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로분석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A Path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5 no.3, 2015년, pp.329 - 336  

장선주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박현주 (강원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정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  장선주 (충북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The study design was based on the Theory of Triadic Influence. Methods: A total of 242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TTI의 개념적 특성은 대상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 다양한 시각을 제공한다는 점과 문화적 측면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각광을 받으며 HIV관련 위험 행위 중재[20], 청소년 위험 행위 예방 중재[21] 등의 선행 연구에서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당뇨병 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요인들간의 경로를 파악하는 본 연구에서 TTI를 기반으로 도식화 한 이론적 기틀은 Figure 1과 같으며, 본 연구는 TTI의 근위요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개인적 흐름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흐름의 신체활동에 대한 사회 규범적 신념, 그리고 환경적 흐름의 신체활동에 대한 태도를 근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Theory of Triadic Influence를 기반으로 제2형 당뇨노인의 포괄적 신체활동과 관련된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경로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를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조사하였으며, TTI를 기반으로 선정한 신체활동 관련 요인들간의 경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구체적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 및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그 경로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균연령 75.
  • 앞서 서술된 내용과 같이, 본 연구는 당뇨병 노인의 여가시간 신체활동뿐 아니라 가사활동 및 직업 관련 활동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체활동 도구를 이용하여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신체활동 정도를 확인하고 TTI이론을 기반으로 신체활동과 관련된 요인들간의 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2형 당뇨병 노인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 당뇨 협회에서 당뇨병 환자에게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권고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환자에 비해 심혈관 관련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고되었다[2]. 이러한 이유로 미국 당뇨 협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는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능력 향상, 체중 감소, 심혈관 관련 합병증 예방을 위해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권고하고 있다[3]. 특히, 다양한 신체활동의 이점은 당뇨병이 있는 노인 환자에게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어[4-6], 당뇨병 노인의 건강관리와 기능장애 예방을 위한 필수 전략 중 하나로 신체활동의 격려가 추천되고 있다[7].
당뇨병 노인을 포함한 전체 노인인구에서의 신체활동 실천률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 노인에서의 신체활동의 중요성이 꾸준히 강조되고 있으며, 당뇨병 노인을 포함한 전체 노인 인구에서의 신체활동 실천률도 상승되고 있다. 2013 고령자 통계에 의하면, 65세 이상 노인의 39.7%가 걷기를 포함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실천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2006년 32.6%에 비하여 상승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8]. 그러나 중등도의 신체활동으로 1주일에 최소 150분의 참여를 권고하는 당뇨병 노인의 신체활동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7], 전체 65세 노인의 약 10%만이 이 기준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이러한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률이 비록 당뇨병 노인만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아니지만, 65세 이상 노인의 당뇨병 유병률이 27.
신체활동이 당뇨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당뇨병을 치료하고 관리함에 있어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의 중요성은 많은 연구에서 지지되고 있다. 한 메타분석 연구에 의하면, 당뇨병 환자에게 신체활동 중재를 제공한 실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1]. 또한 규칙적인 신체활동에 참여한 당뇨병 환자의 경우,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환자에 비해 심혈관 관련 합병증 발생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보고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ouleNG, Haddad E, Kenny GP, Wells GA, Sigal RJ. Effects of exercise on glycemic control and body mass in type 2 diabetes mellitus: A meta-analysis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286(10):1218-1227. 

  2. Nocon M, Hiemann T, Muller-Riemenschneider F, Thalau F, Roll S, Willich SN.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with all-cause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Journal of Cardiovascula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2008;15(3):239-246. http://dx.doi.org/10.1097/HJR.0b013e3282f55e09 

  3. Sigal RJ, Kenny GP, Wasserman DH, Castaneda-Sceppa C, White RD. Physical activity/exercise and type 2 diabetes: A consensus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Care. 2006;29(6): 1433-1438. http://dx.doi.org/10.2337/dc06-9910 

  4. Chodzko-Zajko WJ, Proctor DN, Fiatarone Singh MA, Minson CT, Nigg CR, Salem GJ, et al.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position stand.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for older adult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9;41(7):1510-1530. http://dx.doi.org/10.1249/MSS.0b013e3181a0c95c 

  5. Sinclair AJ, Conroy SP, Bayer AJ. Impact of diabetes on physical function in older people. Diabetes Care. 2008;31(2):233-235. http://dx.doi.org/10.2337/dc07-1784 

  6. Snowling NJ, Hopkins WG. Effects of different modes of exercise training on glucose control and risk factors for complications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 meta-analysis. Diabetes Care. 2006;29(11):2518-2527. http://dx.doi.org/10.2337/dc06-1317 

  7. Kirkman MS, Briscoe VJ, Clark N, Florez H, Haas LB, Halter JB, et al. Diabetes in older adults. Diabetes Care. 2012;35(12):2650- 2664. http://dx.doi.org/10.2337/dc12-1801 

  8.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2013 [Internet]. Daejeon: Author; 2013 [cited 2014 November 1].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08688. 

  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10. Zhao G, Ford ES, Li C, Balluz LS. Physical activity in U.S. older adults with diabetes mellitus: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eeting physical activity recommendati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1;59(1):132-137.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3236.x 

  11. Park IS, Kim R, Park MH, Kim CS, Kim YJ, Jung YJ. Factors influencing the exercise performance of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2009; 24(4):27-38. 

  12. Kang HY, Gu MO. A study on physical activity and related factors to physical activity for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2;19(1):57-70. http://dx.doi.org/10.5953/JMJH.2012.19.1.057 

  13. Sung KW. Relationship of daily activity and biochemical variables in the elderly with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2):182-19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182 

  14. Hays LM, Clark DO.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in a sample of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1999;22(5): 706-712.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Physical activity and older adults: Recommended levels of physical activity for adults aged 65 and above [Internet]. Geneva, CH: Author; 2014 [cited 2014 November 1]. Available from: http://www.who.int/dietphysicalactivity/factsheet_olderadults/en/. 

  16. Marquez DX, McAuley E. Social cognitive correlates of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mong Latino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6;29(3):281-289. http://dx.doi.org/10.1007/s10865-006-9055-6 

  17. Flay BR, Snyder F, Petraitis J. The theory of triadic influence. In: DiClemente RJ, Crosby RA, Kegler MC, editors. Emerging theories in health promotion practice and research. 2n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9. p. 451-510. 

  18. Chang SJ, Choi S, Kim SA, Song M. Intervention strategies based on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model for health behavior change: A systematic review. Asian Nursing Research. 2014;8(3):172-181. http://dx.doi.org/10.1016/j.anr.2014.08.002 

  19. Flay BR, Petraitis J. The theory of triadic influence: A new theory of health behavior with implications for preventive interventions. Advances in Medical Sociology. 1994;4:19-44. 

  20. Bell CC, Bhana A, Petersen I, McKay MM, Gibbons R, Bannon W, et al. Building protective factors to offset sexually risky behaviors among black youths: A randomized control trial. Journal of the National Medical Association. 2008;100(8):936-944. 

  21. Flay BR, Graumlich S, Segawa E, Burns JL, Holliday MY. Effects of 2 prevention programs on high-risk behaviors among African American youth: A randomized trial.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2004;158(4):377-384. http://dx.doi.org/10.1001/archpedi.158.4.377 

  22. Stevens J. Applied multivariate statistics for the social sciences. 3rd ed.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6. 

  23. Francis JJ, Eccles MP, Johnston M, Walker A, Grimshaw J, Foy R, et al.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manual for health services researchers. Centre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Quality of life and management of living resources. Newcastle upon Tyne, UK: University of Newcastle; 2004. 

  24. Resnick B, Jenkins LS.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elfefficacy for exercise scale. Nursing Research. 2000;49(3):154-159. 

  25. Hagger MS, Chatzisarantis N, Biddle SJ.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past behaviour on the physical activity intentions of young people. Journal of Sports Sciences. 2001;19(9):711-725. http://dx.doi.org/10.1080/02640410152475847 

  26. Washburn RA, Smith KW, Jette AM, Janney CA. The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 Development and evalua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3;46(2):153-162. 

  27. Choe MA, Kim J, Jeon MY, Chae YR.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K-PAS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1):47-59.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1.47 

  28. Logan SL, Gottlieb BH, Maitland SB, Meegan D, Spriet LL. The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 questionnaire; Does it predict physical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13;10(9):3967-3986. http://dx.doi.org/10.3390/ijerph10093967 

  29. Bolszak S, Casartelli NC, Impellizzeri FM, Maffiuletti NA.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PASE) questionnaire for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level in patients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14;15:46. http://dx.doi.org/10.1186/1471-2474-15-46 

  30. Stiggelbout M, Hopman-Rock M, Crone M, Lechner L, van Mechelen W. Predicting older adults' maintenance in exercise participation using an integrated social psychological model.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6;21(1):1-14. http://dx.doi.org/10.1093/her/cyh037 

  31. Maibach E, Murphy DA. Self-efficacy in health promotion research and practic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Health Education Research. 1995;10(1):37-50. http://dx.doi.org/10.1093/her/10.1.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