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한 당뇨 자가관리 방해요인 사정도구(DSCB-OA) 한국어 버전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Diabetes Self-Care Barriers Assessment Scale for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17 no.2, 2010년, pp.183 - 191  

장선주 (서울대학교 병원) ,  강경자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iabetes Self-Care Barriers Assessment Scaler for Older Adults (DSCB-OA) in Korea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thod: To develop Korean version DSCB-OA used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method. Then, Ko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30문항 이상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기에 문항수가 많거나(Brooks, 2002; Shim, 2006), 자기관리의 상황적 장애에 초점을 두었다(Gu, 1994). 따라서 15문항으로 구성되어 노인에게 적용하기에 적당하면서 노인의 특성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고, 당뇨 자기관리 행위의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는 Diabetes Self-Care Barriers Assessment Scale for Older Adults (DSCB-OA)를 한국어로 번역, 그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한국의 제2형 당뇨 노인의 당뇨 자기관리 행위 방해요인을 사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한다.
  • 본 연구는 DSCB-OA (Schoenberg & Drungle, 2001)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Diabetes Self-Care Barriers Assessment Scale for Older Adults (DSCB-OA)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의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내 1개 노인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제2형 당뇨로 진단받고 치료받고 있는 278명이다.
  • 본 연구는 Diabetes Self-Care Barriers Assessment Scale for Older Adults (DSCB-OA) 도구를 한국의 제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8%로 나타나 DSCB-OA가 한국의 제2형 당뇨 노인들의 자기관리 방해요인을 측정하는데 있어 수용가능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당뇨 자기관리 행위에 초점을 두고 각 행위별 방해요인을 직접 측정할 뿐 아니라 노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도구를 한국의 제2형 당뇨노인에게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Tu와 Barchard (1993)가 개발하고 Schoenberg와 Drungle (2001)이 수정한 “Diabetes Self-Care Barriers Assessment Scale for Older Adults(DSCB-OA)"를 한국의 제 2형 당뇨노인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 자기관리 행위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 2003). 체중 감량, 건강한 식이 섭취, 규칙적인 운동, 자가 혈당 검사, 발 관리, 투약 유지 등으로 구성된 당뇨 자기관리 행위는 대상자의 많은 시간 투자를 필요로 하고, 대상자 삶의 모든 영역에 관계를 갖는다(Nagelkerk, Reick, & Meengs, 2006). 이로 인하여 많은 당뇨환자들은 자기관리를 이행하는데 여러 방해요인과 마주치게 되며(Clark & Hampson, 2001), 자기관리 행위가 적절하게 이루어질 경우 성공적인 관리로 연결될 수 있는 제2형 당뇨의 경우 방해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중요하다(Schoeberg & Drungle, 2001).
제2형 당뇨의 자가 관리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6%를 차지할 정도로 노년기의 대표적인 만성질환으로 알려져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이러한 제2형 당뇨는 자가 관리를 잘함으로서 혈당조절이 향상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자가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Hwang, Ahn, & Song, 2010; Jones et al., 2003).
대상자의 나이에 따라 당뇨 자기관리에 대한 방해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대상자의 나이에 따라 당뇨 자기관리에 대한 방해요인 원인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젊은 당뇨환자의 경우 사회적 스케줄, 그룹 활동, 주변 동료에 대한 의식 등이 당뇨 자기관리 행위의 방해요인으로 보고된 반면(Ingersoll & Marrero, 1991), 노인 당뇨환자의 경우 식이에 대한 어려움(Choi, Jang, & Nam, 2008), 자가 혈당검사 등과 관련된 비용 부담(Choi et al., 2008; Schoengberg & Drungle, 2001), 신체적 기능 감소로 인한 운동 불이행(Song, Lee, & Shim, 2009)등으로 나타나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2형 당뇨 노인의 당뇨 자기관리 행위의 방해요인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노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민감하게 반응 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Schoeberg & Drungle, 2001; Tu & Barchard,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0). Executive summary: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Diabetes Care, 33 (suppl 1), S4-S10. 

  2. Brooks, L. M. (2002). Perceived barriers to treatment adherence among pregnant African American women with diabet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eveland. 

  3. Burns, N., & Grove, S. K. (2009). The practices of nursing research (6th ed.). St. Louise: Saunders. 

  4. Chang, A. M., Chau, J. P., & Holroyd, E. (1999). Translation of questionnaires and issues of equival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9(2), 316-322. 

  5. Chang, S. (201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6. Chang, S., & Song, M. (2009).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Questionnaire for older patient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2), 235-244. 

  7. Choi, G. A., Jang, S. M., & Nam, H. W. (2008). Current status of self-management and barriers in elderly diabetic patient. Korean Diabetes Journal, 32, 280-289. 

  8. Clark, M., & Hampson, S. E. (2001). Implementing a psychosocial intervention to improve lifestyle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42(3), 247-256. 

  9. Gu, M. O.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 efficacy, self regulation, situational barriers and self care behavior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4), 635-651. 

  10. Hwang, C. (2008). Scoring reversed items with Item Response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Hwang, I., Ahn, S., & Song, R. (2010). Effect of 12-week Tai Chi exercise on glucose control, peripheral nerve modulation, and perceived health for type 2 diabetic patients with neuropathy. Journal of Muscle Joint Health, 17(1), 35-46. 

  1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9). 2009's first quarter medical cost statistic. Retrieved at September 10, 2009 from http://www.hira.or.kr/common/dummy.jsp 

  13. Ingorsoll, G. M., & Marrero, D. G. (1991). A modified quality of life measure for youths: Psychometric properties. The Diabetes Educator, 17(2), 114-118. 

  14. Jones, H., Edwards, L., Vallis, T. M., Ruggiero, L., Rossi, S. R., Rossi, J. S., et al. (2003). Changes in diabetes self-care behaviors make a difference in glycemic control: The Diabetes Stages of Change (DiSC) study. Diabetes Care, 26(3), 732-737.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trieved at September 10, 2009 from http://knhanes.cdc.go.kr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2009 Statistic on the aged. Retrieved at September 10, 2009 from http://www.nso.go.kr 

  17. Lee, E. O., Lim, N. Y., & Park, H. A. (1998).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 Seoul: Soomoonsa. 

  18. Lee, E. O., Gu, M. O., Kwon, I. K., Kim, K. S., Kim, I. J., Kim, J. I., et al. (2007). Research evaluation and utilization. Seoul: Koonja. 

  19. Mensing, C., Boucher, J., Cypress, M., Weinger, K., Mulcahy, K., Barta, P., et al. (2007).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Diabetes Care, 30 (suppl 1), 96-103. 

  20. Moon, E. Y. (2004). A Study on realities of use of outpatient medical service in aged chronic disease: Focusing in the rational use of medical servi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kang University, Seoul. 

  21. Nagelkerk, J., Reick, K., & Meengs, L. (2006). Perceived barriers and effective strategies to diabetes self-manage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2), 151-158. 

  22. Schoengerg, N. E., & Drungle, S. C. (2001). Barriers to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self-care practices among older women. Journal of Aging and Health, 3(4), 443-466. 

  23. Shim, B. M. (2006). Barriers to adherence in diabetes self management educated type 2 diabetes older adul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Song, M., Lee, M. R., & Shim, B. M. (2009). Barriers to and facilitators of self-management adherence in Korea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International Journal of Older People Nursing. Retrieved from http://www3.interscience.wiley.com/journal/122609469. 

  25. Toobert, D. J., Hampsom, S. E., & Glasgow, R. E. (2000).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measure; results from 7 studies and a revised scale. Diabetes Care, 23(7), 943-950. 

  26. Tu, K. S., & Barchard, K. (1993). An assessment of diabetes self-care barriers in older adult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0(2), 113-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