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점포 운영 푸드서비스 기업의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 DEA 및 효율, 수익 매트릭스 분석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f Contract-Foodservice Operational Efficienc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nd Efficiency-Profit Matrix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5, 2010년, pp.823 - 835  

김태희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박주연 (경희대학교 외식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aimed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using multi stores in a foodservice company using by DEA (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a new management science technique. The study also attempted to identify relevant variables affecting DEA efficiency in order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위 점포의 운영시 장기 목표에 못지않게 중요하게 관리하는 단기성과 목표는 수익성으로, DEA 효율성 점수와 수익성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효율성-수익률 매트릭스를 작성하였다. 고효율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운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룹별 특성 및 개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효율성과 수익률에 따른 분류 모형은 Fig.
  • 인건 비율, 원가율과 같은 비율 지표는 계산이 용이하고 특정 부분의 성과나 추이를 쉽게 알아볼 수 있기 때문에 예비 지표나 단기간 성과를 파악하는데 널리 사용되나, 다수의 지표 간 가중치를 매기거나 조직 전반의 효율성을 파악하기에는 해석이 어렵다. 둘째, 효율성 지수법은 시간, 인력, 비용 등 투입에 대한 산출물의 비율을 측정하여 개인별, 시간대별 경쟁 업계와 비교하고 절대적인 수치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가장 널리 사용된 전통적 효율성 측정 방법은 노동생산성 지표로 1980년 이후에는 재료 비율, 1식당 재료비, 유틸리티 비용, 자본 비용 등의 다양한 투입 요소들이 고려되어 널리 활용되어 왔다(Brown & Hoover 1990).
  • 본 연구는 DEA 기법을 활용하여 푸드서비스 점포의 효율성 점수를 산출하고, 단기 경영 목표인 수익성과의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4그룹으로 분류한 뒤 각 그룹별 운영 특성을 살펴보고 개선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Kim & Park(2009)의 연구를 심화하여 고효율 점포를 위한 운영 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당시 사용되었던 A기업의 260개 점포 중, 동일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던 점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종합 효율성 측정 지표인 DEA를 활용하여 효율성 점수를 측정하고, 종합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운영 전략 제시를 위해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고성과 그룹의 특성을 도출하고 개선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반면, 2009년의 연구에 이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심화된 연구를 진행하고자 시도하였으나, 자료 수집의 한계로 인해 표본수가 감소하였으며, 고객 만족도 외의 정성적 변수들은 고려되지 못하고 편의 표본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전체 산업으로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다.
  • 260개 점포를 대상으로 진행했던 Kim & Park (2009)의 연구에서 효율성 점수와 운영 변수에 대한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율성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급식 단가, 정직원 비율, 월식수, 잔반율, 계약기간, 점심 메뉴 수였으며, 규모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점포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고성과 집단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2009년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규모(월식수), 급식 단가가 공통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이를 위해 DEA 기법을 활용하여 푸드서비스 점포의 종합 효율성을 평가하며, 점포를 그룹핑하여 각 그룹별 운영 특성의 차이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통해 고효율 점포와 저효율 점포의 특성을 찾아내고, 궁극적으로 고효율 점포가 되기 위한 운영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주어진 변수 특성이 기본 전제조건에 맞을 경우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모든 비교 대상 DMU들의 효율성은 1보다 작거나 같다는 제약 조건 하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DMU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모형이다. 생산 함수가 규모 수익 불변(CRS: constant return to scale)임을 가정하고 있으며, 기업이 최적의 규모로 운영될 경우 적합한 모델이다. CCR 효율성 점수는 기술 효율성(technical effi- ciency: TE)이라고 명명되며, 이는 생산 과정에서 평가 대상 DMU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투입 요소를 산출 요소로 변환시켰는가를 측정한다(Hong & Kang 2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A 기법이란? DEA 기법은 다수의 투입 요소와 산출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벤치마킹 포인트를 찾는 선형 수리 계획 모형으로 종합적인 효율성을 고려할 수 있는 방법이다. 정량, 정성 변수를 동시에 적용하여 기업의 효율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지표나 선형 모형들과 차별성이 있으며, 대상 점포들 간의 상대적인 효율성 측정으로 벤치마킹 포인트를 제시한다는 장점이 있어서 국내에서는 2000년 이후 외식, 호텔을 비롯한 서비스 기업에 적용되어 연구되고 있다(Choi et al 2007, Choi & Park 2007, Chung KY 2006, Kim et al 2006, Kim & Park 2009, Seo & Na 2006, Shim et al 2001).
기업 경영의 궁극적 목표와 목표를 위해 무엇이 전제되어야 하는가? 기업 경영의 궁극적 목표는 지속적인 사업의 영위로 이를 위해서는 고객 만족에 기반한 성장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EA 효율성 점수 산출을 위한 산출 변수로 매출과 고객 만족도를 선정하였고, 투입 변수로는 재료비, 인건비, 경비를 사용하였다.
DEA 효율성 점수에 따른 그룹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수의 변수들이 사용되었으며, 운영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는? 1) 고객 만족도: 각 점포별로 60~80부의 설문을 배포하여 수거하였으며, 설문 내용은 음식의 맛, 간, 양, 다양성, 온도, 조화도, 선호 메뉴 제공 여부, 전체 만족도를 묻는 8가지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2) 정직원 비율: 정직원 인건비를 총 인건비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3) 일용직 비율: 일용직 인건비를 총 인건비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4) 급식 단가: 월 총 매출을 식수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5) 재료비 단가: 월 총 재료비를 식수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6) 메뉴 수: 한 달간 제공된 총 메뉴 중 양념/소스류를 제외한 밥, 국, 찬류의 수를 조사하였다. 7) 식수 오차율: 식수 예측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 절대 비율 오차(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총 식수 오차율은 일식수오차율의 평균값으로 산출하였다. MAPE는 예측된 각 기간의 오차의 절대치를 실제치로 나누어 퍼센트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합하여 예측기간 수로 나눈 것이다. 이 방법은 예측치 대비 실제치의 양, 음 오차를 모두 고려할 수 있으며, 비율 오차를 계산함으로써 규모에 따른 차이를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8) 발주 수정율: (1인량×예측 식수로 산정된 전산 발주량— 최종 발주량)÷전산 발주량으로 계산하였으며, 1인량 관리와 재고 관리의 정확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9) 재고율: 월말 재고 금액÷월 총 매출로 산출하였다. 10) 가공식품 사용률: 전처리 야채, 소스류, 완제품 양념장 및 탕류, 반찬류 등의 사용 금액÷월 총 재료비 금액으로 계산하였다. 11) 재료비 편차: 월 재료비 단가에서 일별 재료비 단가의 차이를 차감한 편차의 평균으로 산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김성호, 최태성, 이동원 (2007) 효율성 분석 이론과 활용. 서울경제경영, 서울. pp 245-246. 

  2. 박만희 (2008) 효율성과 생산성분석. 한국학술정보, 서울. pp 14-17, 41-48. 

  3. ADA report (2005) A system approach to measuring productivity in health care foodservice operations. J Am Diet Assoc 10: 122-130. 

  4. Banker RD, Charnes A, Cooper W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 1078-1092. 

  5. Banker RD, Morey R (1986) Efficiency analysis for exogenously fixed inputs and outputs. J of Operations Research 34: 513-521. 

  6. Banker RD, Potter D, Srinivasan D (2005) Association of non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with the final performance of a lodging chain.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46: 394-412. 

  7. Barros CP (2004) Measuring efficiency in the hotel sector. Annuls of Tourism Research 32: 456-477. 

  8. Brown MM, Hoover LW (1990) Productivity measurement in foodservice past accomplishments-a future alternative. J Am Diet Assoc 90: 973-978. 

  9. Chaners A, Cooper WW,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 European J of Operational Research 2: 429-444. 

  10. Choi KY, Park JY (2007) The efficiency and business strategy of contract-foodservice operat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727-737. 

  11. Choi KY, Park YM, Shin SY, Kwak DK (2007) Efficiency analysis of contract-managed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Korean J Community Nutr 12: 178-188. 

  12. Chung KY (2006) Benchmarking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super deluxe hotel :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Korean J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15: 1-18. 

  13. Donthu N, Hershberger EK, Osmonbekok T (2005) Benchmarking marketing productivit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8: 1474-1482. 

  14. Farrell M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ity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120: 253-290. 

  15. Fitzsimmons JA, Fitzsimmons MJ (2006) Service management: Operations, strategy, information technology. McGraw Hill, NY. pp 64. 

  16. Hong BY, Kang EK (2005) Productivity measurement of Korean hotel industry. J Tourism Sci 29: 337-359. 

  17. Hwang JH, Sneed J (2007) Developing a performance criteria model for school foodservice. J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1: 111-129. 

  18. Kaplan RS, Norton DP (1992)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Feb: 71-79. 

  19. Kilic H, Okumus F (2005) Factors influencing productivity in small island hotels, evidence from northern Cypu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17: 315-331. 

  20. Kim SJ (2007) A study on the analysis of hotel management efficiency. Korean J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16: 51-63. 

  21. Kim SJ, Yoon JH, Choi KY (2006) Efficiency analysis for brand of franchise restaurant and franchisees: by appl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J Tourism Sci 30: 197-217. 

  22. Kim TH, Park JY (2009) A study of the efficiency of multiunit foodservice company. J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2: 299-319. 

  23. Park JY, Choi KY, Kim TH (2008) The influence of menu factors on DEA menu efficiency in contract-foodservice operatio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242-252. 

  24. Park MH (2008) Development of DEA efficiency and Malmquist productivity analysis system. Productivity Review 22: 241-265. 

  25. Reynolds D (1998) Productivity analysis, in the on-site food service segment.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June: 23-31. 

  26. Reynolds D (2003) Hospitality-productivity assessment using data-envelopment analysis.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rterly 44: 130-137. 

  27. Reynolds D, Biel D (2007) Incorporating satisfaction measures into a restaurant productivity index. International J Hospitality Management 26: 352-361. 

  28. Reynolds D, Thompson GM (2005) Multiunit restaurant productivity assessment using three-phase data envelopment analysis. International J Hospitality Management 26: 20-32. 

  29. Seo YA, NA JK (2006) Measuring efficiency of Korean franchise restaurant business: Data envelopment analysis. J Tourism Sci 30: 295-315. 

  30. Shim DH, Kim HK, Kim JJ (2001) An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hotel industry. J Tourism Sci 25: 249-266. 

  31. Stocks JF (1985) Cost effective quality food service, "An institutional guide", 2nd ed, AN ASPEN publication, 155-189. 

  32. Taylor J, Reynolds D, Brown DM (2009) Multi-factor menu analysi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temporary Hospitality Management 21: 213-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