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건축물 계획단계에서의 용도별 공사비 예측에 관한 연구 - 육군 병영생활관을 대상으로 -
Cost Estimating for Public Facilities at Early Stage Using Functional Area Cost - Focusing on Army Barracks -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1 no.6, 2010년, pp.3 - 13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정명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손보식 (남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개산견적 모델은 예측의 정밀성뿐만 아니라 설계대안 변화에 대한 유연성, 사용자 중심의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 건축물을 구성하는 여러 포함시설을 건축양상에 맞게 주요 용도별로 분류하여 공사비 영향변수로 설정한 다음, 통계적 분석을 통해 용도별 시설단가 관계함수를 도출하여 공사비를 예측하는 용도별 분류에 의한 공사비 산정개념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대표적 군사시설인 육군 병영생활관을 대상으로 용도별 공사비 산정 개념을 모델화하고 신규사례를 대상으로 모델의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용도별 공사비는 견적의 정밀성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발주자 니즈(Needs)를 반영한 용도별 조합과 그 규모에 따른 맞춤형 공간을 계획할 수 있고 다양한 설계 대안에 대한 비용비교가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ptual model that establishes a new approach for functional area cost estimating in the schematic design phase. A cost estimating model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estimate accuracy, but also the flexibility to the design alternatives and user-ori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사비 견적과 설계정보의 관계를 고려하여 개산 견적 시점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계획 단계부터 실제도면이 생성되기 시작하는 초기 기본설계단계까지를 개산견적(Schematic Estimating)의 시기로 정의하고, 기획 및 계획단계의 견적은 개념견적(Conceptual Estimating)으로, 실시설계단계의 견적은 상세견적과 실행견적으로 구분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건축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발주자가 신뢰할 수 있고, 가변적 건축물 용도의 조합과 규모에 따라 탄력적 대응이 가능한 개산견적 모델의 개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국내 건설 산업의 동향은 어떠한가? 최근 국내 건설 산업은 건설기술의 발달, 프로젝트의 대형화, 다양한 형태의 프로젝트 추진방식 및 관리방식의 확산으로 인해 급격한 시장변화와 경쟁심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사업초기, 기본설계 단계에서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는 개산 견적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공공건축프로젝트에서 개산견적을 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특히, 공공건축프로젝트의 계획단계에서 발주자는 사용목적에 맞게 건축물의 구성을 기능별 또는 용도별로 시설포함유무와 조합을 결정하고, 사용인원에 근거한 적정규모를 판단하여 이에 해당하는 비용을 예측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발주자는 전문지식과 경험부족, 그리고 한정된 시간 등으로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힘들다. 이로 인해 사업 추진 간 설계 변경이 불가피하여 공사비의 증감 및 공사기간 연장에 따른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조광수1)는 설계변경요인에 관한 사례 및 설문 분석을 통해 발주자 요구에 의한 시설규모 증가 또는 내∙외부 시설 및 품격 개선을 위한 규격 확장 및 재질 변경이 설계변경 사례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며 증감금액도 가장 높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획 단계부터 발주자의 요구가 충분히 반영된 설계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사업초기, 기본설계 단계에서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는 것은? 최근 국내 건설 산업은 건설기술의 발달, 프로젝트의 대형화, 다양한 형태의 프로젝트 추진방식 및 관리방식의 확산으로 인해 급격한 시장변화와 경쟁심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사업초기, 기본설계 단계에서 의사결정의 기준이 되는 개산 견적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는 병원시설, 학교시설, 군사시설 등과 같은 공공 프로젝트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강현욱, 유종환, 김용수(2007)."공동주택에대한부위별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사례 H사의 실행단가를 중심으로 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8권 제2호, pp.173-181 

  2. 구원용, 김정곤, 이준석, 박형근(2007)." 공공건축물의 초기공사비 산정방법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11권, pp.261-266 

  3. 김기동(1991).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코스트 모델 개발에 관한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4. 김기동, 김선국, 김문한(1990). "계획 초기단계에서 공동주택의코스트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6권 제3호, pp.291-298 

  5. 김광희, 강경인(2003)." 공동주택 프로젝트의 초기 공사비 예측을 위한 신경망 학습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제10호, pp.133-142 

  6. 김광희, 강경인(2004). "사례기반추론 기법을 이용한 공동주택초기 공사비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0권 제5호, pp.83-92 

  7. 김선국, 이재호, 박칠림, 김문한(1992). "건축부위별 견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8권 제2호,pp.185-192 

  8. 김용민(1988)." 공동주택의 개산견적에 관한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제2호, pp.745-748 

  9. 김인호(1994). "군 시설공사비의 합리적 계획 및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1)",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0권 제6호, pp.13-20 

  10. 이상태(2005). "군 시설공사 계획단계에서의 예산산정 모델",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문서, 한경진, 이현수, 임대희(2008).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지속가능한 개산견적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10호, pp.167-178 

  12. 박종원, 손보식, 이현수(2005). "공사비지수 적용을 통한 군 시설공사의 예산 산정 모델-표준도를 적용하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1권 제2호, pp.111-122 

  13. 백승호, 김선국, 한충희(1997),"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통계적 코스트 모델의 유효성 검증방법",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1,511-1,517 

  14. 손보식, 이현수, 김성태(2007)." 영향변수에 따른 수량변화 분석을 이용한 기본설계단계의 개산견적 모델 개발",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8권 제2호, pp.155-166 

  15. 안성훈, 강경인(2005). "전문가지식을 활용한 공동주택 초기단계 공사비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1권 제6호, pp.81-88 

  16. 안용선, 송규열, 허정민(2003). "건설사업 초기단계에서 개산견적의 정확성 향상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9권 제11호, pp.133-140 

  17. 전석한, 최인성(2005). "실적공사비 산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시공학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111-121 

  18. 조광수(2005). "공공 건축공사에 있어서 설계변경의 요인과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2005 

  19. 조훈희(2002)." 국내건축공사비지수 개발 및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지수 예측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김문한(2006). 건축생산관리학, 기문당, pp.251-253. 

  21. 김태근(2006). U-Can 회귀분석, 인간과 복지, pp.213-230 

  22. 박정식, 윤영선(2002). 현대통계학, 다산출판 

  23. 국방부(2008)." 국방예산편성지침", 국방부계획예산관실 

  24. 국방부(2008)." 국방시설설계기준", 국방부군사시설기획관실 

  25. AACE(1995). Cost Engineers' Notebook, AACE 

  26. Adeli, H and Wu, M.(1998). "Regularization neural network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Journal of Constr. Engrg. and Mgmt., ASCE, 124(1), pp.18-24 

  27. Albert Hamilton(1997). Management by Projects, Thomas Telford House, pp.250-254 

  28. Carr, r. I.(1982). "Cost Estimating Principles",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Journal, Vol. 115, No. 4, pp.545-551 

  29. Duncan, W. R.(1996)." A Guide to the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Library of Congress Catalogingin-Publication Data 

  30. Ferry, D. J. and Brandon, P. S.(1999). Cost Planning of Building, 7th ed. Blackwell Science. 

  31. Garza, Jesus M. de la and Rouhana, Khalil G.(1995). " Neural Networks Versus Parameter-based Application in Cost Estimation", Cost Engineering, AACE, Vol. 37 No. 2, pp.14-18 

  32. Hendrickson, C.(1989). " Project Management for Construction", Prentice-Hall, Inc. 

  33. Mckim, Robert(1993)." Neural Network Applications to Cost Engineering", Cost Engineering, AACE, Vol. 35 No 7, pp.31-35 

  34. McCaffer, R.(1975)." Some analysis of the use of regression as an estimating tool", Quantity surveyor, 32, pp.81-86 

  35. Miller, G., Todd, P. and Hedge, S.(1989)," Designing neural networks using genetic algorithms", pp.379-384 

  36. Paul Teicholz, Forecasting(1993). Final Cost and Buget of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Vol. 7(4), pp.511-529 

  37. Ronald R. Hocking(1996). Methods and Applications of Linear Models; Regression and the Analysis of Variance, JOHN WILEY & SONS Inc 

  38. Uppal, K. B.(1997). "Estimating Past, Present and 21st Century", Transaction of the AACE 41st Annual Meeting, pp. EST.01.1-EST.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