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다양한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 상태와 치과적인 주소 및 진단명 그리고 치료내용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구강내과적인 주소가 무엇인지를 관찰함으로써 입원한 전신질환자와 구강질환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은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 26%, 뇌경색 25.2%, 뇌내출혈, 다발성 관절증, 고관절증 각각 4.7%, 신경근 및 신경총 장애, 고혈압성 심장 및 신장 질환, 강직성 척추염 각각 2.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 내원한 환자의 주소는 치통 28.6%, 정기검사 23%, 치아동요 8.7%, 치아지각과민 7.1%, 치주출혈 6.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3. 내원한 환자의 진단된 구강질환은 치은염치주질환 28.9%, 치아우식증 17.1%, 치수 및 치근단주위의 질환 15.1%, 타액선의 질환 10.5%, 치아경조직의 기타질환 8.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4. 내원한 환자의 치료내용은 치주치료 17.95%, 치료거부 16.67%, 구강건조 및 구취 제거를 위한 약물치료 13.46%, 발치치료 12.18%, 보철치료 8.97%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5. 내원한 환자의 구강내과적인 주소는 16% 이었으며, 구강연조직질환 6.4%, 두개하악장애 5.6% 그리고 구취 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입원한 전신질환자를 통해서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의 구강질환과 구강질환이 있는 환자의 전신질환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파악이 되었으나 향후 구강질환과 전신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oral medicine inpatient with systemic disease. Methods : A total of 110 subjects, inpatient due to systemic disease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 was requested to answer the medical history and dental treatm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한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 상태와 치과적인 주소 및 진단명 그리고 치료내용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구강내과적인 주소가 무엇인지를 관찰함으로써 입원한 전신질환자와 구강질환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따라서 다양한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 상태와 치과적인 주소 및 진단명 그리고 치료내용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구강내과적인 주소가 무엇인지를 관찰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질환의 진단과 치료 시에는 전신질환의 종류와 정도 등의 기본적인 파악이 절실히 요구되는 이유는? 이러한 전신질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는 치의학 영역밖에 있으나 치과의사들은 구강질환의 진단과 치료동안에 일어날 수 있는 제반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신질환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며,2)전신질환이 있는 구강질환자도 치의학적인 진료를 받을 권리가 있고, 치과의사는 진료를 할 의무가 있다.3)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질환의 구강 내 발현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어려움은 구강과 그 인접 구조물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여러 가지 조건으로부터 그리고 감별진단을 어렵게 하는 광범위한 증상과 징후에서부터 유래되기 때문에 구강질환의 진단과 치료 시에는 전신질환의 종류와 정도 등의 기본적인 파악이 절실히 요구 된다.4)
최근의 치의학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최근의 치의학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는 가장 큰 원인 중에 하나는 의학의 발달로 과거에는 치명적으로여겨졌던 많은 전신질환들이 치료될 수 있게 되어서 상대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전신질환을 가지고 있는 구강질환자를 치과의사가 진료해야 하기 때문이다.1)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 상태와 치과적인 주소 및 진단명 그리고 치료내용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구강내과적인 주소가 무엇인지를 관찰함으로써 입원한 전신질환자와 구강질환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양한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들 중에서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 상태와 치과적인 주소 및 진단명 그리고 치료내용을 조사하고 이와 관련된 구강내과적인 주소가 무엇인지를 관찰함으로써 입원한 전신질환자와 구강질환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질환을 진료받기 위해서 내원한 환자의 전신질환은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 26%, 뇌경색 25.2%, 뇌내출혈, 다발성 관절증, 고관절증 각각 4.7%, 신경근 및 신경총 장애, 고혈압성 심장 및 신장 질환, 강직성 척추염 각각 2.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2. 내원한 환자의 주소는 치통 28.6%, 정기검사 23%, 치아동요 8.7%, 치아지각과민 7.1%, 치주출혈 6.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3. 내원한 환자의 진단된 구강질환은 치은염 및 치주질환 28.9%, 치아우식증 17.1%, 치수 및 치근단주위의 질환 15.1%, 타액선의 질환 10.5%, 치아경조직의 기타질환 8.6%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4. 내원한 환자의 치료내용은 치주치료 17.95%, 치료거부 16.67%, 구강건조 및 구취 제거를 위한 약물치료 13.46%, 발치치료 12.18%, 보철치료 8.97%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5. 내원한 환자의 구강내과적인 주소는 16% 이었으며, 구강연조직질환 6.4%, 두개하악장애 5.6% 그리고 구취 4%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입원한 전신질환자를 통해서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의 구강질환과 구강질환이 있는 환자의 전신질환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파악이 되었으나 향후 구강질환과 전신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정성창, 이승우, 김영구. 구강내과학. 제3판, 서울, 1984, 고문사, pp.1-5 

  2. 이승우 외. 구강진단학. 제5판, 서울, 1996, 신흥인터내셔날, pp.96-119 

  3. Millard HD, Manson DS. Forward in: Perspectives on 1988 World Workshop on Oral Medicine. Chicago, 1988, Yearbook Medical Publishers, pp.5-6 

  4. 홍정표, 전양현. 입병의 실체. 서울, 2000, 지성출판사, pp.2-3 

  5. 전양현, 홍정표.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구강질환 의뢰실태에 관한 연구. 경희의학 2002;18(1):55-62 

  6. 전양현, 홍정표. 입원한 전신질환자의 구강질환 진료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의사협회지 2003;41(4): 268-276 

  7. 전양현, 어규식, 홍정표.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구강질환. 경희의학 2007;23(2):140-147 

  8. 최영길.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ICD-10). 서울, 1995, 경희의료원, pp.1-43 

  9. 김정균. 국제질병분류의 치의학분야에의 적용(ICD-DA). 서울, 1995, 대한치과의사협회, pp.74-95 

  10. 조정원. 2005년 경희연보(치과외래). 서울, 2006, 경희의료원, pp.74-82 

  11. 최영길. 1998년 경희연보별책(국제분류별병원통계). 서울, 1999, 경희의료원, pp.138-141 

  12. 정성창, 김영구, 이승우. 치과환자의 전신건강상태의 평가법과 치료계획수립에의 응용. 대한치과의사협회지 1981;19(7):569-574 

  13. Comroe BI, Collins LH, Crane MP. Internal Medicine in Dental Practice. 5th ed., Philadelphia, 1961, Lea & Fabiger, pp. 5-6 

  14. Halstead CL. Physical evaluation of the dental patient. St. Luis, 1982, The C.V. Mosby Co., pp.13-26 

  15. Little JW, Falace DA. Dental management of the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 St. Louis, 1980, The CV Mosby Co., pp.1-52 

  16. Malcolm AL, Vernon JB, Martin SG. Burket's Oral Medicine. 8th ed., Lippincott, 1984, pp.3-7 

  17. Malamed SF. Handbook of medical emergencies in the dental office. 2nd ed., St. Louis, 1982, The CV Mosby Co., pp1-58 

  18. Romriell GE, Streeper SN. The medical history. Dent Clin North Am 1982;26(1):3-11 

  19. Morris AL. The medical history in dental practice. JADA 1976;74(1):129-137 

  20. McCarthy FM. Emergencies in dental practice. 2nd ed, Philadelphia, 1972, WB Saunders Co., pp.2-22 

  21. Ingber JS, Rose LF. The Problem-oriented record: Clinical application in a teaching hospital. J Dent Educ 1975;39(7):472-482 

  22. Tryon AF, Mann WV, Dejong IV. Use of a problem oriented record in undergraduate dental education. J Dent Educ 1976;40(9):601-6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