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시열반응과제에 대한 운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Motor Performance of Serial Reaction Time Task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5, 2010년, pp.103 - 108  

김중선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남석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조인술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motor cortex excitability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ver primary motor cortex (M1) affects motor performance of serial reaction task. Methods: Cathodal, anodal and sham tDCS (1 mA) are applied over right M1 of 24 subjec...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대뇌피질 흥분성에 영향을 주는 근거는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시열 반응 과제에 대한 운동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보여주는 선행 연구는 좀 더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시열 반응 과제를 시행함에 있어 비우세 대뇌반구에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주어진 것과 허위자극이 주어졌을 때의 차이를 비교하여,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시열 반응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일차운동영역에 경두개직류전류자극 시 운동수행력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 방법을 이용하여 입증하고자 하였으며, 뇌손상으로 인해 운동학습 및 운동수행력이 감소된 환자에서의 기능 회복에 대해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주는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시열 반응과제의 수행에서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을 준 실험군과 허위-대조군 모두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에서 반응속도가 감소 하였으며, 그룹간 반응속도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을 받은 실험군에서 허위-대조군보다 반응시간이 더 많이 감소한 것은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운동학습 및 운동수행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 이 연구는 정상인 남녀 24명을 대상으로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시열 과제에 대한 운동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tDCS를 통한 실험에서 실험군이 허위-대조군보다 더 큰 반응시간 감소를 보임으로써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이 운동수행력에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학습이란 무엇인가? 운동학습은 특정한 동작이나 과제를 반복된 많은 연습을 통하여 비교적 영속적으로 운동 수행의 기술을 습득하고 보존하는 능력의 변화로 숙련된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연습과 경험의 과정이며, 운동수행력은 운동학습의 한 단계로 연습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숙련도가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1,2 이러한 운동학습을 위한 운동수행능력은 일차운동영역(primary motor area, M1),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PM), 보완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 SMA), 소뇌(cerebellum) 등의 신경 활동의 변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뇌 손상 환자의 손상영역 뇌 피질 활성화를 증가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tDCS는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대뇌피질에서의 활성도를 증가시키는가? 4,5 이 중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은 자극의 강도가 약하여 환자의 통증 없이 안전하게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다.6 경두개직류전류자극은 대뇌피질의 흥분성을 증가시키는 양극과 대뇌피질의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음극, 두 개의 전극을 두피에 직접 부착하여 대뇌피질에 자극을 주어 신경원 안정막의 전위를 조절하여 방전율을 변경시키고 NMDA(N-methyl-D-aspartic acid) 수용기의 활성화 변화를 일으켜 대뇌피질에서의 활성도를 증가시킨다.7,8
운동학습을 위한 운동수행능력은 어떠한 신경 활동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지나? 운동학습은 특정한 동작이나 과제를 반복된 많은 연습을 통하여 비교적 영속적으로 운동 수행의 기술을 습득하고 보존하는 능력의 변화로 숙련된 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연습과 경험의 과정이며, 운동수행력은 운동학습의 한 단계로 연습기간 동안 일시적으로 숙련도가 향상되는 것을 의미한다.1,2 이러한 운동학습을 위한 운동수행능력은 일차운동영역(primary motor area, M1),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PM), 보완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 SMA), 소뇌(cerebellum) 등의 신경 활동의 변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며, 뇌 손상 환자의 손상영역 뇌 피질 활성화를 증가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won YH, Jang JS, Kim CS. Changes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induced by motor learning with serial reaction time task. J Kor Soc Phys Ther. 2009;21(1):65-71. 

  2. Middleton FA, Strick PL. Basal ganglia and cerebellar loops:Motor and cognitive circuits. Brain Res Brain Res Rev. 2000;31(2-3):236-50. 

  3. Jang SH, Ahn SH, Byun WM et al. The effect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cortical activation by motor task in the human brain: An fmri study. Neurosci Lett. 2009;460(2):117-20. 

  4. Alonso-Alonso M, Fregni F, Pascual-Leone A. Brain stimulation in poststroke rehabilitation. Cerebrovasc Dis. 2007;24 Suppl 1:157-66. 

  5. Boggio PS, Castro LO, Savagim EA et al. Enhancement of non-dominant hand motor function by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Neurosci Lett. 2006;404(1-2): 32-6. 

  6. Fregni F, Boggio PS, Nitsche M et al.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prefrontal cortex enhances working memory. Exp Brain Res. 2005;166(1):23-30. 

  7. Liebetanz D, Nitsche MA, Tergau F et al. Pharmacological approach to the mechanisma of transcranial dc-stimulationinduced after-effects of human motor cortex exitability. Brain. 2002;125(Pt 10):2238-47. 

  8. Cerruti C, Schlaug G.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the prefrontal cortex enhances complex verbal associative thought. J Cogn Neurosci. 2009;21(10):1980-7. 

  9. Park RJ, Lee MY, Joe IS et al.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motor performance of visuomotor task. Journal of Rehabililation Research. 2008; 12(3):39-53. 

  10. Nitsche MA, Doemkes S, Karakose T et al. Shaping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the human motor cortex. J Neurophysiol. 2007;97(4):3109-17. 

  11. Paulus W.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Suppl Clin Neurophysiol. 2003;56:249-54. 

  12. Oldfield RC. The assessment and analysis of handedness: The edinburgh inventory. Neuropsychologia. 1971;9(1): 97-113. 

  13. Park JW, Jang SH. The difference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according to motor learning i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An fmri case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9; 21(1):81-7. 

  14. Debaere F, Wenderoth N, Sunaert S et al. Changes in brain activation during the acquisition of a new bimanual coodination task. Neuropsychologia. 2004;42(7):855-67. 

  15. Hummel F, Celnik P, Giraux P et al. Effects of non-invasive cortical stimulation on skilled motor function in chronic stroke. Brain. 2005;128(Pt 3):490-9. 

  16. Hummel FC, Voller B, Celnik P et al. Effects of brain polarization on reaction times and pinch force in chronic stroke. BMC Neurosci. 2006;7:73. 

  17. Baudewig J, Nitsche MA, Paulus W et al. Regional modulation of bold mri responses to human sensorimotor activation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Magn Reson Med. 2001;45(2):196-201. 

  18. Lang N, Nitsche MA, Paulus W et 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human motor cortex on corticospinal and transcallosal excitability. Exp Brain Res. 2004;156(4):439-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