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가루 첨가 식빵의 제빵 특성
Substitution of Rice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7 no.5, 2010년, pp.667 - 673  

최인덕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특수미 품종인 고아미2호는 취반용 쌀로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가공용 기능성 곡류소재로서의 활용성을 알아보고자 제빵 시 강력분의 일부를 쌀가루로 대체하였으며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 쌀가루와의 제빵특성을 비교하였다. 쌀가루의 호화특성은 고아미2호는 전분 호화 시 호화개시온도가 높고 전분 팽윤 현상이 억제되어 호화 점도가 매우 낮았다. 강력분에 쌀가루를 10~30% 대체한 혼합분의 mixograph특성은 고아미2호 복합분은 쌀가루 함량이 증가 할수록 가수량이 증가하였으나 추청벼 복합분은 쌀가루함량 증가 시 반죽 안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복합분을 활용한 식빵에서 고아미2호 쌀빵은 쌀가루 증가와 함께 부피 감소와 함께 빵 내부의 경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추청벼 쌀빵은 최대 30%까지 대체 시 빵의 부피 및 경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강력분의 일부를 대체한 쌀빵 가공을 위해서는 난소화성 다당류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보다는 일반 쌀 품종인 추청벼가 적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ects of substituting wheat flour with rice flour on bread-making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Rice(Oryza sativa L.) cultivars were 'Goami2(G2)', a functional rice containing higher non-digestible carbohydrates, and 'Chucheongbyeo (CC)', an ordinary Japonica rice. Rice flour was substituted at 1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쌀빵 제조 시 다양한 gum질과 첨가제(carboxymethyl cellulose, guar gum, methyl cellulose, xanthan gum, locust bean gum, hydroxypropyl-methylcellulose)를 이용하여 쌀빵의 품질개선에 대하여 연구(12-13)가 되어왔으나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능성 쌀과 일반품종 쌀가루를 제빵에서 적정수준 밀가루에 대체할 수 있음을 알아보고자 난소화성전분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와 일반벼인 추청벼 쌀가루를 밀가루에 일정량 대체한 복합분의 제빵 특성을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아미2호는 무엇이라고도 알려져 있는가? 고아미2호는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육종된 기능성 쌀 품종으로서 고품질 자포니카 품종인 일품벼에 methyl-Nnitrosourea (MNU)를 처리하여 개발된 배유 변이체 품종이다. 계통명 수원464로도 알려진 고아미2호의 이화학특성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며(3-4), Kim 등(5-6) 의 보고에 의하면 고아미2호는 호분층 세포의 조직이 잘 발달되지 못했으며 전분립이 작고 배유세포 사이사이 작은 단백체(protein body)가 다수 존재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세포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고아미2호는 식감불량과 취반의 어려움이 여려 차례 보고된 바 있다(7-8).
쌀빵 가공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어떤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가? 그러나, 이러한 쌀빵 가공의 문제점은 쌀 단백질은 제빵 과정에서 밀 글루텐과 같은 반죽의 망상구조를 형성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쌀빵 제조 시 다양한 gum질과 첨가제(carboxymethyl cellulose, guar gum, methyl cellulose, xanthan gum, locust bean gum, hydroxypropyl-methylcellulose)를 이용하여 쌀빵의 품질개선에 대하여 연구(12-13)가 되어왔으나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기능성 쌀과 일반품종 쌀가루를 제빵에서 적정수준 밀가루에 대체할 수 있음을 알아보고자 난소화성전분 함량이 높은 고아미2호와 일반벼인 추청벼 쌀가루를 밀가루에 일정량 대체한 복합분의 제빵 특성을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쌀의 양은 전체의 몇 %를 차지하고 있는가? 쌀은 옥수수와 밀과 함께 3대 곡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절반이 주식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아시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쌀의 양이 전체의 91%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의 식생활에도 쌀은 중요한 주식으로서 1970년 대 후반에 통일형 다수성 품종 개발 보급으로 쌀의 자급달성을 이루었으며 쌀의 재배면적이 증가하고 재배면적 당 생산량도 증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hin M. (2009) Rice-processed food. Food Sci. and Industry, 42, 2-18 

  2. Choi HC. (2002) Perspectives in varietal improvement of rice cultivars for high-quality and value-added products. Korean J. Crop Sci., 47, 15-32 

  3. Kang HJ, Hwang IK, Kim KS, Choi HC. (2003) Comparativ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and properties of Ilpumbyeo, a high-quality japonica, and its mutant, Suweon464. J. Agric. Food Chem., 51, 6598-6603 

  4. Choi I, Son JR, Hong HC, Lee JH, Kim KJ. (2006a) Indigestible carbohydrate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Goami2 harvested at the maximized milling quality. Food Sci. Biotechnol., 15, 254-259 

  5. Kim KS, Kang HJ, Hwang IK, Hwang H.G, Kim TY, Choi HC. (2004) Comparative ultrastructure of Ilpumbyeo, a high-quality of japonica rice, and its mutant Suweon464. J. Agric. Food Chem., 52, 3876-3883 

  6. Kim KS, Kang HJ, Hwang IK, Hwang HG, Kim TY, Choi HC. (2005) Fibrillar microfilaments associated with a high-amlose rice, Goami2, a mutant of Ilpumbyeo, a high-quality japonica rice. J. Agric. Food Chem., 53, 2600-2608 

  7. Choi I, Son JR, Hong HC, Kim KJ. (2006) Consumer acceptance of three rice varieties formulated by a simplex-lattice mixture design. J. Food Sci. Nutr., 11, 78-83. 

  8. Chun A, Song J, Hong HC, Son JR. (2005) Improvement of cooking properties by milling and blending in rice cultivar Goami2. Korean J. Crop Sci., 50, 88-93 

  9. Lee SH, Park HJ, Cho SY, Han GJ, Chun HK, Hwang HG, Choe HC. (2004) Supplementary effect of high dietary fiber rice on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mice. Korean J. Food Nutr., 37, 81-87 

  10. Lee C, Shin JS. (2002) Effects of different fiber content of rice on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levels in normal subje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048-1051 

  11. Ha TY, Kim SH, Cho IJ, Lee HY. (2003) Effect of dietary fiber purified from Cassia Tora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98-603 

  12. Kang MY, Choi YH, Choi HC. (1997) Effects of gums, fats, and glutens adding on processing and quality of milled rice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00-704 

  13. Nisita KD, Roberts RL, Bean MM. (1976) Development of a yeast-leavened rice bread formula. Cereal Chem., 53, 626-635 

  14.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Metho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5. A.A.C.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9th ed. Method 54-40A,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6. Finney KF. (1984) An optimized, straight-dough, bread-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 25, 20-27 

  17. Kang HJ, Seo HS, Hwang IK. (2004) Comparison of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characteristics among endosperm mutant rices derived from Ilpumbyeo.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879-884 

  18. Kim C.E., Sohn J.K., and Kang M.Y. (2007) Relationship between palatabil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arbohydrate components in rice endosperm. Korean J. Crop. Sci., 52, 421-428 

  19. Lee MH, Lee YT. (2006)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 wet and semi-wet mill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86-890 

  20. Kang MY, Han JY. (2001) Glucose chain length distribution of starches from endosperm mutant rices and its relationship with adaptability in rice bread process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50-54 

  21. Cho SJ, Jung EH. (1995) Sensory quality of rice-wheat bread. Korean J. Rural Living Sci., 6, 91-97 

  22. Lee YT, Chang HG. (2003) Effects of waxy and normal hull-less barley flours on bread-ma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18-923 

  23. Lee C, Shin JS. (2005) Effects of resistant starch of rice on blood glucose response in normal subjects. Korean J. Foos Sci. Technol., 37, 301-3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