함으로써, 작업기억의 유지와 관련된 영역 특수 신경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oldman-Rakic란? 작업기억에 대한 신경과학적 관점과 심리학적인 관점을 개념적으로 통합한 대표적 사례로서 Goldman-Rakic[1-2]을 들 수 있다. 신경과학적 관점에 따르면 시각 정보처리에서 배측과 복측 경로는 각각 ‘무엇’과 ‘어디’를 표상하는 체계로서 상이한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 PFC) 하부영역으로 투사된다.
작업기억 연구에 흔히 사용되어온 지연반응과제는 각 시행들을 시간상의 순서에 따라 어떤 단계로 구분하고 있는가? 작업기억 연구에 흔히 사용되어온 지연반응과제는 각 시행들을 시간상의 순서에 따라 부호화, 유지, 인출 등의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의 신경상관물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확인하는 데 유리하다. 작업기억의 순수한 유지기능을 확인하는데 있어 부호화 단계에서 기억해야 할 자극의 수를 조작함으로써 지연 도중 유지해야 할기억부하의 수준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유력하다.
대상작업기억에서 양반구 MFG 와 IFG를 보고하는 등 일치하지 않는 결과들이 보고되어서 어떤 결과를 초래하였는가? 공간작업기억에서 우반구 하측 전두회(inferior frontal gyrus; IFG), 대상작업기억에서 아무런 전두영역도 보고하지 않았 거나[6], 공간작업기억에서 우반구 DLPFC, 대상작업기억에서 양반구 DLPFC를 보고 하였거나[7], 공간작업기억에서 양반구 DLPFC와 VLPFC, 대상작업기억에서 좌반구 VLPFC를 보고하였거나[8], 공간작업기억에서 전운동피질, 대상작업기억에서 우반구 IFG와 안와전두피질(orbitofrontal cortex; OFC)을 보고하였거나[9], 공간작업기억에서 중측 전두회(middle frontal gyrus; MFG), 대상작업기억에서 양반구 MFG와 IFG를 보고하는[10] 등 일치하지 않는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불일치는 각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자극의 특성과 실험패러다임이 서로 상이한데 기인하는 것으로 짐작되 지만, 결과적으로 영역특수모형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영역특수모 형의 예측과는 달리 작업기억과제 수행 도중 전전두피질의 활성화 영역이 자극영 역에 따라 구분되지 않고, 동일한 전전두피질 영역이 공간작업기억과 비공간작업 기억 양자와 관련된다는 것을 여러 신경영상연구들[11-14]이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