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에 따른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Purchase Behavior and Risk Perception in Cosmetics Purchases at Online Shopping Malls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9 no.6, 2010년, pp.1003 - 1012  

김주희 (경성대학교 의상학과) ,  하종경 (동명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purchase behavior according to the risk perceptions when customers buy Cosmetics at Internet Shopping Malls. Participants were 232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more than one buying experience at an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Data were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Cron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문제 3] 인터넷 쇼핑몰의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군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특성을 살펴 본다.
  • 본 연구는 20-30대 젊은 여성소비자들이 인터넷쇼핑몰을 이용해서 화장품이라는 상품을 구매할 때 위험지각 정도는 어떠하며, 또 주로 어떤 위험지각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20-30대 여성소비자의 경우 인터넷쇼핑몰을 통해 화장품을 구매하는데 위험지각 정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 요소를 통해 구매품목, 구매기준, 정보탐색과 같은 화장품 구매행동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시 위험지각에 따른 구매행동특성을 분석하기위해, 20대-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화장품 소비자의 위험지각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유형화함으로써 그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시 위험지각에따른 구매행동을 분석하기위해 20대-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화장품 소비자의 위험지각요인을 분석하고 유형화함으로써 그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터넷 화장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화장품 인터넷 쇼핑몰의 변화에 의해 소비자들의 구매비율의 증가와 더불어 쇼핑시 인식하게 되는 위험지각에 대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특히 인터넷 화장품은 구매의 편리성과 저렴한 가격의 이점 등으로 소비자들의 구매비율이 증가하고 있지만, 수입화장품의 증가와 인터넷 오픈마켓업체수의 증가에 따라 수많은 업체중에 테스터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자신의 피부 타입을 고려한 제품을 선택하는 위험부담율은 점점 더 커질 것이며, 소비자들은 이러한 신체적 위험이나 심리적 위험을 경험할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위험지각의 유형과 그에 따른 구매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위험지각요인에 관한 연구와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Dowling은 위험지각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Dowling(1986)에 의하면, 위험지각(risk perception)은 어떤 사물이나 행동에 대한 인지적 신념이라 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구매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표선택, 점포선택 그리고 구매방식의 선택 등을 행하고자할 때 지각하는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위험을 말하며, 상표선택의 결과가 내포하는 여러가지의 불확실성에 대한 신념과 그 신념의 중요성을 기본으로 측정된다 .
화장품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시 위험지각에따른 구매행동을 분석하기 위해 위험지각 요인을 분석하고 유형화함으로써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인터넷 쇼핑몰의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요인은 결제위험, 서비스위험, 품질위험, 가격위험, 체험위험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인터넷에서 화장품 구매시 결제위험이 가장 주요한 위험지각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터넷 쇼핑몰의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요인에 따른 유형화 결과, 저위험지각집단, 결제위험지각집단, 고위험지각 집단의 3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인터넷 쇼핑몰의 화장품 위험지각 소비자의 구매품목별 차이에서는 메이크업제품과 기능성제품,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구매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인터넷 쇼핑몰의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정도가 가장 높게 분포된 구매 품목은 헤어제품이었다. 위험지각유형중 고위험지각은 메이크업제품, 기능성제품을 주로 구매하였으며, 결제위험지각집단은 메이크업 베이스 제품의 선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쇼핑몰의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소비자에 따른 구매기준의 차이는 저위험지각군의 경우 화장품 기능성에 구매기준을 높이 두고 있으며, 결제위험지각군은 화장품 재료(성분)과 샘플제공여부 및 테스트 여부를 중요시하였고 고위험지각군의 경우 모든 구매기준을 높게 인지하였다. 다섯째, 인터넷 쇼핑몰의 화장품 구매시 위험지각 소비자에 따른 화장품 정보탐색의 차이에서 결제위험지각군은 가족이나 친구의견 및 화장품샘플사용을 통한 정보탐색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위험지각 군은 정보탐색이 적극적이며, 저위험지각은 오히려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곽용환. (2001). 인터넷 쇼핑몰 사용자의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정임. (2004). 20-30대 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구양순, 이승민, 권현주. (2000). 남자대학생의 의복관여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8(2), 183-196. 

  4. 김남일. (1986). 한국메이크업 화장품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연희, 배정훈, 박재옥, 이규혜. (2007). 대행 인터넷 쇼핑몰에서 위험지각과 정보탐색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5), 670-679. 

  6. 김영란. (2008). 대학생의 외모 및 화장품 구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4(1), 56-64. 

  7. 김은희. (c). 온라인 쇼핑몰 소비자의 패션제품의 구매동기와 만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현정, 이명희. (2007).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동기와 구매 후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학회지, 57(3), 78-89. 

  9. 박기원. (1993). 상황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과업상황 및 인지된 위험을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박성희. (2003). 국내 인터넷 쇼핑몰의 고객서비스와 고객만족도: 패션제품 구매상황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은주, 강은미. (2005).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가치, 인터넷 패션 쇼핑몰 속성, 감정 및 구매의도가 구매여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7), 117-128. 

  12. 박은주, 김지은. (2010). 인터넷쇼핑몰 유형별 쇼핑몰속성이 화장품 쇼핑몰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2(1), 38-45. 

  13. 박인숙. (2003). 인터넷 쇼핑몰의 서비스 품질 중요도와 소비자유형에 따른 패션상품 서비스품질 만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박정현. (2006). 남자고등학생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고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방원정. (2006). 20-30대 직장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소규만. (1996). 여성의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송정아. (1989). 의복 Life Style에 따른 위험지각과 정보 탐색.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송혜인. (2002). 20대 여성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수입 화장품, 온라인 쇼핑몰이 대세. (2007, 1. 19). 스포츠서울, 자료검색일 2010, 6. 1, 자료출처http://www.sportsseoul.com/news/life/living/070119/20070119119395421000.htm 

  20. 신수연, 김민정. (2004).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마케팅 전략. 복식문화연구, 12(1), 41-58. 

  21.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성장에 전문쇼핑몰 주춤. (2006, 8. 10).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10, 6. 5, 자료출처 http://blog.naver.com/2940yagu0/60027290472 

  22. 윤종희, 진기남. (2006). 미디어 노출이 화장과 헤어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3), 336-342. 

  23. 이규혜, 최자영. (2007). 패션제품 인터넷 쇼핑시 지각되는 위험과 구매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태도의 역할. 복식문화연구, 15(3), 472-482. 

  24. 이명희. (2004). 여성의 자아개념이 화장품 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복식문화연구, 12(4), 614-627. 

  25. 이명희, 김현정. (2006).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화장품 구매행동과 소비자불만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8(3), 87-100. 

  26. 이문영, 김용숙. (2006). 20-30대 남성들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 복식학회지, 56(1). 56-69. 

  27. 이선화. (2007). 메이컵 중요도와 만족도 성향이 화장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숙희. (2004). 인터넷 화장품 소비자의 쇼핑성향에 따른 점포속성중요도 및 구매의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6(3), 83-99. 

  29. 이재민. (1989). 상황과 지각된 위험이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지영, 김용숙. (2004). 국내 색조화장품의 광고표현형식에 따른 상표 및 광고 이미지의 지각차이 분석 : 전북지역 미용패션 전공자와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575-584. 

  31. 이진아. (2003). 충동구매, 추구혜택, 정보원 선택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전민자, 김주덕. (2005). 여대생의 화장품 구매행동과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1(3), 272-282. 

  33. 정미숙. (2000). 여대생의 피부관리와 화장습관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4). 국내 인터넷 쇼핑시장 분석 및 전망. KISDI 이슈리포트, 4(18), 1-4. 

  35. 정주임. (2000). 소비자의 화장품 상표충성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정재은, 정성지. (2004). 인터넷 패션소비자의 의복쇼핑 성향과 판촉활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1037-1047. 

  37. 조염. (2009). 화장품의 인터넷 구매시 지각된 위험과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조영주, 임숙자, 이승희. (2001).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제품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5(7), 1247-1257. 

  39. 황윤용, 이창원, 최낙환. (2004). 온라인 외부정보탐색 이용행동에 대한 정보탐색지식과 쇼핑추구가치의 효과. 마케팅과학연구, 14(1), 17-36. 

  40. 황진숙, 정정현. (2005). 인터넷 쇼핑 및 TV홈쇼핑 위험 지각에 따른 의복쇼핑성향, 구매 의도, 구매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9(5), 637-648. 

  41. Anderson, R. E., & Srinivasan, S. S. (2003). E-satisfaction and e-loyalty: A contingency framework. Psychology & Marketing, 20(2), 123-138. 

  42. Dowling, G. R. (1986). Perceived risk: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Psychology and Marketing, 3, 193-210. 

  43. Hisrich, R., Dornoff, R. J., & Kerman, J. B. (1972). Percieved risk in store selec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9, 435-439. 

  44. Schiffman, L. G. & Kanuk, L, L. (1994). Consumer Behavior (5th ed.). Prentice Hall, 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