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아동 입양어머니의 양육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입양 후 장애가 드러난 경우-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the Child-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Who Adopted Disabled Children -In Case of Finding Disability after Adoption-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2 no.1, 2010년, pp.83 - 107  

김가득 (전북대학교) ,  유정숙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출생 3개월 이전에 정상아인줄 알고 입양한 후, 양육과정에서 장애가 드러난 장애아동을양육하는 입양어머니의 내적 경험을 Van Manen(2000)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서울 광주 경남 전북에서 6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였다. 연구결과, '안개 속을 헤메임, 삭히는 시간, 고통 중의 감사, 세상에 당당히 맞섬, 내 삶의 중심으로 들어 온 아픈 아이, 아직 살아보지 않은 날에의 기대'로 도출된 본질적 주제를 통해 '아픈 아이의 꿈을 이뤄주고 싶은 엄마마음'으로 해석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조금은 부족한 아이이므로 더 잘 키워주어 아이의 꿈을 이뤄주고 싶은 어머니의 마음은 결국 한 생명에 대한 사랑이었다. 긴 가슴앓이의 시간 후, 입양어머니에게 아이의 장애는 짐이 아니라 새로운 세상에의 기대로 나타나고 있고, 아동의 홀로서기를 만들어내고 있으며, 세상의 모든 아이는 가정을 가질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ner experience of foster mothers who adopted children under 3 months old and found out they were disabled while they were rearing with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with six foster mothers who live in Seoul, Gwangju, Gy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입양은 어떤 경향으로 이뤄졌는가? 그동안 우리나라의 입양은 혈연을 중시하는 문화와 입양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해외입양과 비밀입양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최근 10여년 사이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면서 국내입양과 공개입양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여년 사이에 입양 문화가 어떻게 바뀌었는가? 그동안 우리나라의 입양은 혈연을 중시하는 문화와 입양에 대한 편견으로 인해 해외입양과 비밀입양이 주류를 이루어왔다. 그러나 최근 10여년 사이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면서 국내입양과 공개입양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친자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양을 하는 유자녀가정의 입양이 꾸준히 늘고 있다.
입양아동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에서 장애아동 부모가 연구에 참여함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여기에 참여한 137명의 아동 중 약 9.5%인 13명의 장애아동 부모가 자발적으로 이 종단연구에 참여하고 있음은 좋은 부모가 되고자 하는 노력이라는 점과 함께, 장애아동 입양부모로서의 어려움이라는 그들의 절실한 욕구를 드러내고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