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분말을 첨가한 떡볶이용 가래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pokki Garaedduk Added with Ginseng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3, 2011년, pp.426 - 434  

이준경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정지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임재각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대로 인해 국민들의 삶의 질도 향상되어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이다. 소비자들에게 식품의 섭취는 더 이상 영양을 보충해주는 역할만이 아닌 약리효과 기능면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어 식품업계에서도 기능성식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표적인 간식거리인 떡볶이라는 메뉴를 고급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떡볶이용 가래떡에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한 인삼을 부재료로 첨가하여 떡을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가래떡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인삼분말 첨가량에 따른 떡의 수분함량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인삼가래떡의 색도 L값, a값, b값을 측정한 결과, 인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떡의 명도(L값)는 낮아지고 떡의 황색도(b값)는 인삼의 갈색화 반응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시간이 늘어날수록 명도(L값)는 감소하여 떡의 품질이 변질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a값과 b값은 유의적인 경향을 찾을 수 없었다. 조직감 측정 결과 제조 직후 조리전 상태의 떡에서는 인삼분말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떡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떡의 부착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떡의 응집성씹힘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가래떡의 관능적 특성은 인삼분말 무첨가군과 1% 및 3% 첨가하였을 때 맛, 향, 색에서 비교적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나 5%의 인삼분말 첨가 가래떡은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그러나 조직감 특성에서는 인삼분말 첨가량이 가장 높은 5%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마찬가지로 5%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동일한 경향을 보였다. 조리 특성은 인삼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흡수율과 고형물용출량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에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한 인삼분말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떡의 수분함량에는 차이가 없었고,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부착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저장기간에 따른 노화를 지연시켰으며, 조직감에 대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맛과 향, 색에 대한 기호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떡볶이로 양념 조리한 후의 가래떡은 5% 첨가군이 전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므로, 인삼분말 5% 첨가 가래떡은 떡볶이용 가래떡의 기능성과 노화 지연에 따른 저장성 부여 측면에서 요즘의 트렌드와 한식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rice, ginseng Garaedduks and Topokki were made an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opokki and Garaedduks were added with 0, 1, 3 and 5% ginseng powder and stored at $20^{\circ}C$ for 48 hours. The moisture contents were not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섭취를 통해서 질병예방 등 생리활성효과를 기대하는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합하고, 떡의 고급화 및 다양화와 함께 국내의 쌀 소비를 촉진하기 위하여 항암, 항산화 및 심혈관질환 예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인삼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떡볶이 떡을 제조하였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 소비자들에게 식품의 섭취는 더 이상 영양을 보충해주는 역할만이 아닌 약리효과 기능면에서도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어 식품업계에서도 기능성식품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대표적인 간식거리인 떡볶이라는 메뉴를 고급화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떡볶이용 가래떡에 여러 가지 생리활성물질을 포함한 인삼을 부재료로 첨가하여 떡을 제조한 후 그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가래떡의 수분함량을 측정한 결과 인삼분말 첨가량에 따른 떡의 수분함량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 제조 직후의 가래떡에서 인삼분말 무첨가군과 인삼분말을 각각 1%, 3% 및 5%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군 간의 수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인삼분말을 1~ 5%로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때 떡의 전체적인 수분함량 조절을 위해 수분을 달리하여야하나 본 실험에서는 수분의 양을 일정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한 관능검사와 조직감 측정검사 시 떡의 품질특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되어 그 한계성을 밝히는 바이다. 홍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23)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홍삼분말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홍삼분말을 각각 2%, 4% 및 8%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군 간의 수분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는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이었고, 율무가루 첨가량에 따른 절편(26)과 대추(27)와 백년초(28)를 첨가한 설기떡의 수분함량은 첨가물의 증가에 의해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는 연구와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의 효능으로 무엇이 있는가? Meyer)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한방약재로 널리 섭취되어 왔다. 인삼의 주요 약효 성분으로 배당체 성분인 30여종 이상의 ginsenosides와 비사포닌계 생리활성물질로 polyacetylens, phenolic compounds, acidic polysaccharides 등이 발견되었으며, 이들의 기능으로는 심혈관 장애 개선 및 항동맥경화, 항당뇨작용, 중추신경계 조절, 항암 및 항산화 작용 등의 효능이 밝혀져 있다(14,15). 인삼을 부가적인 재료로 첨가한 식품에 대한 연구로는 인삼 스펀지케이크(16), 인삼 호박쿠키(17), 인삼 쿠키(18), 인삼 전두부 (19), 인삼 증편(20), 홍삼 쌀국수(21), 홍삼 요구르트(22), 홍 삼 설기떡(23) 및 백삼, 홍삼, 흑삼 첨가 현미다식(24)에 관한 연구 등이 있으며, 인삼 특유의 향과 맛이 식품의 관능적 선호도를 낮출 우려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인삼을 첨가한 다양한 가공식품들이 꾸준히 연구되고 있는 이유는 인삼의 탁월한 효능 때문으로 사료된다.
떡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떡은 우리나라 전통음식 중 하나로써 예부터 신분이나 지역에 관계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기던 음식이며, 그 만드는 과정에 따라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고, 부가적인 재료와의 배합에 있어서도 손쉽고 합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1).
쌀 소비정책이 추진된 배경은 무엇인가? 현대인의 식생활 패턴이 점차 서구화 되면서 1인당 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쌀 수입 개방 확대로 쌀 재고량은 증가하는 추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쌀 소비정책이 추진되고 있으며, 식품산업 분야에서도 다양한 쌀 가공식품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im MS, Park EK, Park JS, Yang YS, Oh GO, Lee MS,Lee MJ, Lee GR, Lee YH, Jeon GW, Jung WS, Jo HJ, HongSJ, Lee CJ. 2007. Rice cake and traditional snack. Kyomunsa,Paju, Korea. p 4. 

  2. Lee BD, Eun JB. 2008. Rice processing in food industry.Food Industry and Nutrition 13: 1-8. 

  3. Kim OS, Shin MJ. 2004.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rice cake according to agein capital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44-452. 

  4. Kim SS, Chung HY. 2007. Texture properties of a Korean rice cake (karaedduk) with addition of carbohydrate materials.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05-1210. 

  5. Son HS, Park SO, Hwang HJ, Lim ST. 1997. Effect of oligosaccharide syrup addition on the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13-1221. 

  6. Kim SS, Chung HY. 2007. Effects of carbohydrate materials on retarding retrogradation of a Korean rice cake. J KoreanSoc Food Sci Nutr 36: 1320-1325. 

  7. Kim MY, Jeong YK, Son CW, Jhon ES, Kim MR. 2009.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ive activities of spirulina added Korean rice cake (garaeduk) during storage.Korean J Food Preserv 16: 8-16. 

  8. Lee JH. 2008.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green rice garaedduk.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9. Choi EH. 2008.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araedduk with rice bran. Ph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Seoul, Korea. 

  10. Ahn JW. 2009. Properties of rice cakes for Topokki with curry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67-473. 

  11. Park JW, Park HJ, Song JC. 2003. Suppression effect of maltitol on retrogradation of Korean rice cake. J KoreanSoc Food Sci Nutr 32: 175-180. 

  12. Shin AC, Song JC. 2004. Supression functions of retrogradationin Korean rice cake (garaeduk) by various surfactants.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218-1223. 

  13. Song JC, Park HJ. 2003. Functions of various hydrocolloids as anticaking agents in Korean rice cakes. J Korean SocFood Sci Nutr 32: 1253-1261. 

  14. Nam KY. 2002. Clinical applications and efficacy of Korean ginseng. J Ginseng Res 26: 111-131. 

  15. Kim SS. 2009. Speech: Ginseng saponin contents ratio control and evaluation of the efficacy. Paper presented at 30th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November 13, Chungnam, Korea. p 87-99. 

  16. Yoon SB, Hwang SY, Chun DS, Kong SK, Kang KO. 2007.An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with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and Nutr 20: 20-26. 

  17. Kim HY, Park JH.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mpkincookies using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855-863. 

  18. Kang HJ, Choi HJ, Lim JK.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ginseng powder. J Korean Soc Food SciNutr 38: 1595-1599. 

  19. Lee HS, Kwon KH, Cha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dubu (whole soybean curd) with added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6: 192-197. 

  20. Sung JH, Han MJ.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manufactured by ginseng makgeolli. Korean J FoodCookery Sci 24: 837-848. 

  21. Kim EM.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rice noodles prepared with red ginseng powder. Korean JCulinary Research 14: 161-169. 

  22. Kim SI, Ko SH, Lee YJ, Choi HY, Han YS.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supplemented with red ginseng extract.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58-366. 

  23. Shin SM, Jung JS, Han MR, Kim AJ, Kim YH.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containing added red ginseng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86-592. 

  24. Kim AJ, Han MR, Joung KH, Kang SJ. 2009. Quality characteristicsof brown rice dasik addition of white, red andblack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Nutr 22: 63-68. 

  2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6. Chae KY, Hong JS.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on with different amounts of Job's tears flour. KoreanJ Food Cookery Sci 23: 770-776. 

  27. Hong J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Daechupyun by the addition of jujube paste. Korean J Food Cookery Sci18: 122-126. 

  28. Joung HS. 2004.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Paeksulgis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93-98. 

  29. Kim EH, Choi KJ, Ko SR, Shon HJ, Oh SC. 1998.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in various parts of ginseng root. J Ginseng Res 22: 289-293. 

  30. Lee JY, Koo SJ. 1994. A study on the effect of addition of dietary fibers on quality of julpyun. Korean J Soc FoodSci 10: 267-276. 

  31. Song MR, Kim MR, Kim HH, Chu S, Lee K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seng jung kwa obtained by different sugar treatm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99-1004. 

  32. Han JY, Lee YS, Ryu GH. 2008.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accharification of extruded white ginseng. Food Eng Prog 12: 36-43. 

  33. Yun SJ. 1999. Sensor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pumpkin. Korean J Soc Food Sci 15: 586-590. 

  34. Kim MH, Park MW, Park YK, Jang MS. 1994. Effect of the addition of Surichwi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richwijulpyurn. Korean J Soc Food Sci 10: 94-98. 

  35. Lee TH, Moon TH. 1994.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ean J Soc Food Sci 26: 288-294. 

  36. Choi YS, Kim YA. 1992. Effect of addition of potato peel, guar gum, polydextrose on quality of Backsulgies. KoreanJ Food Cookery Sci 8: 333-341. 

  37. Jo YH. 2002.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and noodle with amylose/ amylopectin ratio and hydrocolloids.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38. Yoon GS. 2001. Effect of partial replacement of rice flour with black or brown rice flour on textural properties and retrogradation of Julpyun. J 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9: 103-111. 

  39. Yu JH. 2004. Studies on the optimization of Karedduk preparation and functional Karedduk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PhD Dissertation.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p 102-107. 

  40. Lee JH, Kim BK. 2010. Effect of added sweet potato flou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raditional steamed rice cake, Backsulki. Food Engineering Process 14: 135-145. 

  41. Kohyama K, Nishinari K. 1992. Cellulose derivatives effects on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sweet potato starch.J Food Sci 57: 128-131. 

  42. Jo JC. 1999. Cooking quality of noodle affected by NaCl.Korean J Culinury Research 5: 471-483. 

  43. Jung BM, Park SO, Shin TS. 2009.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s made with added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80-1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