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성을 고려한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과 외부 공간 조성 - 청주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Public Park Project of School Facilities and Making Outdoor Space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Public Performance -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in Cheongju City - 원문보기

敎育施設 : 韓國敎育施設學會誌 = Review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17 no.4, 2010년, pp.13 - 20  

김승근 (극동정보대학 건축학과) ,  신주성 (충청북도 청주교육청 시설계)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chools have developed together with local communities, as leading public buildings that represent local communities. Most elementary schools are located in walking distance, so that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with local residents. This study examine outside space where the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연구에서 나타난 옥외공간조성에 따른 현상문제에 대한 조사와 더불어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의 공공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 하였다. 또한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의 실태 조사를 통해 향후 진행되는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이 질적 성장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또한 학교시설의 외부 공간에 공공성이 고려된 사례가 있는지에 대해 옥외공간 조성을 통한 지역시설로서의 공공성의 사례를 조사하여 향후 학교시설의 외부 공간을 조성함에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이 지역사회의 공공성을 높이고 도심의 부족한 녹지를 제공하는 등 비교적 긍정적 측면을 부각시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설문조사 및 인터뷰, 현장조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한 결과 해결되어야 할 과제, 지자체와 교육청, 지역주민이 함께 대안을 찾고 모색해야 할 일이 예상외로 많았다.
  • 본 연구는 학생, 지역주민, 도시 전체에 중요한 공공장소로 인식되어 있는 학교시설이 공원화 사업을 통해 새로운 공공의 이미지로 운영될 수 있는 외부 공간을 살펴보고, 학교시설의 외부 공간에 공공성이 고려된 사례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의 실태 조사를 통해 향후 진행되는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이 질적 성장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생, 지역주민, 도시 전체에 중요한 공공장소로 인식되어 있는 학교시설이 공원화 사업을 통해 새로운 공공의 이미지로 재구성되고 있는 여러 요소 중 외부공간의 녹지조성과 공원화사업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학교시설의 외부 공간에 공공성이 고려된 사례가 있는지에 대해 옥외공간 조성을 통한 지역시설로서의 공공성의 사례를 조사하여 향후 학교시설의 외부 공간을 조성함에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사업 초기 공공부분에 긍정적인 의도로 기획되었던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이 관리에 대한 책임 소재 등의 이유로 인해 현재 정체 내지는 중단될 위기에 있는 문제에 대해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 실태조사를 통해 분석해 보고, 또한 개선방안에 대해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주)두산출판BG, 메이트 한영사전, 초판, (주)두산, 서울시, 1999, p.105 

  2. 김기원 외, 학교 숲 활성화를 위한 정책개발 연구, 초판, 생명 숲, 생명의 숲 운동본부, 2005 

  3. 권전호 외, 학교비오톱 조성현황 분석 및 유형별 활성화 방안, 인천발전연구원, 2005, pp.19-22 

  4. 김인호, 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2002 

  5. 신주성, 학교시설 공원화 사업에 따른 외부 공간 조성 현황, 충북대 석사논문, 2008, p.13 

  6. Hunter, J., J. Layzell, and N. Rogers, School Landscapes-A Participative Approach to Design, Hampshire County Council, 1998, pp.8-9 

  7.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195900&rey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