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자원으로서의 Lemna Paucicostata의 인공배양조건과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Conditions for Artificial Culture of Lemna Paucicostata and Potentiality as an Alternative Biomass Source 원문보기

축산시설환경학회지 = Journal of livestock housing and environment, v.16 no.2, 2010년, pp.143 - 152  

곽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진의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김기혜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엄혜영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신종서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라창식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Lemna P.의 인공배양 조건을 파악하고 생산된 바이오매스의 영양적 가치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Lemna P.의 배양을 위해 총용적 $2,630\;cm^3$, 유효용적 $2,240\;cm^3$의 생물배양조를 이용하였으며 인공광원 6,250 lux, 평균온도 $28^{\circ}C$ 조건에서 인공폐수를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물 유동여부가 Lemna P.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하부층의 물 유동이 없는 경우 일일 1.1 이상의 성장률을 보인반면 하부층 물 유동이 있는 경우에는 단지 $0.15\;d^{-1}$의 생장률을 보였다. 또한 인공 폐수내 $NH_4$-N 농도변화와 광 조사시간이 Lemna P. 성장에 마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광주기 $16h\;d^{-1}$에서의 생장률이 8h 및 $24h\;d^{-1}$에서 보다 높았으며 Lemna P.의 생장은 초기 $NH_4$-N의 농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NH_4$-N의 농도가 낮을수록 Lemna P.의 생장률은 높았으나 조단백질 함량은 초기$NH_4$-N 농도에 비례하였다. $NH_4$-N의 농도 2, 10, 50, $100\;mg\;L^{-1}$에서 배양한 후의 Lemna P.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18, 24, 37, 43%로 50과 $100\;mg\;L^{-1}$ 농도에서 생장한 Lemna P. 바이오매스의 조단백질함량은 현재 단백질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아마박(조단백질 함량 35%), 면실박(38%), 대두박(45%)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광주기 $16h\;d^{-1}$ 초기 $NH_4$-N 농도 $2\;mg\;L^{-1}$ 이하에서 매우 높은 생장률로 증식한 Lemna P.의 조지방, 조단백질, 조섬유, 조회분, NDFADF 함량이 각각 2.77, 18.03, 27.02, 20.01, 41.00, 65.68%로 밝혀짐에 따라 우수한 단백질 또는 섬유질 대체자원의 대량 생산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Lemna P.는 식물성 지방보다 동물성 지방에서 검출되는 단일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가능성 지방산으로 알려진 C18:1n9c, C18:2n6c, C20:5n3 및 C22:2 들을 지나고 있어 가축의 가능성 사료자원으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ditions for artificial culture of Lemna Paucicostata and its nutritional valu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Lemna P. was cultured using artificial wastewater and a bioreactor (total volume $2,630\;cm^3$, working volume $2,240\;cm^3$) was operated at conditions of 6,250 lux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를인공적으로 배양하기 위한 조건을 파악하고 생산된 Lemna P. 바이오매스의 가축 사료 원으로서의 영양적 가치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emna P.의 인공배양 조건을 파악하고 생산된 바이오매스의 영양적 가치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Lemna 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 C., USA. 

  2. Dyerberg. J. and Bang, H. O. 1978. Eicos-apentaenoic acid prevention of the thrombosis and atherosclerosis. Lancet, 117. 

  3. Fletcher, A. and Warburton, K. 1997. Consumption of fresh and decomposed duckweed Spirodela sp. By Redclaw crayfish, Cherax quadricarinatus (von Martens). Aquaculture research 28:379-382. 

  4. Folch, J., Lees, M. and Stanley, G. H. 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 J. BioI. Chem. 226:497-509. 

  5. Hammouda, O., Gaber, A. and Abdel-Hameed, M. S. 1995.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of wastewater-contaminated aquatic systems with lemna gibba. Enzyme Microb. Technol. 17:317-324. 

  6. Haustein, A. T., Gilman, R. H., Skillicorn, P. W., Vergara, V., Guevara, V. and Gastanaduy, A. 1990. Duckweed, a useful strategy for feeding chickens: Performance of layers fed with sewage grown Lemnaceae species. Poultry Sci. 69: 1835-1844. 

  7. Hertampf, J. W. and Piedad-Pascual, F. Handbook on Ingredients for Aquaculture Feeds. Kluwer Academic Publications, Dordrecht 2000. 

  8. Hodgson, J., J. M. Rodrigeuz Capriles and J.S. Fenlon. 1977. The influence of herbage characteristics on the herbage intake of grazing calves. J. Agri. Sci. Cambridge. 89:743-750. 

  9. Jarrige, R., G. Demarquilly and J. P. Dulphy. 1974. The voluntary intake of forage. Proceedings of the fifth general meeting European Grassland Federation. Upsala. Plant husbandry. 28:98-106. 

  10. Mbagwu, I. G. and Adeniji, H. A. 1988. The nutritional content of duckweed (Lemna paucicostata Hegelm.) in the Kainji Lake area, Nigeria. Aquatic Botany, 29:357-366. 

  11. Monselise, E. B. I. and Kost, D. 1993. Different ammoniumion uptake, metabolism and detoxification efficiencies in two Lemnaces. Planta 189:167-173. 

  12. Oron, G., De-Vegt, A. and Porath, D. 1988. Nitrogen removal and conversion by duckweed grown on wastewater. Water Res. 22:179-184. 

  13. Robinson, H. R, Brunson, M. W. and Day, E. J. 1980. Use of duckweed in diets of channel catfish.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of Southeastern Association of Fish and Wildlife Agencies. 34:108-114. 

  14. Skillicorn, P., William S. and William J. 1993. Duckweed Aquaculture. A new aquatic farming system for developing countries. The World Bank, Washington, DC. 

  15. Sukhija, P. S. and Palmquist, D. L. 1988. Rapi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of feedstuffs and feces. J. Agric. Food Chem. 36:1202-1206. 

  16. Tayler, R. W. 1995. Hay sampling and grading. Agronomy facts series, AF-16. University of Delaware. USA. 

  17. 김병욱, 임재명. 2001. 혐기성소화와 수생식물을 이용한 고농도 돈사폐수 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23(6):911-920. 

  18. 라창식. 2009. 동물산업에서의 바이오매스 생산 및 이용기술. 한국동물자원과학회 학술발표회 Proceeding Vol.1: 81-102. 

  19. 박미란, 김병욱, 임재명. 2000.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돈사폐수의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Duck wedd (Lemna Species)의 이용 및 생장특성(I). 한국물환경학회지 16(5):685-693. 

  20. 정연숙, 노찬호. 2002. 양어장 배출수의 수처리를 위한 수생관속식물의 적용: I. 부엽식물인 부레옥잠 및 좀개구리밥의 생장과 영양염류의 흡수력. 한국생태학회지 25(1):39-44. 

  21. 하봉석. 1977. 수산풍의 지질에 관한 연구(제3보). 해조류 지질의 지방산 조성에 대하여. 한수지. 10, 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