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5% 과산화수소에 제2인산칼슘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치아의 색과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35% Hydrogen Peroxide with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on the Tooth Whitening and Microhardn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1, 2010년, pp.235 - 242  

정미애 (강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오혜승 (삼육보건대학 치위생과) ,  심연수 (신흥대학 치위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전문가 미백(in-office bleaching)에 사용하는 35%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P)를 제2인산칼슘(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DCPD)와 혼합하여 치아의 미백 효과와 미세경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소구치로부터 30개의 치아시편을 제작하여 3군으로 분류하였다(n=10). 35%과산화수소에 DCPD를 0.1, 1wt% 첨가하여 실험군으로 하고 하루 60분간 치아미백을 실시하였다. 치아 미백제에 pH를 측정하였고, 미백 적용한 치아 표면에는 색과 미세경도를 측정하였다. pH는 DCPD 함유한 군에서 DCPD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함유되지 않은 군에 비해 pH 수치가 증가하였다. 색조변화량 (${\Delta}$E)을 비교한 결과, 미백 전에 비해 미백 후 색조 변화를 보였고(p<0.05), 결과적으로 색 변화에 있어 DCPD를 함유한 군과 함유되지 않은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법랑질의 표면미세경도를 분석한 결과, 모든 군에서 미백 후 미세경도의 감소를 보였고(p<0.05), DCPD를 혼합한 군은 함유되지 않은 군에 비해 경도 감소의 폭이 훨씬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CPD를 함유한 35%과산화수소의 치아미백제는 치아미백 효과가 있고, pH를 상승시켜서 법랑질의 표면 경도를 덜 감소시키므로 치아미백제의 구성성분으로 실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ooth whitening and microhardness after treatments with tooth bleaching agents containing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DCPD) and 35% hydrogen peroxide (HP) which were used in-office bleaching. Thirty enamel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human premolar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 미백에 사용하는 35% 과산화수소를 대조군으로 선택하여 여기에 각 각 DCPD를 혼합하여 실험군으로 하고 첨가량(0.1, 1 wt %)에 따른 법랑질의 색, 경도를 측정하여 DCPD를 함유한 치아미백제의 미백효과와 법랑질의 경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사용 중인 치아 미백제의 주 성분은? 치아미백은 초기에는 무수치 표면에 백색물질을 도포하거나 내면을 채우는 것에서부터 기원하여 1868년 생활치 미백술이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초기에 사용되는 약제는 수산(oxalic acid)을 사용하다가 Harlan에 의해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P)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 현재 사용 중인 치아 미백제는 주성분인 과산화수소, 과산화 요소(carbamide peroxide), 과붕산나트륨(sodium perborate) 등 다양한 재료가 이용 되고 있다. 치아미백이란 과산화수소가 주성분으로 물과 활성산소로 분해되고, 이렇게 생성된 활성산소는 치아의 변색을 초래하는 착색물질과 화학반응을 하여 미백효과를 갖게 된다[2].
치아미백술 중, 자가미백이란? 치아미백술의 종류로는 자가 미백(home bleaching)과 전문가 미백(in-office bleaching)으로 나뉜다. 자가 미백은 10-15% 내외의 저농도 과산화요소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에 맞게 제작된 미백장치에 환자가 직접 미백제를 적용시키는 미백술이다[3]. 전문가 미백은 진료실에서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사용하여 1주일에 1회, 또는 2-3주 치료가 보편적이며, 적용시간은 20분에서 1시간정도로 제조사에 따라 차이가 있다[4].
치아미백술의 종류는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치아미백술의 종류로는 자가 미백(home bleaching)과 전문가 미백(in-office bleaching)으로 나뉜다. 자가 미백은 10-15% 내외의 저농도 과산화요소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에 맞게 제작된 미백장치에 환자가 직접 미백제를 적용시키는 미백술이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VMT. Zaragoza, “Bleaching of vital teeth: technique,” EstoModeo, Vol.9, No.2, pp.7-30, 1984. 

  2. L. Greenwall, Bleaching techniques in restorative dentistry an illustrated guide.London: Martin Dunitz Ltd., 2001. 

  3. V. B. Haywood and H. O. Heymann, “Nightguard vital bleaching,” Quintessence Int,Vol.20, No.6, pp.173-176, 1989. 

  4. S. Cohen and F. M, Parkins, “Bleaching tetracycline-stained vital teeth,”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Vol.29, No.3, pp.465-471, 1970. 

  5. M. Tavares and J. Sturltz, “Light augments tooth whitening with peroxide,” J Am Dent Assoc, Vol.134, No.5, pp.167-175, 2003. 

  6. V. B. Haywood, “Current status of nightguard vital bleaching,” Compend, Vol.21, No.28, pp.10-17, 2000. 

  7. T. Jiang, X. Ma, Z. Wang, H. Tong, J. Hu, and Y. Wang, “Beneficial effects of hydroxyapatite on enamel subjected to 30% hydrogen peroxide,” J Dent, Vol.36, No.11, pp.907-914, 2008. 

  8. R. S. McGuckin, and J. F. Babin, "Alterations in human enamel surface morphology following vital bleaching," J Prosthet Dent, Vol.68, No.57, pp.54-76, 1992. 

  9. N. Efeoglu, D. Wood, and C. Efeoglu, “Microcomputerised tomography evaluation of 10% carbamide peroxide applied to enamel,” J Dent, Vol.33, No.7, pp.561-567, 2005. 

  10. C. Zantner, N. Beheim-Schwarzbach, K. Neumann, and AM. Kielbassa, “Surface microhardness of enamel after different home bleaching procedures,” Dent Mater, Vol.23, No.2, pp.243-250, 2007. 

  11. C. F. Pinto, R. Oliveira, V. Cavalli, and M. Giannini, “Peroxide bleaching agent effectson enamel surface microhardness, roughness and morphology,” Braz Oral Res, Vol.18, No.4, pp.306-311, 2004. 

  12. A. Stralfors, “The effect of calcium phospate on dental caries in schoolchildren,” J Dent Res, Vol.43, No.6, pp.87-93, 1964. 

  13. S. B. Finn and H. C. Jamison, “Phosphate chewing gum on caries incidence in children: 30-month results,” J Am Dent Assoc, Vol.74, No.5, pp.987-995, 1967. 

  14. Y. P. Zhang, C. S. Din, S. Miller, S. A. Nathoo, and A. Gaffar, “Intra-oral remineralization of enamel with a MFP/DCPD and MFP/silica dentifrice using surface microhardness,” J Clin Dent, Vol.6, No.2, pp.148-153, 1995. 

  15. M. Sulieman, M. Addy, E. Macdonald, and J. S. Rees, “The bleaching depth of a 35% hydrogen peroxide based in-office product: a study in vitro,” J Dent, Vol.33, No.1, pp.33-40, 2005. 

  16. R. I. Sullivan, A. Charig, and J. Blake-Haskins, “In vivo detection of calcium from dicalcium phosphate dihydrate dentifrices in demineralized human enamel and plaque,” Am Dent Res, Vol.11, No.4, pp.380-387, 1997. 

  17. A. Joiner, “Review of the effects of peroxide on enamel and dentine properties,” J Dent, Vol.35, No.12, pp.889-896, 2007. 

  18. A. Ben-Amar, R. Liberman, and C. Gorfil, “Effect of mouthguard bleaching on enamel surface,” Am J Dent, Vol.8, No.1, pp.29-32, 1995. 

  19. A. Freire, L. R. Archegas, and E. M. de Souza, “Effect of storage temperature on pH of in-office and at-home dental bleaching agents,” Acta Odontol Latinoam. Vol.22, No.1, pp.27-31, 2009. 

  20. A. M. Borges, K. C. Yui, and T. C. D'Avila, “Influence of remineralizing gels on bleached enamel microhardness in different time intervals,” Oper Dent, Vol.35, No.2, pp.180-186, 2010. 

  21. F. Feagin, O. Sierra, and B. Jeansonne, “Effects of fluoride in remineralized human surface enamel on dissolution resistance.” J Dent Res, Vol.59, No.6, pp.1016-1021, 1980. 

  22. R. I. Sullivan, J. Masters, R. Cantore, and A. Roberson, “Development of an enhanced anticaries efficacy dual component dentifrice containing sodium fluoride and dicalcium dihydrate.” Am J Dent, Vol.14, No.2, pp.3-11, 2001. 

  23. M. S. McCraken and V. B. Haywood, “Demineralization effects of 10 percent carbamide peroxide,” J Dent, Vol.24, No.2 pp.395-398, 1996. 

  24. J. Perdigao, “Ultra-morphological study of the interaction of dental adhesives with carbamide peroxide bleached enamel,” Am J Dent, Vol.11, No.3, pp.291-301, 1998. 

  25. R. H. Leonard, A. Sharma, and V. B. Haywood, “Use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rbamide peroxide for bleaching teeth: an in vitro study,” Quintessence Int, Vol.29, No.8, pp. 503-507, 1998. 

  26. I. E Ruyter, K. Nilner, and B. Moller,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 resin materials for crown and bridge veneers. Dent Mater, Vol.3, No.4, pp.246-251, 1987. 

  27. O. Polydorou, E. Hellwig, and P. Hahn, “The efficacy of three different In-office bleaching systems and their effect on enamel microhardness.” Oper Dent, Vol.33, No.5, pp.579-586, 2008. 

  28. H. Duschner, H. Goz, and K. M. Kozak,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bleaching strips on tooth surface color, surface microhardness, surface and subsurface ultrastructure, and microchemical composition.” J Clin Dent, Vol.17, No.3, pp.72-78, 2006. 

  29. S. R. Grobler, A. Majeed, and M. A. Moola, “Effect of various tooth-whitening products on enamel microhardness.” SADJ. Vol.64, No.10, pp.474-479, 2009. 

  30. J. A. Rodrigues, G. M. Marchi, and G. M. Ambrosano, “Microhardness evaluation of in situ vital bleaching on human dental enamel using a novel study design.” Dent Mater, Vol.21, No.11, pp.1059-1067, 2005. 

  31. G. C. Lopes, L. Bonissoni, L. N. Baratieri, and L. C. Vieira, “Effect of bleaching agents on the hardness and morphology of enamel,” J Esthet Restor Dent, Vol.14, No.1, pp.24-30, 2002. 

  32. A. Vieira, M. Lugtenborg, and J. L. Ruben, “Brushing abrasion of eroded bovine enamel pretreated with topical fluorides.” Caries Res, Vol.40, No.3, pp.224-230, 2006. 

  33. H. Shannon, “Characterization of enamel exposed to 10%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agents,” Quintessence Int, Vol.24, No.1, pp.39-44, 1993. 

  34. M. Tukun, F. Sevgican, and Y. Pehlivan, “Effects of 10% carbamide peroxide on the enamel surface morphology: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tudy,” J Esthet Restor Dent, Vol.14, No.4, pp.238-244, 2002. 

  35. C. M. Flaitz and M. J. Hicks, “Effects of carbamide peroxide whitening agents on enamel surfaces and caries-like lesion formation: an SEM and polarized light microscopic in vitro study,” J Dent Child, Vol.63, No.4, pp.249-56, 1996. 

  36. Y. H. Kwon, M. S. Huo, K. H. Kim. S. K. Kim, and Y. J. Kim,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on the light reflectance and morphology of bovine enamel,” J Oral Rehabil, Vol.29, No.5, pp.473-477,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