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 : 단일기관에서 12년간의 경험
Peritoneal Dialysis-related Peritonitis in Children: A Single Center's Experience Over 12 Years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6 no.2, 2012년, pp.80 - 88  

오성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윤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진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주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 ,  박영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소아 복막 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의 특징과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경험적 항생제 치료가 적절한지 분석하였다. 방법: 2000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소아과에서 복막 투석을 한 경험이 있는 72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복막 투석을 받은 32명의 환자에서 79회의 복막염이 발생하여 발생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복막 투석 방식에 따른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P=0.459). 또한 21명의 환자가 51회의 복막 도관 감염을 경험하였고 도관 감염의 발생 빈도는 0.28회/환자 년이었다. 복막 도관 감염에 따른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P=0.721). 79회의 복막염 중 68.4%에서 균이 동정되었으며, 그람 양성균 중 85.3%가 ${\beta}$-lactam계 항생제에 감수성이 있었고 그람 음성 막대균 중 94.7%가 ceftazidime에 감수성이 있었다. 균이 동정되지 않은 복막염 중에는 92.0%에서 cefazolin과 ceftazidme에 치료 반응을 보였다. 결론: 복막 투석 환자에서 복막염의 발생 빈도는 0.43회/환자 년이었고, 복막염에 대한 치료로 cefazolin과 ceftazidime의 초기 경험적 항생제 투여는 복막염의 91.1%에서 적절하였다. 그러나 내성 균주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itoneal dialysis (PD) - related peritoniti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mpirical antibiotics recommended by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 in Korean children. Methods: We retrospectively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과 시대에 따라 복막염을 일으키는 균주의 분포나 항생제 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에 항생제 선택에 대한 적절성 평가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12년간 단일 기관에서 복막 투석을 하는 소아 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빈도 및 원인균과 항생제 내성 등을 조사하고,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항생제 치료시 현재의 ISPD 가이드라인에 따른 초기 항생제 치료 지침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막염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면 어떻게 되는가? 복막염은 복막 투석 환자의 입원하는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복막 도관을 제거하거나 혈액 투석으로 영구 전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1-3]. 또한 복막염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 복막을 손상시키고 복막 투석 환자의 사망 중 약 15%는 복막염과 관련하여 발생한다[3-6]. 따라서 복막염의 예방과 더불어 복막의 손상과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0년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 (ISPD) 가이드라인에는 복막염 항생제 치료를 어떻게 권고하고 있는가? 따라서 복막염의 예방과 더불어 복막의 손상과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빨리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0년 International Society for Peritoneal Dialysis (ISPD) 가이드라인에서는 초기 항생제 치료로 1세대 cephalosporin과 Pseudomonas에 효과가 있는 3세대 cephalosporin을 병합 투여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에 의한 감염력이 있거나 환자의 전신상태가 위독한 경우, methicillin 저항성이 높은 의료 기관에서는 1세대 cephalosporin 대신 vancomycin을 투여할 것을 권고하고있다[7]. 전 세계적으로 항생제 내성균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역과 시대에 따라 복막염을 일으키는 균주의 분포나 항생제 감수성이 다르기 때문에 항생제 선택에 대한 적절성 평가는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복막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복막염은 복막 투석 환자의 입원하는 원인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복막 도관을 제거하거나 혈액 투석으로 영구 전환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1-3]. 또한 복막염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 복막을 손상시키고 복막 투석 환자의 사망 중 약 15%는 복막염과 관련하여 발생한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Choi P, Nemati E, Banerjee A, Preston E, Levy J, Brown E.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removal for acute peritonit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catheter removal and prolonged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Am J Kidney Dis 2004;43:103-11. 

  2. Woodrow G, Turney JH, Brownjohn AM. Technique failure in peritoneal dialysis and its impact on patient survival. Perit Dial Int 1997;17:360-4. 

  3. Fried LF, Bernardini J, Johnston JR, Piraino B. Peritonitis influences mortality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J Am Soc Nephrol 1996;7:2176-82. 

  4. Hoshii S, Wada N, Honda M. A survey of peritonitis and exitsite and/or tunnel infections in Japanese children on PD. Pediatr Nephrol 2006;21:828-34. 

  5. North American Pediatric Renal Trials and Collaborative Studies. NAPRTCS 2011 annual dialysis report. 2011; Available from: https://web.emmes.com/study/ped/annlrept/annualrept 2011.pdf. 

  6. 2011 USRDS Annual data report 130-418. 2011; Available from: http://www.usrds.org/2011/pdf/v2_ch03_11.pdf. 

  7. Li PK, Szeto CC, Piraino B, Bernardini J, Figueiredo AE, Gupta A, et al. Peritoneal dialysis-related infections recommendations: 2010 update. Perit Dial Int 2010;30:393-423. 

  8. Chadha V, Schaefer FS, Warady BA. Dialysis-associated peritonitis in children. Pediatr Nephrol 2010;25:425-40. 

  9. Kiernan L, Kliger A, Gorban-Brennan N, Juergensen P, Tesin D, Vonesh E, et al. Comparison of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related infections with different "Y-tubing" exchange systems. J Am Soc Nephrol 1995;5:1835-8. 

  10. Thodis E, Passadakis P, Panagoutsos S, Bacharaki D, Euthimiadou A, Vargemezis V. The effectiveness of mupirocin preventing Staphylococcus aureus in catheter-related infections in peritoneal dialysis. Adv Perit Dial 2000;16:257-61. 

  11. Thodis E, Bhaskaran S, Pasadakis P, Bargman JM, Vas SI, Oreopoulos DG. Decrease in Staphylococcus aureus exit-site infections and peritonitis in CAPD patients by local application of mupirocin ointment at the catheter exit site. Perit Dial Int 1998;18:261-70. 

  12. Bordador EB, Johnson DW, Henning P, Kennedy SE, McDonald SP, Burke JR, et al. Epidemiology and outcomes of peritonitis in children on peritoneal dialysis in Australasia. Pediatr Nephrol 2010;25:1739-45. 

  13. Lee SG, Cho J, Sohn YB, Park SW, Kim SJ, Jin DK, et al. Peritoneal Dialysis Associated Peritonitis and Empirical Antibiotics Therapy in Korean Children with Chronic Renal Failur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8;12:213-20. 

  14. Lee SE, Han KH, Jung YH, Lee HK, Kang HG, Cheong HI, et al. Peritonitis in Children Undergoing Peritoneal Dialysis: 10 Years' Experience in a Single Center.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10;14:174-83. 

  15. Piraino B, Bailie GR, Bernardini J, Boeschoten E, Gupta A, Holmes C, et al. Peritoneal dialysis-related infections recommendations: 2005 update. Perit Dial Int 2005;25:107-31. 

  16. Warady BA, Feneberg R, Verrina E, Flynn JT, Muller-Wiefel DE, Besbas N, et al. Peritonitis in children who receive long-term peritoneal dialysis: a prospective evaluation of therapeutic guidelines. J Am Soc Nephrol 2007;18:2172-9. 

  17. Warchol S, Roszkowska-Blaim M, Latoszynska J, Jarmolinski T, Zachwieja J. Experience using presternal catheter for peritoneal dialysis in Poland: a multicenter pediatric survey. Perit Dial Int 2003;23:242-8. 

  18. de Fijter CW, Oe LP, Nauta JJ, van der Meulen J, Verbrugh HA, Verhoef J, et al. Clinical efficacy and morbidity associated with continuous cyclic compared with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Ann Intern Med 1994;120:264-71. 

  19. Rodriguez-Carmona A, Perez Fontan M, Garcia Falcon T, Fernandez Rivera C, Valdes F.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incidence of peritonitis and exit-site infection in CAPD and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Perit Dial Int 1999;19:253-8. 

  20. Rabindranath KS, Adams J, Ali TZ, Daly C, Vale L, Macleod AM. Automated vs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ephrol Dial Transplant 2007;22:2991-8. 

  21. Bro S, Bjorner JB, Tofte-Jensen P, Klem S, Almtoft B, Danielsen H, et al. A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study comparing APD and CAPD treatment. Perit Dial Int 1999;19:526-33. 

  22. Yishak A, Bernardini J, Fried L, Piraino B. The outcome of peritonitis in patients on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Adv Perit Dial 2001;17:205-8. 

  23. Akman S, Bakkaloglu SA, Ekim M, Sever L, Noyan A, Aksu N. Peritonitis rates and common microorganism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and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Pediatr Int 2009;51:246-9. 

  24. Troidle LK, Gorban-Brennan N, Kliger AS, Finkelstein FO. Continuous cycler therapy, manual peritoneal dialysis therapy, and peritonitis. Adv Perit Dial 1998;14:137-41. 

  25. Cnossen TT, Usvyat L, Kotanko P, van der Sande FM, Kooman JP, Carter M, et al. Comparison of outcomes o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versus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results from a USA database. Perit Dial Int 2011;31: 679-84. 

  26. Oo TN, Roberts TL, Collins AJ. A comparison of peritonitis rates from the United States Renal Data System database: CAPD versus continuous cycling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m J Kidney Dis 2005;45:372-80. 

  27. Brunkhorst RR. Host defenses in APD. Semin Dial 2002;15: 414-7. 

  28. Shetty AK, Nagaraj SK, Lorentz WB, Bitzan M. Peritonitis due to Neisseria mucosa in an adolescent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Infection 2005;33:390-2. 

  29. Neu AM, Case B, Lederman HM, Fivush BA. Neisseria sicca peritonitis in a patient maintained on chronic peritoneal dialysis. Pediatr Nephrol 1994;8:601-2. 

  30. Warady BA, Schaefer F, Holloway M, Alexander S, Kandert M, Piraino B, et al.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peritonitis in pediatric patients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Perit Dial Int 2000;20:610-24. 

  31. Warady BA, Bakkaloglu S, Newland J, Cantwell M, Verrina E, Neu A.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theter-related infections and peritonitis in pediatric patients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2012 update. Perit Dial Int 2012;32:S29-S86. 

  32. Szeto CC, Chow KM, Kwan BC, Law MC, Chung KY, Yu S, et al. Staphylococcus aureus peritonitis complicates peritoneal dialysis: review of 245 consecutive cases. Clin J Am Soc Nephrol 2007;2:245-51. 

  33. Govindarajulu S, Hawley CM, McDonald SP, Brown FG, Rosman JB, Wiggins KJ, et al. Staphylococcus aureus peritonitis in Australia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predictors, treatment, and outcomes in 503 cases. Perit Dial Int 2010;30:311-9. 

  34. Ariano RE, Franczuk C, Fine A, Harding GK, Zelenitsky SA. Challenging the current treatment paradigm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epidermidis peritonitis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Perit Dial Int 2002;22:335-8. 

  35. Goldberg L, Clemenger M, Azadian B, Brown EA. Initial treatment of peritoneal dialysis peritonitis without vancomycin with a once-daily cefazolin-based regimen. Am J Kidney Dis 2001;37:49-55. 

  36. Golper T. Intermittent versus continuous antibiotics for PDrelated peritonitis. Perit Dial Int 1997;17:11-2. 

  37. Siva B, Hawley CM, McDonald SP, Brown FG, Rosman JB, Wiggins KJ, et al. Pseudomonas peritonitis in Australia: predictors, treatment, and outcomes in 191 cases. Clin J Am Soc Nephrol 2009;4:957-64. 

  38. Fahim M, Hawley CM, McDonald SP, Brown FG, Rosman JB, Wiggins KJ, et al. Culture-negative peritonitis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in Australia: predictors, treatment, and outcomes in 435 cases. Am J Kidney Dis 2010;55:690-7. 

  39. Furth SL, Donaldson LA, Sullivan EK, Watkins SL. Peritoneal dialysis catheter infections and peritonitis in children: a report of the North American Pediatric Renal Transplant Cooperative Study. Pediatr Nephrol 2000;15:179-82. 

  40. van Diepen AT, Tomlinson GA, Jassal SV. The Association between Exit Site Infection and Subsequent Peritonitis among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Clin J Am Soc Nephrol 2012;7:1266-71. 

  41. Zurowska A, Feneberg R, Warady BA, Zimmering M, Monteverde M, Testa S, et al. Gram-negative peritonitis in children undergoing long-term peritoneal dialysis. Am J Kidney Dis 2008;51:45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