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역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정량화
Non-point Source Quantification Analysis Using SWAT in Nakdong River Watershed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3 no.4, 2010년, pp.367 - 381  

황보현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김동일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윤영삼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한건연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들어 도시화와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유역에서의 유출특성과 오염물질 발생특성도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라 정교한 유역 수질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유역의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하여 충분조건을 갖추어야 할 정량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나 점오염원 관리와 달리 자연 내의 복잡한 현상을 반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점오염원의 정량화 해석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강우 및 유출량 관계와 덧붙여 오염물질이 하천수질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도달시간 해석 및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토양도, 토지이용도 자료 등을 이용하여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정량화하고,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유역모형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 모형을 이용하여 비점오염원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유역의 비점오염원 비율은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조사된 비점오염원 비율인 22~37%정도와 비교적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urbanization and abnormal weather have induced enormous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both runoff and pollutant occurrence. Thus, sophisticated watershed modeling of water quality is required. In order to manage non point sources in a watershed, quantitative analysis should be prelimina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모의 결과를 이용하여 비점오염원의 정량화를 실시하고자 한다. 비점오염원의 정량화는 점오염원 배출 부하량을 포함한 모의 결과를 검 · 보정하고 그 모의에서 점오염원의 영향을 제외하여 모의한 결과가 비점오염원에 대한 영향이라고 판단하고 비점오염원의 정량화를 수행하였다.
  • 낙본 D 단위유역의 점오염원은 유역 내 하수종말처리장이 존재하지 않으며, 상주축산폐수처리사업소와 사벌묵하마을하수도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오염원의 정확한 산정을 위해 SWAT의 입력자료로 이들 자료에 대한 오염원자료를 제시하고 또한 각 소유역으로 구분을 하여 모의를 수행하여 보았다. 또한 수질모의는 2006년 자료가 존재함으로 이를 이용하여 모의를 수행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선행조건인 정량화를 위하여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비교 · 분석하였다.
  • 유입 및 유출 조건 입력 후 파악하고자 하는 현상을 제외한 유입 조건을 제거한다면 관측이 어려운 현상을 간접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점오염원의 정량화에 있으므로 모든 유입 조건 및 유출 조건을 입력한 후 비점오염원 이외의 현상 즉 점오염원에 의한 유입 조건을 삭제함으로써 비점오염원에 의한 정량화를 간접적으로 추정하였다. 아래 그림에서 점선으로 나타나는 부분이 비점오염원에 의한 유량 및 수질을 나타내며 실선부분이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을 합한 총오염원에 의한 모의 결과이다.
  • 이는 오염총량제의 궁극적인 목적이 하천수질의 개선에 있으므로 하천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물질의 규명은 상당히 중요하다.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을 정량화함으로써 각 유역의 비점오염원 관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 분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성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무엇인가? 탄소성 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CBOD)는 지표 유출에서 이송되는 유기성물질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산소를 이르며 최종 CBOD에 대한 부하함수는 Eq. (2)와 같이 Thomann and Mueller (1987)에 의해 제시된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산정된다.
하천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첫 번째 요소는? 하천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첫 번째 요소인 점오염원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낙본 H유역 내의 하수종말처리장은 의령부림하수종말처리장과 창녕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역내에 총 2개소의 하수종말처리장이 위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건설교통부 (2006). 한국수문조사연보. 

  2. 낙동강물환경연구소 (2006).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06) 낙동강수계 유량측정사업 운영결과. 

  3. 환경부 (2006). 물환경관리기본계획. 

  4. Brown, L.C., Barnwell, Jr. T.O. (1987). The enhancedwater quality models QUAL2E and QUAL2E-UNCASdocumentation and user manual. EPA documentEPA/600/3-87/007, USEPA, Athens, GA. 

  5. Duan, Q., Sorooshian, S., and Gupta, V. (1994). “Optimaluse of the SCE-UA global optimization method forcalibrating watershed models.” Journal of Hydrology,ASCE, Vol. 4, No. 2, pp. 135-143. 

  6. Menzel, R.G. (1980). Enrichment ratios for water qualitymodeling. In: CREAMS: A Field-Scale Model forChemicals, Runoff, and Erosion from AgriculturalManagement Systems. Conservation Research Report26,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pp.482-492. 

  7. Moriasi, D.N., et. al.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Simulations.” Transactions of ASABE, Vol. 50, No.3, pp. 885-900. 

  8. Motovilov, Y.G., L. Gottschalk, K. Engeland and A.Rohde. (1999). “Validation of a distributed hydrologicalmodel against spatial observations.” Agriculturaland Forest Meteorology, Vol. 98, pp. 257-277. 

  9.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 part I-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 pp. 282-290. 

  10. Thomann, R.V., and Mueller, J.A. (1987). Principles ofsurface water quality modeling and control. Harper& Row Publishers, New York, pp. 64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