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 마우스 비만모델에서 발효대두파우더의 체중증가량 변화와 지방간 개선
Fermented Soybean Powder Reduces Body Weight Gain and Improves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 Fat Diet-Fed Obese Male C57BL/6N Mice 원문보기

大韓韓醫學方劑學會誌 = Herbal formula science, v.18 no.2, 2010년, pp.201 - 213  

총배금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및 한의학연구소) ,  이희영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및 한의학연구소) ,  이혜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및 한의학연구소) ,  정해경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및 한의학연구소) ,  윤연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  윤미정 (목원대학교 바이오건강학부) ,  박선동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  신순식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방제학교실 및 한의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FSOB) on body weight and examined whether hepatic lipid accumulation are inhibited by it in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Methods : 8 weeks old, high fat diet-fed obese male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C57BL/6N normal, contro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SOB의 투여가 식이효율에는 어떤 변화를 주고 혈중 leptin 농도에는 어떻게 반영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임상에서 발효대두파우더를 보조적으로 사용한 결과 지방간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물실험상에서도 같은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본실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8주령의 고지방식이 유발 수컷 마우스 비만모델을 이용하여 대두의 발효제품인 발효대두파우더의 투여가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혈중 비만조절관련 지표와 독성지표, 지방조직의 무게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지방간의 개선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 마우스 비만모델을 이용하여 발효대두파우더(FSOB)의 투여가 체중 증가량의 변화에 따라 지방무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임상에서 발효대두파우더를 보조적으로 사용한 결과 지방간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동물실험상에서도 같은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본실험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8주령의 고지방식이 유발 수컷 마우스 비만모델을 이용하여 대두의 발효제품인 발효대두파우더의 투여가 체중증가량, 식이효율, 혈중 비만조절관련 지표와 독성지표, 지방조직의 무게는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지방간의 개선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은 대사증후군의 진단 기준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구성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유병률은 성인 남자에서 21.6%, 성인 여자에서 11.2%로 총 16.1%로 확인되었다10). 인슐린저항성은 NAFLD의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11).
지방간이란 무엇인가? 지방간은 지방(주로 중성지방)이 간 무게의 5% 이상인 경우로 정의한다. 지방간은 음주유무에 따라 크게 알코올성 지방간질환(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FLD)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으로 구분한다.
지방간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지방간은 지방(주로 중성지방)이 간 무게의 5% 이상인 경우로 정의한다. 지방간은 음주유무에 따라 크게 알코올성 지방간질환(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FLD)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으로 구분한다. 이의 구분은 임상적, 생화학적 및 간조직 생검으로는 감별을 할 수 없고 오직 음주량으로만 가능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國家中醫藥管理局 中華本草 編委會編. 中華本 草 (4冊). 第1版第1次印刷. 上海:上海科學技術 出版社. 1999:487-9. 

  2. Lee KA, Jang JO, Yoon HK, Kim MS.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Cheongkookjang and Cheongkookjang fermented with green tea or mugwort. Korean J Microbiol. 2007;43:298-303. 

  3. Brouns F. Soya isoflavones: a new and promising ingredient for the health foods sector. Food Research International. 2002;35:187-93. 

  4. Watanabe S, Haba R, Terashima K, Arai Y, Miura T, Chiba D, Takamatsu M. Antioxidant activity of soya hypocotyl tea in humans. Biofactors. 2000;12:227-32. 

  5. Verdrengh M, Jonsson IM, Holmdahl R, Tarkowski A. Genistein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Inflamm Res. 2003;52:341-6. 

  6. Shon DH.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soymilk and cow's milk (a review). Korea Soybean Digest. 1997;14:66-76. 

  7. Lee SY, Bae YJ, Lee SY, Choi MK, Choe SH, Sung CJ. The effect of soy isoflavone on sex hormone status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2005; 38:203-10. 

  8. Coward L, Barnes NC, Setchell KDR, Barnes S. Genistein, daidzein and their $\beta$ -glycoside conjugates: anti-tumor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from American and Asian diets. J Agric Food Chem. 1993;41:1961-7. 

  9. Lee CH, Yang L, Xu JZ, Yeung SYV, Huang Y, Chen ZY. Relative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isoflavones and their glycosides. Food Chemistry. 2005;90:735-41. 

  10. Park SH, Jeon WK, Kim SH, Kim HJ, Park DI, Cho YK,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J Gastroenterol Hepatol. 2006 Jan;21(1 Pt 1):138-43. 

  11. Marchesini G, Brizi M, Morselli-Labate AM, Bianchi G, Bugianesi E, McCullough AJ, et al. Association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with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999;107(5): 450-5. 

  12. Angulo 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2;346(16):1221-31. 

  13. Friis-Liby I, Aldenborg F, Jerlstad P, Rundstroom K, Bjoornsson E. High prevalence of metabolic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2004;39(9): 864-9. 

  14. 오창호. 비만억제자인 $\alpha$ -MSH 유사체의 합성 및 약효분석 (신약개발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서울:보건복지부. 2003:21. 

  15. Garrido-Polonio C, Garcia-Linares MC, Garcia -Arias MT, Lopez-Varela S, Garcia-Fernandez MC, Terpstra AH, Sanchez-Muniz FJ.. Thermally oxidised sunflower-seed oil increases liver and serum peroxidation and modifies lipoprotein composition in rats. Br J Nutr. 2004 Aug; 92(2):257-65. 

  16. Younossi ZM, Diehl AM, Ong JP.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 agenda for clinical research. Hepatology. 2002;35(4):746-52. 

  17. Teli MR, James OF, Burt AD, Bennett MK, Day CP. The natural history of nonalcoholic fatty liver: a follow-up study. Hepatology. 1995; 22(6):1714-9. 

  18. 박찬성, 김동한, 김미림, 석장미, 김미려. 한방 초콩환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체중 및 지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大韓本草學會誌. 2007;22(4):127-35. 

  19. 김지영, 정은정, 문숙희, 박건영. 3T3-L1 지방 세포에서 Bacillus subtilis KC-3 발효두유의 항 비만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0;39(8): 1126-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