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7~2009년 서울 강북지역에서 유통되고 있는 건조과실류 4종류에 대하여 전제 213건의 시료를 수거하여 잔류 농약을 분석하였다. 20종의 농약이 검출되었으며 66건(31.0%)의 시료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8건(3.8%)의 시료에서 잔류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농약성분별 검출 빈도는 cypcrmethrin, fenvalerate, endosulfan, chlorpyrifos, bifenthrin 순이었다. 농약계열별 분포로는 피레스로이드계, 유기인계, 유가염소계, 다카르복시미드계 농약 순으로 검출이 높았다. 작물별 구기자(53.0%), 대추(34.9%), 복분자(7.6%), 오미자(4.6%) 순으로 검출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검출농약이 잔류하는 건조대추의 섭취로 인체에 유입될 원일 섭취 추정량으로 평가된 위해지수는 각 농약별 위해성 평가는 %ADI 값이 모두가 0.0001~0.0081%로서 인제 위해도는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analyze for pesticide residues in 4 kinds of dried fruits collected in northern area of Seoul in 2007~2009. Total of 213 samp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20 kinds of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Residual pesticides were detected in 66 samp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향후 건조과실류의 잔류농약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건조과실류의 안전성 관리기준의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건조과실류에 대한 잔류농약의 수준을 조사하여 보고하는 한편 대추의 위해성을 평가하여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hol S. K. (1998)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edicinal Resource Plant in Korea, Proceeding Inst. Agr. Res. Util. Symposium for 50th Anniversary GSNU. pp. 25-33. 

  2. Choi Y. H., S. K. Park, T. H. Cho, K. T. Ha, H. J. Seung, S. J. Kim, K. A. Lee, J. I. Jang, H. B. Jo and B. H. Choi (2008) Pesticide Residues in Medicinal Herbs, Report of Seoul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ment. 44:70-85. 

  3. Douglas, M. and Considine, P.E.C. (1982) Foods and food prodution encyclopedia. pp. 1047. 

  4. EPA(1993) Guideline for exposure assessment.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5. Kim M. R., M. A. Na, W. Y. Jung, C. S. Kim, N. K. Sun, E. C. Seo, E. M. Lee, Y. G. Park, J. A. Byun, J. H. Rom, R. S. Jung and J. H. Lee (200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Special Products. The Korean Journal of Pesitcide Science. 12(4) :323-334. 

  6. Ko S. K., H. I. Seung, J. M. Lee, Y. J. Hong, I. S. Yu and H. G. Kang (2004) Monite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herbal medicines(II). Report of Seoul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ment 40:231-241. 

  7. Lee E. Y., H. H. Noh, Y. S. Park, K. W. Kang, S. Y. Jo, S. R. Lee, I. Y. Park, T. H. Kim, Y. D. Jin and K. S. Kyung (2008)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Collected from Markets in Cheongju and Jeonju. The Korean Jouranl of Pesticide Science. 12(4):357-362. 

  8. Lee H. C., B. C. Lee, S. D. Kim, S. W. Pail, S. S. Lee, K. S. Lee and S. M. Kim (2008) Changes in Composition of Gugija (Lycii Fructus) Species According to Harvest Tim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5):306-312. 

  9. Lee J. B., J. S. Shin, H. D. Lee, M. H. Jeong, A. S. You and K. Y. Kang (2004) Risk Assessment for Estrogenic Effect of The Suspected Endocrine Disrupting Pesticides. The Korean Journal of Pesitcide Science. 8(2):95-102. 

  10. Lee S. M., M. L. Papathakis, C. F. Hsiaoming, G. F. Hunter and J. E. Carr (1991) Multipesticide residuce method for fruits and vegetables. Fresenius J. Anal. Chem. 339:376-389. 

  11. Moon G. S. (1991) Constituents and uses of medicinal herbs, Ilweolseogak, Seoul, pp. 310-311. 

  12. Park J. H. (2005) A Study on marketing and Improvement of Medicinal Herbs. 

  13. Park H. K., B. P. Chung (2009) A Trend Analysis of Herbal Crop Inustry. The korean society of breeding science. 41(1):36. 

  14. 국립환경연구원 (1999) 내분비계 장애물질 이해와 대응. 

  15. 김동철 (1990) 농약사용실태와 사용상의 문제점. 식물보호연구. 5:72-75. 

  16. 김종석 (2000) 신중국한의학, 유성출판사, 한국, pp. 154-155. 

  17. 농림수산식품부 (2008) 식품 중 농약 잔류허용 기준 및 현황 pp. 43. 

  18. 박용곤 (1993) 대추의 성분특성과 가공제품 개발, 식품기술 6(2):32-36. 

  19. 배기환 (2000) 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한국, pp. 127-129. 

  20. 백승언, 민두식 (1969) 우량대추나무의 선발증식 몇 가공시험. 문교부 연구보고서. 

  21. 보건복지부 (2005) 국민영양조사보고서. 

  22. 유인실 (2006) 약용식물의 중금속 및 잔류농약 분석, 단국대학교박사학위논문. 

  23. 식품의약품안전청 (2008) 식품공전. 문영사. 

  24. 오창환, 송석호, 윤종국, 고성림, 김태화, 박종세, 강인호, 이종필, 박주영, 성락선, 장승엽,제금련, 이송득 (2004) 한약재의 건조 및 탕액 조제에 따른 농약의 잔류 변화 연구- 한국농약과학회 학술발표대회초록논문집. pp. 80. 

  25. 유태종 (1976) 식품카르테. 박명사. pp. 89. 

  26. 정태현 (1974) 한국식물도감. 교육사. 상권 pp. 134. 

  27. 최종욱 (1976) 현대 한방 약리학. 행림서원. pp. 89. 

  28. 한대석 (1988) 생약학, 동명사, 한국, pp. 288-2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