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시설 자산관리 정보화 방안
Asse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Social Infrastructur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1, 2010년, pp.68 - 79  

최원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보연구실) ,  나혜숙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보연구실) ,  서명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보연구실) ,  정성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정보연구실) ,  임종태 (국립공주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회기반시설이 노후화됨에 따라 현행 시설물 유지관리를 넘어 예산을 절약하고 시설물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공공시설에 자산관리를 도입해야 한다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공공시설 자산관리는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시설물 유지보수 개념으로 기존의 시설물 유지관리업무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생애주기분석, 리스크관리 등의 의사결정 방법을 활용하여 최적화된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다. 자산관리의 정보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자산관리 업무를 조사하고, 뉴질랜드의 IIMM의 내용과 미국의 FHWA의 업무정의 그리고 국내의 대표적 유지관리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행 시설물 유지관리 조직간의 역할을 조사하고, 자산관리 조직과 업무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산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기존 유지관리시스템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를 자산관리 업무와 비교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시설 자산관리 정보화 방안으로 첫째,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에 있는 기능을 중복해서 개발하지 않고 자산관리 핵심업무만을 구현하며 둘째, 시스템의 구조를 계층으로 분할하고 셋째, 자산관리시스템과 기존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들간을 연동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social infrastructure being deteriorated, there is a growing need to introduce the asset management to social infrastructure management in order to increase their value and save budget. Social infrastructure asset management is a new concept of facility management in response to these dem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외 사례를 통하여 제시한 자산관리정보화 방안의 효율성을 검토하고, 제안한 자산관리 핵심업무와 타시스템과의 관계를 비교하여 업무 구분의 타당성 및 정보화방안의 독창성을 제시하고자한다.
  • 뉴질랜드는 도로 시설물의 급속한 노후화 등으로 도로분야에서 처음으로 자산관리가 시작되어 2006년 IIMM을 작성하여 자산관리를 위한 기본 틀을 제공하고 있다. 자산관리의 핵심 키워드는 생애주기를 통한 접근, 장기적인 비용효율적 관리 전략의 개발, 정확한 서비스와 성능 수준의 제공, 시설물의 파손으로 인한 리스크의 관리 등으로 보고, 현재와 미래의 고객을 위한 자산의 관리를 통해 가장 비용 효율적으로 요구되는 서비스수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목표하고 있다. 즉, 생애주기적 접근을 할 것, 비용 효율적인 관리 전략, 서비스수준(Level of Service: LoS) 및 성능 모니터링의 정의, 자산의 파괴에 대한 리스크 관리, 물적 자원의 지속 가능한 사용 등을 핵심 요소로 하여 자산관리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기반시설이란 무엇인가? 도로, 교량, 상하수도 및 공원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 설은 지역사회 및 국가경제의 원활한 운영과 국민의 안전 및 복지를 위해서 반드시 적정수준 이상의 상태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중요한 공공자산 이다. 이러한 사회기반시설은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서비스 요구수준이 증대됨에 따라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회기반시설의 서비스 수준이 수요가 커지는 것에 비해 점점 낮아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사회기반시설은 인구가 도시로 집중되고 서비스 요구수준이 증대됨에 따라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복지예산 요구가 커짐에 따라 시설물 유지보수예산은 상대적으로 감소되고 있어 수요가 커지는 것에 비해 서비스수준은 점차 낮아 지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한정된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시설물을 관리하려면 예산투자를 최적화해야할 것이 다.
국내에서의 시설물유지관리란 무엇인가? 국내에서의 시설물유지관리란 시설물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태등급에 따라 주어진 예산으로 보수 보강 공사를 하는 대응적 차원으로 시설물을 보수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관리대상 공공시설이 급속하게 늘어남에 따라 새로운 대처 방안이 요구되어 공공시설 자산관리는 새로운 시설물 유지보수 개념으로 기존의 시설물 유지관리업무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생애 주기분석기법과 비용분석, 리스크산정 등의 의사결정 방법을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최적화된 유지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Institute of Asset Management, Asset Management(Part 2: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s of PAS55-1), British Standards, 2008. 

  2. FHWA, Asset Management Primer, U.S. DOT, 1999. 

  3. Chae, M. J and Abraham, D. M., "Neuro-Fuzzy Appoaches for Sanitary Sewer Pipeline Condotion Assessment",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Vol.15, No.1, pp.4-14, 2001. 

  4. Richard Kirby,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Management Manual", INGENIUM, pp.4.2-4.11, 2006. 

  5. 신희철, 도로교통시설 자산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교통연구원, 2006. 

  6. 전귀현, 생애주기비용에 기초한 시설물 최적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시설안전공단, 2005. 

  7. 성정곤 외, Highway Management Systems 개발 보고서(III), 건설교통부, 2001. 

  8. 성정곤 외, Highway Management Systems 개발보고서, 건설교통부, 2004. 

  9. 김연복 외, 고속도로 콘크리트포장의 보수보강공법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I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4. 

  10. 배규진 외, 국도포장관리시스템 연차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11. 박경훈 외, 교량의 성능 및 사용효율 증대를 위한 자산관리기법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9. 

  12. 조문영 외, 자산관리 통합프레임워크 및 정책개발(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13. Stephen J. Gal, Transportional asset management: Basics, A seminor hand-out, 2008 

  14. 최원식 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정보시스템개발(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15. 국토해양부, 도로현황조서, 2008. 

  16. 박경훈 외, 교량의 성능 및 사용효율 증대를 위한 자산관리기법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17. 황환국 외, 상하수도관로의 성능 및 사용 효율증대를 위한 자산관리기법개발(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