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즉석 백설기 제조시 인삼분말 첨가가 백설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Rice Cake (Baekseolg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435 - 442  

강호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김승희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금준석 (한국식품연구원) ,  임재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즉석 백설기 제조 시 인삼분말 첨가가 백설기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저장 24시간째에 수분함량이 인삼분말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는 감소한 반면, 인삼분말을 첨가한 처리군에서는 수분함량을 초기 백설기 수분함량을 그대로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인삼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L값은 낮아지고, a, b값은 점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감에서는 인삼 분말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는 0, 24시간째에 hardness와 gumminess, chewiness가 가장 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인삼 분말을 2%, 3% 첨가했을 때는 모든 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관능평가 결과 인삼분말을 첨가한 경우 수분을 보유하여 주기 때문에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촉촉함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로 인해 인삼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수분을 유지시켜 주고, 색과 조직감을 변하지 않게 해 준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인삼분말 첨가가 즉석 백설기의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떡의 품질을 나타내는 척도인 hardness의 변화를 적게 하여 인삼분말 첨가군이 무첨가군에 비해 떡의 노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석 백설기 제조 시 인삼분말 첨가는 초기 백설기의 수분, 색, 조직감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인삼분말 첨가량이 증가하면서 백설기 구성 성분 내에 인삼에 기인한 섬유질 함량의 증가로 수분결합력이 높아 떡의 질감에 영향을 주어 전반적 기호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rice cake (Baekseolgi)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inseng powder by molecular press dehydration (MPD) method. Baekseolgi was cooked using microwave oven, which is a useful cooking method because of reduced cooking time, ev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을 이용하여 조리시간을 단축한 간편 형태의 즉석 백설기를 제조하고자 하였고 이때 백설기의 품질 저하를 기능성 및 당을 함유하여 수분보유가 있어 백설기의 품질을 개선할 것으로 판단되는 인삼분말을 분자압축탈수법으로 제조하여 백설기에 첨가한 후 제조된 최종 즉석백설기의 품질 특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Means with the same letter within a column (a-d) and a row (x,y)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떡은 어떤 음식인가? 우리나라에서 전통음식으로 잘 알려진 떡은 곡식을 가루내어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서 흰 떡, 시루떡, 인절미, 송편, 화전, 주악, 경단 등이 이에 속한다(1,2). 떡의 종류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시루에 쪄서 완성한 찐 떡, 찐 다음 떡판이나 절구를 이용하여 쳐서 완성한 친 떡, 기름에 지져서 완성한 지진 떡, 찰가루 반죽을 삶아 건져낸 삶은 떡 등 크게 네 종류로 나뉜다(2).
떡의 종류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우리나라에서 전통음식으로 잘 알려진 떡은 곡식을 가루내어 반죽하여 쪄서 만든 음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서 흰 떡, 시루떡, 인절미, 송편, 화전, 주악, 경단 등이 이에 속한다(1,2). 떡의 종류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 시루에 쪄서 완성한 찐 떡, 찐 다음 떡판이나 절구를 이용하여 쳐서 완성한 친 떡, 기름에 지져서 완성한 지진 떡, 찰가루 반죽을 삶아 건져낸 삶은 떡 등 크게 네 종류로 나뉜다(2). 가장 기본이 되는 찐 떡은 가장 오래된 최초의 조리법으로 멥쌀이나 찹쌀을 물에 담갔다가 가루로 만들어 시루에 안친 뒤 김을 올려 익히는 것으로 백설기, 팥고물 시루떡, 송편, 증편 등이 있다(2).
식품을 전자레인지 가열조리 시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전자레인지의 사용은 찬밥을 데우거나, 아니면 냉동된 제품을 해동시키는 경우 이외에는 잘 이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전자레인지 사용 시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식품성분 중 전분의 전분-지방 복합체 형성, 겔화 촉진, 결합 수분 등의 변화에 따른 경화 현상을 일으키고, 영양분의 손실, 지방질의 산패로 인한 각종의 활성라디칼 화합물 생성 및 이취(off flavor)의 발생 가능성, 조직감 변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7). 현재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진행된 연구로는 전자레인지 내부에서 균일한 가열을 위하여 위치변경, 첨가물의 첨가, 포장재의 종류 등을 달리하거나 식품의 가열 높이를 변화하여 식품 가열 시 가열효과를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어 왔다(8-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류기형. 2008. 한국떡. 도서출판 효일, 서울. p 9-10. 

  2. 윤숙자. 2008. 한국의 떡, 한과, 음청류. 지구문화사, 파주. p 9-11. 

  3. Kim SS, Chung HY. 2007. The texture and descriptive sensory characteristics of a Korean rice cake (Karedduk) with 

  4. Choi CR, Shin MS. 1996. Effects of sugars on the retrogradation of rice flour g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5. Lee YH, Moon TW. 1994.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88-294. 

  6. Kim EM, Han HK, Kim IH. 2005. Improvement of microwave heating properties off frozen starch by spray of surface materia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035-1040. 

  7. Oliveira ME, Franca AS. 2002. Microwave heating of foodstuffs. J Food Eng 53: 347-348. 

  8. Rice J. 1984. Coated aluminum tray with protection dome tops. Food Processing 45: 112. 

  9. Sumnu G, Sahin S, Sevimli M. 2005. Microwave, infrared and infrared-microwave combination baking of cakes. J Food Eng 71: 150-155. 

  10. Kum JS, Ha TY, Han O. 1998. Effect of heating height within microwave oven on microwave heating of food. 

  11. Park JD. 1996. Recen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 Korean J Ginseng Sci 20: 389-415. 

  12. Nam KY. 2002. Clinical applications and efficacy of Korean 

  13. Park JW, Han IS, Suh SI, Baek WK, Suh MH, Bae JH, Choe 

  14. Kim KH, Sung KS, Chang CC. 2000. Effects of the antioxidative components to ginsenoside in the liver of 40 

  15. Lee IS, Paek KY. 2003.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Korean J 

  16. Lim EJ. 2008. Optimization of molecular press dehydration drying process of ginseng and its application. MS Thesis.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Gyeonggi, Korea. p 12-14. 

  17. Kang HJ, Choi HJ, Lim J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ginse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18.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 Song MR, Lee KS, Lee BC, Oh MJ. 2007.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dded with various ginseng 

  20. Yoon SB, Hwang SY, Chun DS, Kong SK, Kang So. 2007. 

  21. Han MJ, Sung J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manufactured by ginseng makgeolli. Korean J 

  22. Lee KA, Kim KJ. 2002.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added with rich sources of phospholipi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381-389. 

  23. Kweon SY, Kim JM, Kim JG.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soyflour. J East 

  24. Lee HG, Lee ES,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Maneul-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180-189. 

  25. Sung JH, Han M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manufactured by ginseng Makgeolli. Korean J 

  26. Chong HS, Park CS, No HK. 2001. Effects of chitosan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Paeksulgies added chitosan. Korean 

  27. Lee HG, Kim HJ,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onghwa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 505-513. 

  28. Seo HS, Kim SH, Han BR, Hwang IK.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ffee-sulgi (rice cake) with different ratios of ingredients and commercial scheme. Korean J Soc Food 

  29. Cho KR.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with germina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 Nutr 20: 

  30. Shin AC, Song JC. 2004. Supression functions of retrogradation in Korean rice cake (Garaeduk) by variou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