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치료시 고혈압적 응급상황 관리 -증례 보고-
Management of Hypertensive Crisis Emergency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v.10 no.2, 2010년, pp.183 - 189  

황재호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통합진료과) ,  김기덕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통합진료과) ,  우은정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통합진료과) ,  이민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통합진료과) ,  담추금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통합진료과) ,  박원서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통합진료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dical emergencies are not rare in dental practice but when an emergency does occur it can be life-threatening. Medical emergency such as hypertensive crisis can be encountered in dental practice and the dentist should be competent in emergency management by taking life support courses. This rep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치과의사들은 고혈압 환자가 늘어감에 따라 그 위험성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응급상황에 대한 정확한 대처법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응급상황에서 절반이상의 치과의사들이 대처법을 잘 알고 있는지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대답하였다(Girdler and Smith, 1999; Muller et al, 2008). 본 증례보고에서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통합진료과에서 치과 진료시 발생한 고혈압위기 3명의 증례를 분석하고, 위험요인, 대처법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결론적으로 고혈압위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는 것을 권장하고 싶다. 1) 전신 병력이 있을시 내과의사에게 자문은 구해야한다. 2) 환자의 기준 혈압을 확인하기 위해 내원시마다 혈압을 측정한다.
  • 2) 환자의 기준 혈압을 확인하기 위해 내원시마다 혈압을 측정한다. 3) 시술시간을 최소화해야 한다. 4)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 확실한 통증조절을 실행할 것을 권장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혈압 위기는 어떻게 구별 되는가? 2003년 Joint National Committee (JNC)에 따르면(Chobanian et al, 2003) 고혈압 위기는 고혈압 응급과 긴급으로 구별되는데 고혈압응급은 관상동맥 허혈, 뇌경색, 신부전 같은 표적기관의 이상을 동반하여 180/120 mmHg 이상으로 혈압이 급격히 오르는 것으로 정의된다. 고혈압긴급은 표적기관의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혈압 상승을 의미한다.
고혈압응급의 정의는 무엇인가? 2003년 Joint National Committee (JNC)에 따르면(Chobanian et al, 2003) 고혈압 위기는 고혈압 응급과 긴급으로 구별되는데 고혈압응급은 관상동맥 허혈, 뇌경색, 신부전 같은 표적기관의 이상을 동반하여 180/120 mmHg 이상으로 혈압이 급격히 오르는 것으로 정의된다. 고혈압긴급은 표적기관의 이상을 동반하지 않는 혈압 상승을 의미한다.
치과 치료 시 고혈압 위기와 같은 의학적 응급상황이 일어날 확률 또는 빈도는 얼마나 되는가? 여러 가지 응급상황 중 혈압이 급격하게 오르는 고혈압위기 같은 상황은 치과 치료시 충분히, 자주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다. 1999년 M.N.Girdler (Girdler and Smith, 1999)에 의하면 치과 치료 중 1년에 0.9%의 확률로 일어날 수 있다고 했으나, 2008년 Muller (Muller et al, 2008) 등은 12개월간 발생한 응급상황 중 고혈압위기가 미주신경성 실신다음으로 많이 보고되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irag K, Vaidya M, Jason R, Ouellette M: Hypertensive Urgency and Emergency. Hospital Physician 2007; March: 8. 

  2. Chobanian AV, Bakris GL, Black HR, Cushman WC, Green LA, Izzo JL Jr, et al: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Hypertension 2003; 42: 1206-52. 

  3. Girdler NM, Smith DG: Prevalence of emergency events in British dental practice and emergency management skills of British dentists. Resuscitation 1999; 41: 159-67. 

  4. Herman WW, Konzelman JL Jr, Prisant LM: New national guidelines on hypertension: a summary for dentistry. J Am Dent Assoc 2004; 135: 576-84; quiz 653-4. 

  5. Kitiyakara C, Guzman NJ: Malignant hypertension and hypertensive emergencies. J Am Soc Nephrol 1998; 9: 133-42. 

  6. Marik PE, Varon J: Hypertensive crises: challenges and management. Chest 2007; 131: 1949-62. 

  7. Min H, Chang J, Balkrishnan R: Sociodemographic risk factors of diabetes and hypertension prevalence in republic of Korea. Int J Hypertens 2010; 2010. 

  8. Muller MP, Hansel M, Stehr SN, Weber S, Koch T: A state-wide survey of medical emergency management in dental practices: incidence of emergencies and training experience. Emerg Med J 2008; 25: 296-300. 

  9. Rehman F, Mansoor GA, White WB: "Inappropriate" physician habits in prescribing oral nifedipine capsules in hospitalized patients. Am J Hypertens 1996; 9: 1035-9. 

  10. Tisdale JE, Huang MB, Borzak S: Risk factors for hypertensive crisis: importance of out-patient blood pressure control. Fam Pract 2004; 21: 420-4. 

  11. W. Little J, Falace DA, S. Miller C, Rhodus NL: Dental management of the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St. Louis, Missouri, Mosby. 2007. 

  12. Webster J, Petrie JC, Jeffers TA, Lovell HG: Accelerated hypertension--patterns of mortality and clinical factors affecting outcome in treated patients. Q J Med 1993; 86: 485-93. 

  13. Yu SH, Whitworth JA, Kincaid-Smith PS: Malignant hypertension: aetiology and outcome in 83 patients. Clin Exp Hypertens A 1986; 8: 12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