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언어학적 분석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Analysis of Texts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by Curriculum Revision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7 no.3, 2007년, pp.242 - 252  

맹승호 (서울대학교) ,  김혜리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  이정아 (서울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의 모든 과학(자연) 교과서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기압'과 '바람'을 다루는 텍스트를 체계기능언어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관념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과학적 정보를 많이 담고 있는 텍스트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정보의 형태는 '원리'보다는 '정의'와 '사실'이었다. 상호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학생과 텍스트 사이의 거리는 점점 줄어들었으며, 학생들의 사회적 지위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점차적으로 고려되었다. 구성적 메타기능 측면에서 전문적 용어와 기호의 비율은 감소 추세에 있었으나, 과학 교과서에서 텍스트양 또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에는 문장에 주어가 제시되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주어가 생략되었다. 또한 주어와 문장 첫 구의 일치율은 7차의 교과서 텍스트에서 그 일치도가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science texts covering 'air pressure' and 'wind' in common with every curriculum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7^{th}$ curriculum in terms of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Important findings reveal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aspect of ideation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과학의 입문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쓰인 과학 교과서의 텍스트가 어떠한 형태로 변화되어 왔는가를 체계기능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는 교육과정의 개정에 따른 텍스트의 변화 양상을 단순히 내용의가감(加減)이나 사용 용어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과학 교과서 텍스트와 학습자의 관계.

가설 설정

  • 3:56 위의 세 가지 빨대 실험에서, 빨대 속의 공기의 압력 이병 속의 공기 압력보다 어떠할 때 물이 잘 올라온다고 생각하는가?
  • 4:13-14 기압은 장소에 따라 다르다. 주위보다 기압이 높은 것을 고기압이라 하고, 주위보다 기압이 낮은 것을 저기압이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교육부 (1997).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인적자원부 (2002) 과학 6-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김영수, 임수진 (1997) 과학 및 생물 교과서의 생 물 용어 분석과 생물 용어 난이도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1), 89-103 

  4. 김현아 이동준, 이준규 (2006). 중학교 과학교과서 생명의 연속성 관련 단원의 개념 수준과 구성 체제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3), 342-354 

  5. 노태희, 차정호, 왕혜남 (2004). 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삽화에 나타난 성역할 고정관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23(1), 85-91 

  6. 문교부 (1953). 과학공부 5-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7. 문교부 (1959). 자연 5-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8. 문교부 (1965).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9. 문교부 (1973).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0. 문교부 (1983).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1. 문교부 (1990). 자연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2. 박인근, 정양선 (2005). 한국. 일본. 대만의 중등학교 과학교과서 생물학 용어의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33-54 

  13. 송판섭, 김정덕, 문병찬 (2003). 제6차와 제7차 교육 과정의 슬기로운 생활 교과서 삽화 비교 분석-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2(3), 251-259 

  14. 이상현, 최규상 (2000).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물리용어에 대한 선호도 및 이해도 조사. 새물리, 41(5), 279-286 

  15. 이선희, 이지연, 정병갑 (2003). 제6,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1), 24-41 

  16. 이화자 (1989). M A. K. Halliday's language theory and its implications on literacy instruction. 응용언어학, 2, 25-47 

  17. 전경문, 박현주, 노태희 (2004). 고등학교 과학교과 서의 과학의 탐구 단원에 제시된 과학사 내용분석:6 차와 7차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25-832 

  18. 정화숙, 박현숙, 임영진, 김자림 (2005) 제7차 교육 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2), 196-208 

  19. 최봉영 (2005). 한국 사회의 차별과 억압: 존비어 체계와 형식적 권위주의. 서울: 지식산업사 

  20. 최영란, 이형철 (1998). 초등학교 자연 교과서의 삽 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17(2). 45-53 

  21. Bernstein, B. (1996). Pedagogy, symbolic control and identity: Theory, research, critique. London: Taylor and Francise 

  22. Bloor, T., & Bloor, M (2004). The functional analysis of English (2nd ed.). New Yok: Arnold Publisher 

  23. Cardinal, L. A. (1992). Using explication to improve vocabulary acquisition. The American Biology Techer, 54(3), 291-292 

  24. Cobley, P. (2001). Introducing semoitics (2nd ed.). Cambridge: Totem Books 

  25. Dimopoulos, K., Koulaidis, V., & Matiatos, S. (2006). Textual analysis of a science center: Expressive modes and positioning implications.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ublic Communic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542-548 

  26. Eggins, S. (2004). An introduction to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2nd ed.), London: Continuum 

  27. Fang, Z. (2005), Scientific literacy: A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perspective. Science Education, 89(2), 335-347 

  28. Lemke, J. L. (J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J: Alex Publishing Corporation 

  29. Halliday, M A. K. (J985).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London: Edward Arnold 

  30. Halliday, M A. K., & Hasan, R. (J985). Cohesion in English. London: Longman 

  31. Halliday, M A. K., & Martin, J. R. (J993).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London: The Falmer Press 

  32. Halliday, M. A. K., & Matthiessen, C. M. I. 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3rd ed.). London: Arnold 

  33. Storey, J. (J993). An introductory guide to cultural theory and popular culture. Athens: University of Georgia Press 

  34.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PA: Open University press 

  35. Yager, R. E. (1983). The importance of terminology in teaching K-12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6), 577-5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