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번식 장애 한우의 혈액요소태질소 및 성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 변화
Alteration in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and Sex Steroid Hormone in Korean Cattle with Reproductive Disorders 원문보기

Journal of embryo transfer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v.23 no.1, 2008년, pp.59 - 64  

최창용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손동수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조상래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김현종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최선호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  강다원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blood urea nitrogen (BUN) and sex steroid hormones, such as estrogen, progesterone, and testosterone in Korean cattle (Hanwoo) with reproductive disorder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UN and body condition s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우 번식우 사육 농가의 사육 기반을 저해하고경제적인 손실을 입히는 번식 장애 질환을 대상으로 번식 장애의 유형별 사양 관리 및 번식 효율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혈액요소태질소 농도를 조사하고, 그와 신체충실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며, 번식 장애의 종류별 주요 성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의 혈중 농도를 조사하고, 난소낭종이 있는 난소에서 난포액의 호르몬 농도 변화를조사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한우 번식 장애 질환의 종류별 혈액 요소 태 질소 농도를 확인하고, 사양 관리와 번식 효율의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혈액요소태질소와 신체 충실 지수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며, 번식 장애 질환의 종류에 따른 주요 성 호르몬인 프로게 스테론(progesterone), 에스트로겐(estrogen) 및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혈중 호르몬 농도 변화와 난소낭종에 따른난포액에서의 호르몬 농도 변화를 함께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stidas P, Forrest DW. Del Vecchio RP and Randel RD. 1990. Biological and immunological luteinizing hormone activity and blood metabolites in postpartum Brahman cows. J. Anim. Sci. 68:2771-2778 

  2. Canfield RW, Sniffen CJ and Butler WR. 1990. Effects of excess degradable protein on postpartum reproduction and energy balance in dairy cattle. J. Dairy Sci. 73:2342-2349 

  3. Dunn TG and Moss GE. 1992. Effects of nutrient deficiencies and excesses on reproductive efficiency of livestock. J. Anim. Sci. 70:1580-1593 

  4. Einspanier R, Schuster H and Schams D. 1993. A comparison of hormone levels in follicle-lutein-cysts and in normal bovine ovarian follicles. Theriogenology 40:181-188 

  5. Elrod CC and Butler WR. 1993. Reduction of fertility and alteration of uterine pH in heifers fed excess ruminally degradable protein. J. Dairy Sci. 71:694-701 

  6. Ferguson JD, Galligan DT, Balanchard T and Reeves N. 1993. Serum urea nitrogen and conception rate: The usefulness of test information. J. Dairy Sci. 76:3742-3746 

  7. Hoffman B, Gunzler O. Hamburger R and Schmidt W. 1976. Milk progesterone as a parameter for fertility control in cattle;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present status of application in Germany. Br. Vet. J. 132:469-474 

  8. Johnson MS, Wegner TN and Ray DE. 1987. Effect elevating serum lipids on luteinizing hormone response gonadotrophin releasing hormone challenge in energy deficient anestrous heifers. Theriogenology 27:421-429 

  9. Kim IH and Suh GH. 2003. Effect of the amount of body condition loss from the dry to near calving periods on the subsequent body condition change, occurrence of postpartum disease, metabolic parameter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in Holstein dairy cows. Theriogenology 60:1445-1456 

  10. Meisterling EM and Daily RA. 1987. Use of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and estradiol- $17{\beta}$ in milk in monitoring postpartum ovarian function in dairy cows. J. Dairy Sci. 70: 2154-2161 

  11. Nakao T, Sugihashi A, Saga N, Tsunoda N and Kawata K. 1983. Use of mild progesterone enzy meimmunoassay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follicular cyst, luteal and cystic corpus luteum in cows. Am. J. Vet. Res. 44:888-890 

  12. Naoki I and Yukinori Y. 2007. Deficient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the granulosa and theca interna cells of bovine cystic follicle. J. Reprod. Dev. 53:1119-1124 

  13. Perera BM, Pathiraja N, Abeywardene SA, Motha MX and Abeygunwardena H. 1980. Early pregnancy diagnosis in buffalo from plasma progesterone concentration. Vet. Rec. 106:104-106 

  14. Sonderman JP and Larson LL. 1989. Effects of dietary protein and exogenous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 on circulating progesterone concentrations and performance of Holstein cows. J. Dairy Sci. 72:2179-2183 

  15. 강병규, 최한선, 이정길, 손창호, 서국현. 1990. 한우의 번식효 율증진에 관한 연구. 대한수의학회지 30:243-247 

  16. 강부연, 정순옥, 오태호, 한홍율. 1996. 저수태우의 혈액화학 치간의 상관성.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3:63-68 

  17. 강수원. 2005. 한우. 1판, 대원문화인쇄, pp. 222-225 

  18. 김소섭, 박용수, 박민철, 박흠대, 김일화, 최석화. 2005. 한우 체외수정란이 이식된 수란우의 임신과 유산에 영향을 미치는 수란우 측 요인들.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0:17-24 

  19. 김학영, 송상현, 조헌조. 2002. 한우 번식우 농가의 번식실태 및 번식 장애 치료에 관한 연구.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6:291- 298 

  20. 김현섭, 박수봉, 권응기, 정하연, 기광석, 이현준, 김창근. 2001. 젖소우유중 요소태질소 함량에 따른 사료급여의 최적화가 번식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3:507-514 

  21. 박수봉, 김현섭, 김창근, 정영채, 이종완, 김천호. 1997. 젖소의 수태율과 혈장 요소태질소의 관계.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1:185-189 

  22. 박수봉, 손준규, 박성재, 백광수, 전병순, 안병석, 김현섭, 박춘근. 2006. 젖소의 분만후 난소주기의 재개와 혈장 요소태 질소(PUN)와의 관계.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1:199-205 

  23. 손준규, 박수봉, 박성재, 백광수, 안병석, 김현섭, 황석주, 박춘근. 2007. 젖소의 신체 충실 지수(BCS), 혈장요소태질소(BUN) 수준과 발정 발현과의 관계.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2:15-19 

  24. 양부근, 김종복, 정희태, 박춘근, 김정익, 황환섭, 김현철, 1999. 저수태 한우와 번식 장애 한우의 혈액화학치 및 호르몬 분석. 한국가축번식학회지 23:175-180 

  25. 임광택. 1998. 수태율/산유량과 BUN/MUN의 상관관계. 종축개량지 20:55-58 

  26. 전기준, 김종복, 최재관, 이창우, 황정미, 김형철, 양부근, 박춘근, 나기준. 2003. 한우 혈청에서 호르몬 및 대사물질 농도들의 연령에 따른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8:215-225 

  27. 정영훈, 이명식, 전기준, 장선식, 서국현, 박정준, 이창우, 나기준, 노규진, 최상용. 2004. 한우 번식효율에 대한 blood urea nitrogen과 body condition score의 영향.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19:53-59 

  28. 정재혁. 1996. 번식학사전. 1판. 신광출판사, 서울, pp. 114 

  29. 최성복, 최연호, 이지웅, 백광수, 김영근, 손삼규, 김내수. 2004. 한우 빈우의 Body condition score가 번식형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6:31-38 

  30. 최창용, 손동수, 최규찬, 송상현, 최창열, 최선호, 김현종, 조상래, 허창기, 강다원. 2006. 한우 번식우 사육농가의 번식 장애 실태조사.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1:331-3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