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위, 파파야, 파인애플 및 배 과즙 처리에 의한 누에분말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활성
Bioactive and Chemical Properties by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Degradation with Kiwifruit, Papaya, Pineapple and Pear Juic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0 no.11 = no.127, 2010년, pp.1718 - 1724  

차재영 (대선주조(주) 기술연구소) ,  김용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안희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엄경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허수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의생명과학과) ,  조영수 (동아대학교 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누에분말을 과일(키위, 파파야, 파인애플 및 배) 단백질 분해 효소로 반응시켜 생리활성작용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H, 산도, 단백질 함량,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단백질 패턴,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누에분말은 각 과일 단백질 분해 효소$60^{\circ}C$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단백질 농도는 과즙액 처리 누에분말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에분말의 주요 미네랄은 칼륨, 마그네슘, 칼슘 및 아연이였으며, 주요 지방산 조성은 linolenic acid, oleic acid 및 palmitic acid 였다. SDS-PAGE상의 단백질 패턴 분석에서 66-97 kDa 정도 크기의 누에 단백질 밴드가 파인애플, 파파야 및 배 반응에 의해서는 대부분 분해가 일어났지만, 키위 반응에 의해서는 거의 분해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전용해 활성은 파파야 및 배 반응에 의한 누에분말에서만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은 0.1% 처리 농도에서 과일 단백질 분해 효소 반응에 의한 누에분말에서 미반응 누에분말 보다 증가하였으나, 시판 항산화제 BHT 처리보다는 활성이 많이 낮았다. 따라서 과즙액 처리 누에분말의 경우 반응 전 누에분말 보다 생리활성작용 및 이화학적 특성이 강화됨으로써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의 가치가 증가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ioactive and chemical properties of silkworm powder (SP) degradation by fruit extract containing the proteolytic enzymes of kiwifruit, papaya, pineapple and pear were investigated. Silkworm powder was incubated with extracts from each fruit at $60^{\circ}C$ for 24 hr. Protein content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로 여과시켜 만들었다. DPPH 용액 5 ml에 일정 농도(0.1% 및 0.5%)의 시료용액 1 m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8 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대조구인 시판항산화 BHT는 0.
  • 각 과즙액 처리 누에 분말의 혈전용해 효소 활성은 fibrin plate 법[2]을 변형하여 lysed zone으로 측정하였다. Fibrin plate는 0.
  • 각 과즙액으로 반응시킨 누에분말을 증류수에 1% (w/v) 농도로 첨가하여 교반한 후 pH meter (Methrohm 691, Swiss)로 직접 pH를 측정하였다. 산도 측정은 시료액 10 ml을 취하고 증류수 50 ml를 가한 후 잘 흔들어 1% phenolphthalein 용액 4~5 방울 떨어트리고 0.
  • 5%)의 시료용액 1 ml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28 nm에서 흡광도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대조구인 시판항산화 BHT는 0.05%로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흡광도 감소를 측정하였다.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는 시료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차를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 시료단백질의 SDS 처리는 최종농도 2% SDS, 14.4 mM β-mercaptoethanol, 60 mM Tris-HCl buffer (pH 6.8), 25% glycerol 및 0.1% BPB 혼합액에서 100℃로 5분간 열처리 하였다.
  • 시료를 증류수에 1% 농도로 용출시킨 후 여과(Whatman No. 2)하여 fibrin plate 상에 50 μl씩 점적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생성된 투명환 부위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 회수한 과즙 착즙액을 10% (v/w) 수준으로 누에분말에 골고루 섞은 다음 60℃에서 24시간 반응 시켰다. 이때 반응 온도는 카제인을 기질로 한 단백질 분해에서 배, 무화과, 파인애플, 파파야 과즙 유래의 단백질 조효소제 활성이 60℃ 온도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낸 결과를 고려하였으며[4], 반응시간은 actomyosin 분해에서 12시간 이후부터 고분자 단백질의 분해산물이 저분자 단백질로 분해되기 시작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하였다[18].
  • 3) 하에서 130-150 mA/gel (cm)의 정전류를 통하여 1시간 30분간 하였다. 전기영동 후 gel은 고정액 (Methanol:Acetic acid:Water=10:10:80)에 1%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을 첨가하고 10시간 염색한 후 탈색액 (Methanol:Acetic acid:Water=10:10:80)으로 충분히 탈색시켜 건조 및 사진촬영을 행하였다.
  • 5 mA/gel (cm)의 정전류를 통하여 행하고, 4℃ 저온에서 2시간 통전시켰다. 전기영동이 완료된 gel은 7% 초산 액에 용해한 1% coomassie brilliant blue R-250으로 염색한 후 7% 초산 액으로 충분히 탈색시켜 건조 및 사진촬영을 하였다.
  • 5%를 사용하였다. 즉 분리 gel은 30% acrylamide, 0.8% bis-acrylamide, 1.5 M Tris-HCl buffer (pH 8.8), 0.05% TEMED 및 10% 과산화암모늄을 혼합하여 1 mm 두께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분리 gel 위에는 5% 농축 gel [30% acrylamide, 0.
  • 지방산 분석은 Omega-Wax capillary column (30 m × 0.25 μm, Supelco, USA)을 사용하여 Gas chromatography (GC-17A, Shimadzu, Koyto, Japan)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험 재료인 누에분말은 순천영농법인(순천, 전남)에서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공시재료로 사용한 키위(Actinidia chinensis), 파파야(Carica papaya L.), 파인애플(Ananas comosu L.), 배(Pyrus serotina L.)는 부산지역 대형마트에서 구입하여 상온에서 4 일간 후숙 시킨 후 사용하였다. 과일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기 위하여 가식부만 균질화 시키고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 후 상등액만 회수하여 누에분말의 단백질 분해에 사용하였다.
  • 실험 재료인 누에분말은 순천영농법인(순천, 전남)에서 직접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공시재료로 사용한 키위(Actinidia chinensis), 파파야(Carica papaya L.
  • 25 μm, Supelco, USA)을 사용하여 Gas chromatography (GC-17A, Shimadzu, Koyto, Japan)로 분석하였다. 캐리어 가스는 헬륨을 사용하였고, injection 온도는 250℃, oven 온도는 180℃ 및 detection 온도는 260℃로 하였다. 지방산 분석 결과는 각 지방산 표준물질과 동일한 retention time에 검출된 것으로 하였으며, 이때 검출된 총 지방산의 면적에 대한 각 지방산의 면적 비율(%)로 나타내었다.

데이터처리

  • 실험군들 사이의 유의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시료들 사이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8].
  •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결과값은 one-way ANOVA 검정에 의한 평균값과 표준편차(mean±S.D.)로 표시 하였다.
  • 캐리어 가스는 헬륨을 사용하였고, injection 온도는 250℃, oven 온도는 180℃ 및 detection 온도는 260℃로 하였다. 지방산 분석 결과는 각 지방산 표준물질과 동일한 retention time에 검출된 것으로 하였으며, 이때 검출된 총 지방산의 면적에 대한 각 지방산의 면적 비율(%)로 나타내었다.

이론/모형

  • 각 과즙액 처리 누에 분말의 단백질 패턴 분석은 Weber 및 Osbom 방법[27]에 준하였는데, SDS-PAGE의 조성은 10% acrylamide, 1.5 M Tris-HCl buffer (pH 8.8), 0.4% SDS (Sodium dodecyl sulfate), 10% 과산화암모늄 및 0.05% TEMED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농축 gel의 조성은 5% acrylamide, 0.
  • 각 과즙액 처리 누에 분말의 단백질 패턴은 Davis 방법[11]에 따라 slab-type Native-PAGE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의 gel 농도는 7.5%를 사용하였다. 즉 분리 gel은 30% acrylamide, 0.
  • 각 과즙액 처리 누에 분말의 미네랄 함량은 AOAC 분석 방법[1]으로 시료 분말 1 g을 각 550℃ 회화로에서 3시간 회화시킨 후 6 N HCl에 용해시켜 완전히 산 분해 시켜 수욕조상에서 산을 완전히 제거하고, 이 건고물에 3 N HCl를 가하여 Whatman No. 4 여과지로 1차 여과하고 0.2μm 필터로 여과시켜 원소 종류에 따라 각각 일정비율로 희석한 후 원자흡광분광광도계(AAnalyst 300, Perkin Elmer, Norwalk CT,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각 과즙액으로 반응시킨 누에분말의 단백질 농도는 Lowry 방법[22]으로 540 nm에서 분광광도계로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품으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 과즙액 처리 누에 분말의 지방산 분석은 Garces 및 Mancha 방법[13]으로 누에 분말 1 g에 15 ml chloroform 및 7.5 ml methanol 혼합액(2:1)을 넣고 37℃에서 30분간 가온 추출한 후 chloroform 및 methanol 혼합액(2:1)으로 25 ml로 맞추어 여과 시켰다. 여과한 용액에 4.
  • 과즙액 처리 누에 분말의 항산화 활성은 Blois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5]. 즉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용액은 100 ml 에탄올에 DPPH 16 mg을 녹인 후 증류수 100 ml를 혼합하여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에분말이 다른 자생곤충보다,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사용될 가능성이 큰 이유는? 국내 자생곤충으로부터 추출한 304종에서 방아깨비, 왕잠자리, 비단노린재 등 극히 일부인 10종에서만 항트롬빈 활성이 관찰되었으며[25], 항산화 활성은 방아깨비, 가시길쭉바구미, 알락수엽노린재, 송장벌레과 유충 4종에서만 관찰되어[25] 곤충 중에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종류가 많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누에가 미생물 발효나 효소 처리에 의해 생리활성작용이 확인되어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사용될 가능성이 시사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 누에분말을 과일 단백질 분해효소와 반응시켜, 생리활성작용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측정한 것은? 누에분말을 과일(키위, 파파야, 파인애플 및 배) 단백질 분해 효소로 반응시켜 생리활성작용 및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H, 산도, 단백질 함량, 미네랄 함량, 지방산 조성, 단백질 패턴, 항산화 및 혈전용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누에분말은 각 과일 단백질 분해 효소로 $60^{\circ}C$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새로운 생물자원으로써, 누에의 유용성은? 최근 새로운 생물자원으로서의 누에(Bombyx mori L.)는 단백질과 지방 함유량이 높아 고단백질 식품소재로 인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8,20], 필수 아미노산과 n-3 계열의 고도불포화 지방산 함유량이 높아 간 기능 개선이나 혈액순환 관련 건강식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26,28]. 단백질 분해력이 높은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누에분말에 항산화작용, 항혈전작용, 타이로시나제 활성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향후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사용될 가치가 충분히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6,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OAC. 1997.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Astrup, T. and S. Mullertz. 1991. The fibrin plate method for estimating fibrinolytic activity. Arch. Biochem. Biophys. 40, 346-351. 

  3. Bai, Y. H. and J. H. Roh. 2000. Th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s in fruits (pear, kiwifruit, fig, pineapple and papaya). Korean J. Soc. Food Sci. 16, 363-366. 

  4. Bai, Y. H. and J. H. Roh. 2000. Application of proteolytic enzymes in fruits for meat tenderization. Korean J. Soc. Food Sci. 16, 367-371. 

  5.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4. 

  6. Cha, J. Y., Y. S. Kim, H. Y. Ahn, K. E. Eom, B. K. Park, and Y. S. Cho. 2009.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J. Life Sci. 19, 1468-1477. 

  7. Cha, J. Y., Y. S. Kim, P. D. Kang, H. Y. Ahn, K. E. Eom, and Y. S. Cho. 2010. B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haracteritics of fermented silkworm powder by mold. J. Life Sci. 20, 237-244. 

  8. Cho, C. H., W. S. Cha, and J. S. Kim. 1989. Effect of temperature, time and pH on the extraction of protein in a chrysalis of silkworm. Korean J. Biotechnol. Bioeng. 4, 65-68. 

  9. Choe, I. S. and Y. J. Park. 1996. A study on the utilization as meat tenderizer from Korean pear proteas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6, 89-93. 

  10. Choi, C., G. M. Son, Y. J. Cho, S. S. Chun, S. I. Lim, and Y. R. Seok. 1992.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omelain from Korean pineapple. J. Korean Agric. Chem. Soc. 35, 23-29. 

  11. Davis, B. J. 1964. Disc electrophoresis-II. Method and application to human serum proteins. In gel electrophoresis. by J. E. Fredrich. Ann. New York Acad. Sci. 121-404. 

  12. Elkahalifa, E. A. and N. G. Marriott. 1990.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Achromobacter iophagus and splennic pulp on collagen of restructured beef. J. Muscle Foods 1, 115-128. 

  13. Garces, R. and M. Mancha. 1993. One-step lipid extraction and fatty acid methyl esters preparation from fresh plant tissues. Anal. Biochem. 211, 139-143. 

  14. Ikeda, I., J. Y. Cha, T. Yanagita, N. Nakatani, K. Oogamil, K. Imaizumi, and K. Yazawa. 1998. Effects of dietary ${\alpha}$ -linolenic, ei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on hepatic lipogenesis and ${\beta}$ -oxidation in rats. Biosci. Biotechnol. Biochem. 62, 675-680. 

  15. Jeong, C. H., W. J. Lee, S. H. Bae, and S. G. Choi. 2007.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Korean gold kiwi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59-865. 

  16. Kang, K. S., H. Y. Kim, J. S. Pyo, and T. Yokozawa. 2003. Increase i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inseng by heat-processing. Biol. Pharm. Bull. 29, 750-754. 

  17. Kang, P. D., H. J. Yoon, K. S. Ryu, B. H. Sohn, and H. D. Sohn. 1999. Electrophoretic patterns of hemolymph proteins of varieties with long and short life span in the silkworm Bombyx mori L. Korean J. Seric. Sci. 41, 1-8. 

  18. Kim, E, M., I. S. Choe and S. G. Hwang. 2003. Effects of singular manner or mixed type treatment of proteases isolated from pear, pineapple and kiwifruit on actomysin degradation.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193-199. 

  19. Kim, I. J., H. K. Kim, J. H. Jong, Y. K. Jeong and C. H. Ryu. 2002. Study of functional Chungkukang contain fibrinolytic enzyme. Korean J. Life Sci. 12, 357-362. 

  20. Kwon, H. J., K. H. Lee, J. H. Kim, S. S. Chun, Y. J. Cho, and W. S. Cha. 2006. Effect of protease on the extraction and properties of the protein from silkworm pup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04-308. 

  21. Lee, S. M. and Z. U. Kim. 1990. Extraction of proteins from soymilk residue using the enzymes from Bacillus subtilis. Korean Agric. Chem. Soc. 33, 282-286. 

  22. Lowry, O. H., N. J. Rosebrogh, A. L. Farr, and R. J. Randall.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271. 

  23. Ok, M. and Y. S. Cho. 2005. Screening of fibrinolytic enzyme producing from microorganism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optimum conditions of enzyme production. Korean J. Food Preserv. 12, 643-649. 

  24. Park, B. H., Y. O. Kim, H. J. Kee, Y. J. Cho, and H. K. Choi. 1999. The effect of fig conserve additive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eef obtained from various br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511-519. 

  25. Park, Y. J., J. C. Heo, S. M. An, E. Y. Yun, S. M. Han, J. S. Hwang, S. W. Kang, C. Y. Yun, and S. H. Lee. 2005. High throughput-compatible screening of antioxidative substances by insect extract library. Korean J. Food Preserv. 12, 482-488. 

  26. Seong, S. I., K. E. Park, M. Nagata, and N. Yoshitake. 1985. Effect of metamorphois on the major hemolymph proteins of the silkworm. Arch. Insect Biochem. Physiol. 2, 91-104. 

  27. Weber, K. and M. Osborn. 1969. The reliability of molecular weight determination by sodium dodesyl sulph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J. Biol. Chem. 244, 4406-4412. 

  28. Yun, E. Y., S. H. Kim, W. S. Kang, B. R. Jin, K. Y. Kim, H. R. Kim, M. S. Han, and S. K. Kang. 1997. Molecular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novel attacin-like antibacterial protein gene isolated from the Bombyx mori. Korean J. Appl. Entomol. 36, 331-3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