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 단일기관에서 10년간의 경험
Peritonitis in Children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10 Years' Experience in a Single Center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4 no.2, 2010년, pp.174 - 183  

이세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한경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정윤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현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강희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정해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하일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복막염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은 지역이나 병원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료가 치료 지침의 수립에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동안 복막 투석을 받은 소아 환자들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발생 빈도와 원인균의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 법 :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복막 투석을 받은 110명의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복막 투석을 받은 환자 110명 중 57명에서 140례의 복막염이 발생하였다.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2003년 이후로는 비슷한 빈도로 발생하고 있다. 60%의 환자가 복막 투석 시작 후 첫 1년 이내에 복막염이 발생하였고, 1세 미만에 복막 투석을 시작한 환아 7명은 모두 복막염을 경험하였다. 원인균으로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진균이 각각 58%, 38%, 4.1% 였고, 배양 음성률은 13.6% 였다. 그람 양성균 중에는 Staphylococcus, 그람 음성균 중에는Pseudomonas와Acinetobacter가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그람 양성균중 56%가에는 1세대 cephalosporin에 감수성을 보였고, 그람 음성균 중 91%가 ceftazidime에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앞으로 복막염의 빈도를 더욱 감소시키기 위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하다. 영아에서 복막염이 더 잘 발생하였지만, methicillin에 대한 저항성은 2세 미만에서 유의하게 높지 않았다. 전국적인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경험적 항생제 사용 지침을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organisms causing peritonitis and their antibiotic sensitivities vary in different regions and centers, and these data are necessary to establish regional treatment guidelin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sms that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ISPD에서는 5-6년마다 복막염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최대한 복막 기능을 보존하고 적절히 항생제를 사용하여 투석 관련 감염의 유병률과 사망률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초기에 제시한 가이드라인에서는 복막염의 경험적 항생제로 vancomycin과 ceftazidime 또는 aminoglycoside의 병합 요법을 추천하였다[25].
  • 따라서 이에 대한 자료가 치료 지침의 수립에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동안 복막 투석을 받은 소아 환자들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발생 빈도와 원인균의 특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 저자들은 최근 10년간 단일기관에서 경험했던 소아에서의 복막염의 빈도나 원인균과 항생제 내성의 추이 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목적: 복막염의 원인균과 항생제 감수성은 지역이나 병원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자료가 치료 지침의 수립에 반드시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막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복막 투석의 기술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복막염은 복막 투석 환자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1, 2]. 또한 복막염은 성인보다 소아에서 더 흔히 발생하며[3],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의 발현도 우려되고 있다.
복막 투석 환자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은 무엇인가? 복막 투석의 기술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복막염은 복막 투석 환자에서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1, 2]. 또한 복막염은 성인보다 소아에서 더 흔히 발생하며[3],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의 발현도 우려되고 있다.
복막 투석 환자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인 복막염의 진단 기준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복막염의 진단 기준은 첫째, 투석액이 혼탁하거나 복통, 발열이 동반되는 경우, 둘째, 복강 내에서 4시간 이상 저류한 후 배액한 투석액의 WBC가 100/μL 이상, 그 중 호중구 수가 50% 이상인 경우, 셋째, 투석액 배양 검사에서 균이 동정되는 경우의 3가지 소견들 중 2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9]. 그 중 복막 투석액 내의 호산구가 40/mm3 이상으로 총 백혈구수의 10% 이상을 차지하거나, 호산구수가 100/mm3 이상인 경우는 호산구성 복막염으로 정의하여[10, 11] 본 연구 대상에서는 제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oeschoten EW, Ter Wee PM, Divino J. Peritoneal dialysis-related infections recommendations 2005--an important tool for quality improvement. Nephrol Dial Transplant 2006;21(Suppl 2):ii31-3. 

  2. Auron A, Simon S, Andrews W, Jones L, Johnson S, Musharaf G, et al. Prevention of peritonitis in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Pediatr Nephrol 2007;22:578-85. 

  3. Warady BA, Feneberg R, Verrina E, Flynn JT, Muller-Wiefel DE, Besbas N, et al. Peritonitis in children who receive long-term peritoneal dialysis: a prospective evaluation of therapeutic guidelines. J Am Soc Nephrol 2007;18:2172-9. 

  4. Piraino B, Bailie GR, Bernardini J, Boeschoten E, Gupta A, Holmes C, et al. Peritoneal dialysis-related infections recommendations: 2005 update. Perit Dial Int 2005;25: 107-31. 

  5. Song JH. Current status and future strate gie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orea. Korean J Med 2009;77:143-51. 

  6. Kim HB, Jang HC, Nam HJ, Lee YS, Kim BS, Park WB, et al. In vitro activities of 28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tertiary-care hospitals in Korea: a nationwide survey.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4;48:1124-7. 

  7. Teitelbaum I. Vancomycin for the initial therapy of peritonitis: don't throw out the baby with the bathwater. Perit Dial Int 2001;21:235-8. 

  8. Van Biesen W, Vanholder R, Vogelaers D, Peleman R, Verschraegen G, Vijt D, et al. The need for a center-tailored treatment protocol for peritonitis. Perit Dial Int 1998; 18:274-81. 

  9. Vas SI. Microbiologic aspects of chronic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Kidney Int 1983;23:83-92. 

  10. Warady BA, Schaefer F, Holloway M, Alexander S, Kandert M, Piraino B, et al.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eritonitis in pediatric patients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Perit Dial Int 2000;20:610-24. 

  11. Chan MK, Chow L, Lam SS, Jones B. Peritoneal eosinophilia in patients o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a prospective study. Am J Kidney Dis 1988;11:180-3. 

  12. Bordador EB, Johnson DW, Henning P, Kennedy SE, McDonald SP, Burke JR, et al.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peritonitis in children on peritoneal dialysis in Australasia. Pediatr Nephrol 2010;25:1739-45. 

  13. Chadha V, Schaefer FS, Warady BA. Dialysisassociated peritonitis in children. Pediatr Nephrol 2010;25:425-40. 

  14. Verrina E, Honda M, Warady BA, Piraino B. Prevention of peritonitis in children on peritoneal dialysis. Perit Dial Int 2000;20:625-30. 

  15. Furth SL, Donaldson LA, Sullivan EK, Watkins SL.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fections and peritonitis in children: a report of the North American Pediatric Renal Transplant Cooperative Study. Pediatr Nephrol 2000;15:179-82. 

  16. Lane JC, Warady BA, Feneberg R, Majkowski NL, Watson AR, Fischbach M, et al. Relapsing peritonitis in children who undergo chronic peritoneal dialysis: a prospective study of the international pediatric peritonitis registry. Clin J Am Soc Nephrol 2010;5: 1041-6. 

  17. Koo JW, Ha TS, Lim IS, Ha IS, Cheong HI, Choi Y, et al. Peritonitis during CAPD in children. Korean J Nephrol 1991;10:379- 86. 

  18. Lee SG, Cho J, Sohn YB, Park SW, Kim SJ, Jin DK, et al. Peritoneal dialysis associated peritonitis and empirical antibiotics therapy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renal failur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8;12:213-20. 

  19. Hoshii S, Wada N, Honda M. A survey of peritonitis and exit-site and/or tunnel infections in Japanese children on PD. Pediatr Nephrol 2006;21:828-34. 

  20. NAPRTCS 2007 Annual Report ; Available from: https://web.emmes.com/study/ped/ annlrept/annlrept2007.pdf. 

  21. Li PK, Szeto CC, Piraino B, Bernardini J, Figueiredo AE, Gupta A, et al. Peritoneal dialysis-related infections recommendations: 2010 update. Perit Dial Int 2010;30: 393-423. 

  22. Kim DK, Yoo TH, Ryu DR, Xu ZG, Kim HJ, Choi KH, et al. Changes in causative organisms and their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in CAPD peritonitis: a single center's experience over one decade. Perit Dial Int 2004; 24:424-32. 

  23. Laakkonen H, Holtta T, Lonnqvist T, Holmberg C, Ronnholm K. Peritoneal dialysis in children under two years of age. Nephrol Dial Transplant 2008;23:1747-53. 

  24. Boehm M, Vecsei A, Aufricht C, Mueller T, Csaicsich D, Arbeiter K. Risk factors for peritonitis in pediatric peritoneal dialysis: a single-center study. Pediatr Nephrol 2005; 20:1478-83. 

  25. Keane WF, Everett ED, Golper TA, Gokal R, Halstenson C, Kawaguchi Y, et al. Peritoneal dialysis-related peritonitis treatment recommendations. 1993 update. The Ad Hoc Advisory Committee on Peritonitis Management.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 Perit Dial Int 1993;13:14-28. 

  26. Oh KH, Kim SG, Kim JS, Jung W, Kim SJ, Shin Y, et al. Empiric therapy with cefazolin and ceftazidime (or aminoglycoside) is effective as the initial choice for the treatment of peritoneal dialysis related peritonitis. Korean J Nephrol 2005;24:204-14. 

  27. Wong SS, Ho PL, Yuen KY. Evolution of antibiotic resistance mechanisms and their relevance to dialysis-related infections. Perit Dial Int 2007;27(Suppl 2):272-80. 

  28. Chiu MC, Tong PC, Lai WM, Lau SC. Peritonitis and exit-site infection in pediatric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Perit Dial Int 2008;28(Suppl 3)179-82. 

  29. Zurowska A, Feneberg R, Warady BA, Zimmering M, Monteverde M, Testa S, et al. Gram-negative peritonitis in children undergoing long-term peritoneal dialysis. Am J Kidney Dis 2008;51:455-62. 

  30. Do JY. Empirical treatment of CAPD peritonitis. Korean J Nephrol 2005;24:167-9. 

  31. Toure F, Lavaud S, Mohajer M, Lavaud F, Canivet E, Nguyen P, et al. Icodextrininduced peritonitis: study of five cases and comparison with bacterial peritonitis. Kidney Int 2004;65:654-60. 

  32. Bae WK, Kim OK, Sin MH, Kang YU, Park PK, Lee KS, et al. Causative organisms in CAPD peritonitis and their antibiotic sensitivity. Chonnam Med J 2006;42:169-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