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분말 첨가가 전두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dubu(whole Soybean Curd) with Added Ginseng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2, 2009년, pp.192 - 197  

이현석 (한국식품연구원) ,  권기현 (한국식품연구원) ,  차환수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전두부와 비교하여 인삼분말을 첨가한 전두부는 일반성분, 색도, 수분함량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미생물의 경우 인삼분말 2%첨가 전두부는 저장 15일에서 만 일반세균 3.51 LogCFU/g이 나타났고, 일반전두부는 12일에 일반세균 4.48 LogCFU/g, 15일에 4.81 LogCFU/g로 각각 나타내었으며 대장균의 경우 일반전두부에서만 15일에 3.57 LogCFU/g로 나타나 인삼분말 2%첨가 전두부가 일반전두부와 비교하여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이는 인삼의 사포닌성분과 폴리아세틸랜 성분에 의하여 항균성이 우수하여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분말을 2% 첨가한 전두부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저장기간 동안 다소 높은 조직감을 나타냈다. 관능평가에서 초기 0 일의 일반전두부가 최종 15일의 저장기간 동안 모든 항목의 척도가 낮아졌으며 관능평가 품질이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반면 인삼분말을 2% 첨가한 전두부는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안정된 관능평가품질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un-dubu(whole soybean curd) to which ginseng powder was added. The overall composition of the material was moisture $80.11{\pm}0.32%$, crude protein $6.04{\pm}0.007%$, crude fat $5.85{\pm}0.007%$, and crude a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대두미세분말 및 제조 조건이 전두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용이 있지만 다양한 식품소재화 개발이 부족하다(10). 따라서 본 연구는 인삼 세척시스템을 이용한 인삼을 분말화하여 전두부에 첨가하여서 식품소재로의 다양한 품질평가를 실시하고, 기능성 전두부로의 개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하지만 우리나라의 인삼산업은 그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국제시장에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으며, 시장개방과 경쟁력 있는 외국 제품의 성장 등 미래 전망도 그리 희망적이지 못하다(5). 인삼을 활용한 브랜드를 개발하여 부가가치를 높이고 수입 농산물에 대한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따라서 인삼 전 처리공정에 상처를 최소화하고 잔뿌리가 손상되지 않으면서 투입→세척→살균→탈수→건조→포장→저장→유통→소비자에게 이르는 TQM방식으로 할 수 있는 가공공정의 개선과 유통함으로써 생산량을 증가시키기가 용이하고, 비용절감으로 국내시장에서 우리나라 인삼의 품질 및 가격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삼제품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6-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삼은 어느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가? 인삼은 보혈강장소재로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 수천년 동안 재배하여 왔고 그 뿌리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북아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외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건강증진이나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 우수한 식품약재로서 소중히 여겨왔다(1-2). 인삼의 가공 전 원료가 되는 삼의 채굴 시기는 8월 말부터 11월 초순 사이이며 홍삼 포에서 재배된 삼의 경우 대부분이 홍삼으로 가공, 유통되며 백삼 포에서 재배된 삼의 경우 전체 채굴량의 45% 정도가 백삼 등으로 가공되며 그 나머지인 55% 정도는 수삼으로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3-4).
본 연구에서 인삼분말 2%를 첨가한 전두부의 미생물 실험 결과, 15일차의 일반 세균 값은 얼마를 나타냈는가? 48 Log CFU/g 나타났고, 15일에서 4.82 Log CFU/g, 인삼분말 2% 첨가 전두부는 3.57 Log CFU/g를 나타내었다. 대장균 실험에서는 인삼분말 2% 첨가한 전두부 에서는 15일까지 대장균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일반 전두부에서는 15일에 3.
인삼의 뿌리는 어느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가? 인삼은 보혈강장소재로 한국을 비롯한 동양권에서 수천년 동안 재배하여 왔고 그 뿌리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북아 지역을 중심으로 국내외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건강증진이나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능을 지닌 우수한 식품약재로서 소중히 여겨왔다(1-2). 인삼의 가공 전 원료가 되는 삼의 채굴 시기는 8월 말부터 11월 초순 사이이며 홍삼 포에서 재배된 삼의 경우 대부분이 홍삼으로 가공, 유통되며 백삼 포에서 재배된 삼의 경우 전체 채굴량의 45% 정도가 백삼 등으로 가공되며 그 나머지인 55% 정도는 수삼으로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D.M. (2006) Development of Pre-treatment technology for fresh ginseng,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 Korean Food Nutrition Association. (2003)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vol.7). p. 320 

  3. Kim, E.J., Kim, K.H. and Kim, D.M. (2007) Effect of surface washing Treatment on Quality of Fresh Ginseng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4, 380-385 

  4. Kim, M.H., Jeong, J.W. and Cho, Y.J. (2004) Cleaning and storage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by various electrolytic diaphram. Korean J. Food preserv.,11, 160-169 

  5. Lee, B.Y. (2003) Status of korean ginseng industry and development of new ginseng products, Food Ind. Nut., 2, 1-9 

  6. Song, C.S. (2007) An Analysis on fluid dynamics and experiment in washing tank for optimal desige of ginseng cleaner, Food Eng. Prog., 2, 98-103 

  7. Kim, J.H., Kwon, K.H., Jeong, J.W., Kim, B.S., Cha, H.S. and Yu, J.H. (2006) The development of surface washing system and quality assessment of peach,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8. Lee, W.J., Choi, M.R. and Sosulski, F.W. (1992) Separation of tofu-residue (Biji) into dietary fiber and protein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97-100 

  9. Hong, J.S., Kim, M.K., Yoon, S., Ryu, N.S. and Kim, Y.K. (1993) Pre-paration of noodle supplemented with trwated apple pom-ace and soymilk residue as a source of dietary fiber, Korean J. Agric. Chem., 36, 80-85 

  10. Ku, K.H., Kim, M.J., Kim, N.Y. and Chun, H.S. (2001) Effects of microparticluated soybean powder of Chundubu, Food Sci. Biotechnol., 10, 211-218 

  11.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2.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Sosland Pup, Co, Merrian Kansas 

  13. Hutchings, JS. (1994) Instrumental Specification. PP. 217-223. In: Food Colour and Apperance.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Bedford, UK 

  14.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5. KFDA Food Code. (2006) Korea Food & Drug Adminstration 

  16. SAS User's Guide. Ver.6.12. (1995)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7. An, S.H., Lee, S.H. and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prepa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ommercial chungkukjang powder, Korean Food Cookery Sci., 24, 258-265 

  18. Lee, J.S., Kim, G.N. and Jang, H.D. (2008) Effect of red ginseng extract on storag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fu, Korean Food Sci. Nutr., 11, 1497-1506 

  19. Park, K.N., Park, L.Y., Kim, D.G., Park, G.S. and Lee, S.H. (2007) Effect of turmeric(curcuma aromatica Salab.) on shelf life of tofu, Korean J. Food Preser., 2, 136-141 

  20. Kim, J. S. and Choi, S. 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with omija extract, Korean J. Food Sci. Nutr., 1, 43-50 

  21. Jang, M.S., Yoo, B.S. and Byun, S.Y. (2003) Characterization of polyacetylene contents in wild mountain ginseng and cultured ginseng, Korean J. Biotechnol. Bioeng., 6, 440-442 

  22. Jun, H.K., Kim, S.H. and Lee, J.K. (1982) Studie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orean ginseng, (Part 1) The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on the growth of bacteria,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 101-108 

  23. Jun, H.K., Kim, S.H. and Lee, J.K. (1982) Studie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orean ginseng, (Part 2)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biotic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3, 163-169 

  24. Jun, H.K., Kim, S.H. and Lee J.K. (1982) Studies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korean ginseng, (Part 3) The effects of ginseng saponin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antibiotic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3, 171-175 

  25. Ku, K.H. (2005) Preparation and diversity of environment attractive Chundubu (whole soybean curd), Food Ind. Nutr., 1, 17-27 

  26. Ku, K.H. (2002) Development of environment attractive Chundubu(whole soybean curd) using microparticulated soybean powder,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27. Shin, J.J., Seo, J.H., Soh, H.S., Yoo, B.S. and Lee, S.P. (2003) Rheological properties of soymilk and curd prepared with micronized full-fat soyflour, Korean J. Food Sci. Nutr., 1, 75-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