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막이완술이 경추성 두통환자의 뇌혈류와 통증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yofascial Relaxation on Blood Flow Velocity of the Cranial Artery and Pain Level in Cervicogenic Headache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5, 2010년, pp.49 - 56  

이준희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강다행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강정일 (대불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possible role for cranial artery velocity in cervicogenic headache. Methods: We studied 13 patients with cervicogenic headaches (M=9, F=4, age=$24.50{\pm}3.50\;y$) these were compared to 20 normal subjects (M=10, F=10, age=$23.30{\pm}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추성 두통의 경우 긴장성 두통 및 편두통과 유사한 징후와 증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율신경계와 순환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뇌혈류와 연관한 연구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건강한 대상자와 경추성 두통환자의 뇌혈류 속도를 비교하여 뇌혈류 속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근막이완술을 3주간 주 3회 적용하여 뇌혈류 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함과 동시에 플라시보 기법 적용군과 비교하고자 한다.
  • 근막이완술을 3주간 주 3회 적용하여 뇌혈류 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함과 동시에 플라시보 기법 적용군과 비교하고자 한다. 또한 통증수준에 두 중재기법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 28 그렇기 때문에, 플라시보 기법이 뇌혈류속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경추성 두통환자 13명에게 수기치료를 3주간, 주 3회 적용해 건강한 대상자 20명과 비교하고 근막이완술이 경추성 두통환자의 뇌혈류 속도와 통증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한 연구로서, 기존의 경추성 두통과 물리적 치료와 관련해 시행되었던 24명의 경추성 두통 등의 환자에게 신경절 차단술 등을 1주간 적용,29 3명의 경추성 두통환자에게 근육내 자극술 4주간 적용30 등의 물리적 치료가 경추성 두통환자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본 선행 연구들 및 긴장성 두통환자 등 5명에게 2주간 전기치료 등을 적용,16 긴장성 두통환자 10명에게 초음파와 근막이완을 적용해 10일간 추적 조사17를 실시한 유사 두통환자에게 물리적 자극이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 연구들과 비교해 상대적 많은 대상자들을 선정해 긴 시간을 추적한 연구 결과인 만큼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증수준이 중증도 이상인 경추성 두통환자에 대한 통증 및 혈류속도의 상관관계를 추가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좌측 및 우측에 나타나는 한 부위 두통만 분류해 혈류속도와 통증에 관한 세분화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또한 경추성 두통의 수동적 치료와 함께 능동적 운동방법 등의 혼합된 중재를 적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19~30세의 건강한 대상자군와 경추성 두통환자군 간의 뇌혈류 속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건강한 대상자의 MCA 혈류속도는 Lt.

가설 설정

  • 또한 경추성 두통은 구조적인 요소 이외의 심리학적 요인 및 사회적 문제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27 플라시보 혹은 이와 유사한 방법들는 체성심리적(psychosmatic) 질환에 영향을 준다.28 그렇기 때문에, 플라시보 기법이 뇌혈류속도에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추성 두통의 원인은 무엇인가? 경추성 두통의 원인은 척추 후관절, 추간판, 신경근, 척추동맥과 내경동맥, 구상돌기(uncinate process) 관절, 목덜미 인대(ligamentum nuchae), 두직근(rectus capitis muscle) 그리고 근막적 긴장 및 압통점 발생으로 인한 경부근육의 문제 등으로 조사되고 있다.5,6 따라서 경추성 두통의 치료방법들 중 물리치료는 첫 번째로 추천되는 방법7으로 관절가동술(mobilization)과 도수교정술(manipulation), 연부조직 가동운동과 신장기법, 특수한 자세근육군의 재훈련 및 환자의 생활교육 등이 포함된다.
건강한 대상자와 경추성 두통환자의 뇌혈류를 속도 측정하여 비교하고,경추성 두통환자군에게 근막이완술과 플라시보 기법을 3주간, 주 3회 적용하여 혈류속도와 통증수준 변화를 비교하여 근막이완술의 효과를 알아본 실험의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대상자와 경추성 두통환자의 뇌혈류를 속도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경추성 두통환자군에게 근막이완술과 플라시보 기법을 3주간, 주 3회 적용하여 혈류속도와 통증수준 변화를 비교하여 근막이완술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경추성 두통환자군과 건강한 대상자군의 혈류속도 비교를 통해, 경추성 두통환자의 중대뇌동맥 혈류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렸음을 알 수 있었다. 중재방법을 경추성 두통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Lt. MCA, Rt. VA 그리고 BA의 혈류속도 변화가 있었지만, 근막이완술과 플라시보 기법간 유의한 혈류속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근막이완술을 적용한 실험군은 플라시보 기법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통증수준이 더 감소하여, 근막이완술이 진통효과에 탁월한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추성 두통은 경부의 문제로 기인된 통증으로 경부에 직접 적용된 수기요법이 경부의 관절 및 연부조직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이들을 통로로 하는 혈관들과 신경까지도 영향을 주어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두통이란 무엇인가? 두통은 일생에 거의 모든 사람이 경험할 만큼 가장 흔한 신경학적 증상 중 하나로 두부 및 안면 통증을 말한다.1 두통에 있어 간헐적인 통증을 가진 두통의 경우 대략 70%가 경부에서 기인된 두통으로 보고되었으며,2 이런 경부의 근골격계 이상으로 인한 두부 및 안면 통증을 경추성 두통이라 정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ensen R. The tension-type headache alternative. Peripheral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Cephalalgia. 1999;19(Suppl 25):9-10. 

  2. Henry P, Dartigues JF, Puymirat C et al. The association cervicalgia-headaches: an epidemiologic study. Cephalalgia. 1987;7(Suppl 6):189-90. 

  3. Nilsson N. The prevalence of cervicogenic headache in a random population sample of 20 to 59year olds. Spine (Phila Pa 1976). 1995;20(17):1884-8. 

  4. Kelman L. Migraine changes with age: IMPACT on migraine classification. Headache 2006;46(7):1161-71. 

  5. Bogduk N. Cervicogenic headache: anatomic basis and pathophysiologic mechanisms. Curr Pain Headache Rep. 2005;5(4):382-6. 

  6. Haldeman S, Dagenais S. Cervicogenic headaches: a critical review. Spine J. 2001;1(1):31-46. 

  7. Pollmann W, Keidel M, Pfaffenrath V. Headache and the cervical spine: a critical review. Cephalalgia. 1997;17(8): 801-16. 

  8. van Duijn J, van Duijn AJ, Nitsch W. Orthopaedic manual physical therapy including thrust manipulation and exercise in the management of a patient with cervicogenic headache: a case report. J Man Manip Ther. 2007;15(1):10-24. 

  9. LeBauer A, Brtalik R, Stowe K. The effect of myofascial release (MFR) on an adult with idiopathic scoliosis. J Bodyw Mov Ther. 2008;12(4):356-63. 

  10. Bronfort G, Evans R, Nelson B et al.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exercise and spinal manipulation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1;26(7):788-97. 

  11. Evans R, Bronfort G, Nelson B et al. Two-year follow-up of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spinal manipulation and two types of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Phila Pa 1976). 2002;27(21):2383-9. 

  12. Martinez-Segura R, Fernandez-de-las-Penas C, Ruiz-Saez M et al. Immediate effects on neck pain and active range of motion after a single cervical high-velocity low-amplitude manipulation in subjects presenting with mechanical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6;29(7):511-7. 

  13. Hong SN, Kim BG, Ku JS et al. Clinical correlation of abnormal transcranial doppler in migraineurs. J Korean Neurol Assoc. 2000;18(6):711-5. 

  14. Chung CS, Lee KH. Subtype-specific hemodynamic changes in headache-free migraineurs: a transcranial doppler (TCD) ultrasonographic study. Headache. 1996;36(4):263-4. 

  15. Wallasch TM.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ic features in chronic tension-type headache. Cephalalgia. 1992;12(6): 385-6. 

  16. Park RJ, Kim JS, Lee IH et al. Effecs of electrotherapy on blood velocity of cranial artery in tension-type headache subjects. J Kor Soc Phys Ther. 2000;12(3):349-59. 

  17. Han JM, Kim JS. The effects of ultrasound and myofascial release therapy on blood velocity of cranial artery in tension-type headache subjects. J Kor Soc Phys Ther. 2003;15(1):196-209. 

  18. Lee MH, Han JM.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measurement by TCD: the effects of interferential current. J Kor Soc Phys Ther. 2005;17(2):126-47. 

  19. Sjaastad O, Fredriksen TA, Pfaffenrath V. Cervicogenic headache: diagnostic criteria. The Cervicogenic Headache International Study Group. Headache. 1998;38(6):442-5 

  20. Digiovanna EL, Schiowitz S, Dowling DJ. An osteopathic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4:141,613. 

  21. Aparicio EQ, Quirante LB, Blanco CR et al. Immediate effects of the suboccipital muscle inhibition technique in subjects with short hamstring syndrome.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9;32(4):262-9. 

  22. Jull G. Management of cervical headache. Man Ther. 1997;2(4)182-90. 

  23. Lee YS, Kim BK. Application of transcranial doppler ultrasonography for the diagnosis of migraine: preliminary resul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Clinical Neurophysiology. 1999;1(1):31-8. 

  24. Choi SC, Kwon HY, Kim TU et al. Cerebral blood flow velocityof young people in their twenties. J Exp Biomed Sci. 2004;10(4):467-72. 

  25. Hou CR, Tsai LC, Cheng KF et al. Immediate effects of various physical therapeutic modalities on cervical myofascial pain and trigger-point sensitivity.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0):1406-14. 

  26. Kim GW, Sohn YH, Lee JH et al. The reference values and influenceing factors of TCD meansurements in 200 normal Korean adults. J Kor Neurosurg Soc. 1995;13:1-10. 

  27. van Suijlekom JA., Weber WEJ, van Kleef M. Cervicogenic headache: Techniques of diagnostic nerve blocks. Clin Exp Rheumatol. 200018(suppl.19): S39-S44. 

  28. Margo CE. The Placebo Effect. SURV OPHTHALMOL. 19991(8):31-44. 

  29. Kim KT, Song CW. Comparison therapeutic effect of C2 ganglion block for cervicogenic headache, tension-type headache, and migraine without aura. Korean J Anesthesiol. 1997;32(6):990-5. 

  30. Kim SS, Park BS, Lee YJ. The effect of intramuscular stimulation( IMS) in cervicogenic headache. Korean J Anesthesiol. 2006;50(3)355-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