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superovulation treatment and to relate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BUN) in Hanwoo donors. Thirty six, at random stages of the estrous cycle, received a CIDR. Four days later, the animals were superovulated with a total of 28AU FSH (Antorin,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에서 실시한 성적 자료를 분석하여 한우의 체내 수정란 생산을 위한 과배란 처리와 혈장 내 요소태 질소 수준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lmeida AP (1987): Superovulatory response in dairy cows repeatedly treated with PMSG. Theriogenology 27:205. 

  2. Andrade JC, Oliveira MA, Lima PF, Guido SI, Bartolomeu CC, Tenorio Filho F, Pina VM, runes-Souza TC, Paula NR Freitas JC (2003): The use of steroid hormones in superovulation of Nelore donors at different stages of estrous cycle. Anim Reprod Sci 77:117-125. 

  3. Armstrong DT (1993): Recent advances in superovulation of cattle. Theriogenology 28:531-540. 

  4. Bastidas P, Randel RD (1987): Seasonal effects on embryo transfer results in Brahman cows. Theriogenology 28:531-540. 

  5. Butler WR, Calaman JJ, BEAM AW (1996): Plasma and milk urea nitrogen in relation to pregnancy rate in lactating dairy cattle. J Anim Sci 74: 858-865. 

  6. Christensen LG (1991): Use of embryo transfer in future cattle breeding schemes. Theriogenology 35: 141-149. 

  7. Donaldson LE, Perry B (1983): Embryo production by repeated superovulation of commercial donor cows. Theriogenology 20:163-168. 

  8. Donaldson LE (1984): Effect of age of donor cows on embryo production. Theriogenology 21:963-967. 

  9. Elrod CC, Van Amburgh M, Butler WR (1993): Alteration of pH in response to increased dietary protein in cattle are unique to the uterus. J Anim Sci 71:702-706. 

  10. Elsden RP, Nelson LD, Seidel GE, Jr (1978): Superovulating cows wit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and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hin. Theriogenology 9:17-26. 

  11. Ferguson JD, Galligan DT, Blanchard T, Reeves N (1993): Serum urea nitrogen and conception rate: The usefulness of test informaion. J Dairy Sci 76:3742-3746. 

  12. Goulding D, Williams DH, Roche JF, Boland MP (1991): Superovulation in heifers using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 or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during the mid luteal stage of the estrus cycle. Theriogenology 36:949-958. 

  13. Hasler JF, Brooke GP, McCauley AD (1981):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response to superovulation in Holstein cows and heifers. Theriogenology 15:109. 

  14. Isogai T, Shimohira I, Kimura K (1993): Factors affecting embryo prodution following repeated superovulation treatment in Holstein donors. J Rerpod Dev 39:79-84. 

  15. Lamming GE, Darwash AO (1998): The use of milk progesterone profiles to characterize components of subfertility in milked dairy cows. Anim Reprod Sci 52:175-190. 

  16. Moor RM Kruip Th AM Green D (1984): Intraovarian control of folliculogenesis : Limits to superovulation. Theriogenology 21:103-116. 

  17. Opsomer G, Coryn M, Kruif A (1998): An analysis of ovarian dysfunction in high yielding dairy cows after calving based on progesteron profiles. Reprod Dom Anim 33:193-204. 

  18. Park SB, Kim HS, Kim CK, Chung YC, Lee JW, Kim CH (1997): Relation of conception rate and plasma urea nitrogen in dairy cattle. Korean J Anim Reprod 21(2): 185-189. 

  19. Pawlyshyn V, Lindsell CE, Braithwaite M, Mapletoft RJ (1986): Superovulation of beef cows with FSH-P: A dose-response trial. Theriogenology 25:179. 

  20. Seidel GE (1981): Superovulation and embryo transfer in cattle. Science 211:351-358. 

  21. Shea BF, Janzen RE, McDermand DP (1984): Seasonal variation in response to stimulation and related embryo transfer procedures in Alberta over a nine year period. Theriogenology 21:186-195. 

  22. Smith C (1984): Genetic improvement of livestock, using nucleus breeding units. World Animal Review 65:2-10. 

  23. Smith C (1988): Application of embryo transfer in animal breeding. Theriogenology 29:203-212. 

  24. Staigmiller RB, Bellows RA, Anderson GB, Seidel GE, Foot WD, Menino AR, Wright RW (1992): Superovulation of cattle with equine pituitary extract and procine FSH. Theriogenology 37:1091-1099. 

  25. Takedomi T, Aogagi Y, Konish M Kishi H, Taya K, Watanabe G, Sasamoto S (1992): Superovulation in Holstein heifers by a single injection of procine FSH dissolved in polyvinylpyrrolidon. Theriogenology 39:327. 

  26. Warfield SJ, Seidel GE, Jr, Eldsen RP (1986): A comparison of two FSH regimens for superovulating cows and heifers. Theriogenology 25:213. 

  27. Yamamoto M, Ooe M, Kawaguchi M, Suzuki T (1994): Superovulation in the cow with a single intramuscular injection of FSH dissoived in polyvinypyrrolidone. Theriogenology 41:747-755. 

  28. 김홍률, 김덕임, 원유석, 김창근, 정영채, 이규승, 서길웅 (1997): 한우에서 FSH-P와 SUPER-OV에 의한 체내수정란 생산에 관한 연구. I. 다배란 처리 조건에 따른 체내수정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2:37-48. 

  29. 박수봉, 임석기, 우제석, 김일화, 최선호, 서상욱, 류일선, 손동수 (1999): 한우 수란우의 혈장 요소태 질소와 수태율의 관계.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4: 83-88. 

  30. 손동수, 김일화, 이호준, 서국현, 이동원, 류일선, 이광원, 전기준, 손삼규, 최상용 (1997): 한우수정란의 동결보존 및 쌍자 생산에 관한 연구. I. 동결수정란의 이식과 자우생산.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2:75-90. 

  31. 손동수, 김일화, 류일선, 연성흠, 서국현, 이동원, 최선호, 박수봉, 이충섭, 최유림, 안병석, 김준식 (2000): 젖소 MOET Scheme의 추진을 위한 수정란 생산과 이식.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5:57-65. 

  32. 손동수, 최창용, 한만희, 최선호, 조상래, 김현종, 김영근, 김일화 (2005): CIDR를 이용한 한우 공란우의 과배란 처리 간격이 회수 난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제45회 발생공학국제심포엄 및 학술대회 초록집 p. 95. 

  33. 손동수, 한만희, 최창용, 최선호, 조상래, 김현종, 류일선, 최성복, 이승수, 김영근, 김삼기, 김상희, 신권희, 김일화 (2006): 우수 한우의 수정란 생산 및 이식.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1:147-156. 

  34. 양보석, 오성종, 유승환, 김희석, 정연후, 이근상 (1988): 한우에 있어서 다배란의 반복처리 및 동결수정란 이식에 관한 연구. 한국수정란이식연구학회지 3:38-42. 

  35. 양보석 (1994): 체내 및 체외 소 수정란의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이정호, 서태광, 박항균 (1987): 공란유우의 과배란 반응에 영향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수정란이식연구회지 2(1):27-32. 

  37. 임석기, 우제석, 전기준, 장선식, 강수원, 윤상기, 손동수 (1998): 한우에 있어서 PEG에 용해시킨 Folltropin-V의 1회 피하주사에 의한 다배란 유기.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3:207-212. 

  38. 정길생, 박흠대, 노환철, Richard A. Carmichael (1983): 수정란 이식에 의한 우의 쌍태 유기에 관한 연구. II. 다배란 처리의 반복이 난소 반응과 수정란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지 25(4):267-2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