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큰잎모자반 효소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Sargassum coreanum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494 - 499  

고석천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강성명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안긴내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  양현필 ((주)키토라이프 기술연구소) ,  김길남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제주생물종다양성연구소) ,  전유진 (제주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갈조류 중 큰잎모자반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큰잎모자반으로부터 효소적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로부터 활성산소종의 소거활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효소적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제조된 큰잎모자반의 효소적 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효소적 추출물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 추출물에서는 Neutrase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당 분해효소 추출물에서는 Celluclast를 이용하여 제조된 효소적 추출물이 다소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러 가지 효소들이 복합되어진 효소가 세포벽에 있는 섬유질이나 당단백질 혹은 알긴산 고분자물질 등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유도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수용성의 추출물은 유기용매 추출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큰잎모자반 효소적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은 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응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상의 결과로 큰잎모자반은 잠재적인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Sargassum coreanum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to prepare water-soluble extracts by using five carbohydrates (Viscozyme, Celluclast, AMG, Termamyl and Ultraflo) and five proteases (Protamex, Kojizyme, Neutrase, Flavozyme and Alcalase) and their potential antioxidant activity were ev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갈조류 중 큰잎모자반의 항산화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큰잎모자반으로부터 효소적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로부터 활성산소종의 소거활성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효소적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제조된 큰잎모자반의 효소적 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효소적 추출물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용성 추출물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고, 독성 없이 친환경적인 추출방법인 당 분해효소와 단백질 분해효소를 이용하는 효소적 가수분해 방법을 이용하여 갈조류에 한 종류인 큰잎모자반으로부터 수용성 성분을 추출한 후 각 효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큰잎모자반으로부터 제조한 단백질 분해효소 추출물과 당 분해효소 추출물은 어떤 효과를 보였는가? 여기서 효소적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제조된 큰잎모자반의 효소적 추출물은 항산화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효소적 추출물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 추출물에서는 Neutrase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당 분해효소 추출물에서는 Celluclast를 이용하여 제조된 효소적 추출물이 다소 우수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여러 가지 효소들이 복합되어진 효소가 세포벽에 있는 섬유질이나 당단백질 혹은 알긴산 고분자물질 등을 분해시키는 작용을 유도하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ROS는 신체에서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산소는 인체 내 소화 및 에너지 생성 등 여러 대사과정에 관여하고 생물의 생존에 가장 필수적인 물질이지만,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로 전환되면 생체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종류로는 일반적으로 superoxide anion radical( ・O2-), hydroxyl radical( ・OH), hydrogen peroxide(H2O2), singlet oxygen(1O2) 등이 있고, 이들 ROS는 단백질, 불포화지방산 등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생성하고, DNA나 RNA 등에 손상을 일으켜, 생체막의 손상, 면역능력의 약화와 함께 성인병 및 각종 질병과 노화 더 나아가서는 암을 유발시키게 된다(1-3). 이러한 활성산소종 생성의 생체 내적 요인으로는 세포 대사작용, 산화효소, 박테리아 작용이 있으며, 세포외적 요인으로는 오염된 공기, 대사율 증가, 흡연, 특정항생제, 자외선 등이 있고, 체내에서는 각종 항산화효소와 항산화물질로 이를 제어하고 있다(4).
갈조류는 어떤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가? 그중에서도 갈조류는 xanthopophyll, pigment, fucoidan, phycocolloids, phlorotannins 그리고 fucoxanthin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한다고 알려져 있고(14), 이러한 생리활성물질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항산화, 항응고, 항고혈압, 항균 그리고 항암 활성을 가진다는 것이 보고된 바 있다(12,15-18). 그러나 이러한 갈조류에 속하는 큰잎모자반에 대한 생리활성 효과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고, 비 수용성 물질 추출, 낮은 수율, 고비용, 환경오염과 독성이 부각되고 있는 유기용매 추출법이 주를 이루고 있어 새로운 추출방법의 대안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oi SH, Kim EK, Lee SJ, Jeon YJ, Moon SH, Lee CH, Jeon BT, Park IS, Park TK, Kim B, Park SH, Park PJ. 2008. ESR spectroscopy investig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n hydroyl radical-induced DNA damage of enzymatic extracts from Picrorrhiza kurroa. J Food Biochem 32: 708-724. 

  2. Lee SH, Kim KN, Cha SH, Ahn GN, Jeon YJ. 2006.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and methanol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stem and leav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39-1145. 

  3. Wiseman H. 1996. Dietary influences on membrane function; important in protection against oxidative damage and disease. Nutr Biochem 7: 2-6. 

  4. Cook NC, Samman S. 1996. Flavonoids chemistry, mechanism, cardioprotective effects and dietary source. Nutr Biochem 7: 66-76. 

  5. Kang JW. 1968.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Marine alga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Vol 8, p 155-157. 

  6. Ebihara K, Kiriyama S. 1990. Physiochemical proper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dietary fiber.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7: 916-925. 

  7. Kim HS, Kim GJ. 1998. Effects of the feeding Hizikia fusiforme (Harvey) Okamura on lipid composition of serum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718-723. 

  8. Kang HS, Chung HY, Kim JY, Son BW, Jung HA, Choi JS. 2004. Inhibitory phlorotannins from the edible brown alga Ecklonia stolonifera on tot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rch Pharm Res 27: 194-198. 

  9. Fukuyama Y, Kodama M, Miura I, Kinzo Z, Kido M, Mori H, Nakayama Y, Takahashi M. 1989. Structure of an anti-plasmin inhibitor, eckol, isolated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kurome Okamura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its derivatives on plasma plasmin inhibitors. Chem Pharm Bull37: 349-353. 

  10. Kang K, Park Y, Hwang HJ, Kim SH, Lee JG, Shin HC.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brown algae polyphenolics and their perspectives as chemopreventive agents against vascular risk factors. Arch Pharm Res 26: 286-293. 

  11. Lee JH, Kim ND, Choi JS, Kim YJ, Moon YH, Lim SY, Park KY. 1998. Inhibitory effects of the methanolic extract of an edible brown alga, Ecklonia stolonifera and its component, phloroglucinol on aflatoxin B1 mutagenicity in vitro (Ames test) and on benzo(a)pyrene or N-methyl N-nitrosourea clastogenicity in vivo (mouse micronucleus test). Nat Prod Sci 4: 105-114. 

  12. Nagayama K, Iwamura Y, Shibata T, Hirayama I, Nakamura T. 2002. Bactericidal activity of phlorotannins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kurome. J Antimicrob Chemother 50: 889-893. 

  13. Ahn MJ, Yoon KD, Min SY, Lee JS, Kim JH, Kim TG, Kim SH, Kim NG, Huh H, Kim J. 2004. Inhibition of HIV-1 reverse transcriptase and protease by phlorotannins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cava. Biol Pharm Bull 27: 544-547. 

  14.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99. Antioxidant defenses. In Free radicals in Biology and Medicine. 3rd ed. Oxford Science Publications, Oxford, UK. p 105-159. 

  15. Mayer AM, Hamann MT. 2004. Marine phrmacology in 2000: marine compounds with antibacterial, anticoagulant, antifungal, anti-inflammatory, antimalarial, antiplatelet, antiprotozoal, anti-tuberculosis, and antiviral activities; affecting the cardiovascular, immune and nervous systems and other miscellaneous mechanisms of action. Mar Biotechnol 6: 37-52. 

  16. Athukorala Y, Jeon YJ. 2005. Screening for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Ecklonia cava. J Food Sci Nutr 10: 134-149. 

  17. Kotake-Nara E, Asai A, Nagao A. 2005. Neoxanthin and fucoxanthin induced apoptosis in PC-3 human prostate cancer cells. Cancer Lett 220: 75-84. 

  18. Heo SJ, Kim JP, Jung WK, Lee NH, Kang HS, Jun EM, Park SH, Kang SM, Lee YJ, Park PJ, Jeon YJ. 2008. Identification of chemical structur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iphlorethohydroxycarmalol isolated from brown alga, Ishige okamurae. J Microbiol Biotechnol 18: 676-681. 

  19. Athukorala Y, Lee KW, Kim SK, Jeon YJ. 2007. Anticoagulant activity of marine green and brown algae collected from Jeju Island in Korea. Bioresour Technol 98: 1711-1716. 

  20. Heo SJ, Jeon YJ. 2005. Antioxidant effects of protecting effect against cell damage by enzymatic hydrolysates from marine algae. Food Ind Nutr 10: 31-41. 

  2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Virginia, USA. 

  22. Heo SJ, Lee KW, Song CB, Jeon YJ.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Algae 18: 71-81. 

  23. Shetty K, Curtis OF, Levin RE, Witkowsky R, Ang V. 1995. Prevention of vitrification associated with the in vitro shoot culture of oregano (Origanum vulgare) by Pseudomonas spp. J Plant Physiol 147: 447-451. 

  2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5. Muller HE. 198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 on ABTS-peroxidase medium. Zentrabl Bakteriol Mikrobiol Hyg 259: 151-158. 

  26. Decker EA, Welch B. 1990. Role of ferritin as a lipid oxidation catalyst in muscle food. J Agric Food Chem 38: 674-677. 

  27.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i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28. Yokozawa T, Chen CP, Dong E, Tanaka T, Nonaka GI, Nishioka I. 1988.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tannins and fiavonoids against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Biochem Pharm 56: 213-222. 

  29. Heo SJ, Park EJ, Lee KW, Jeon YJ. 2005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extracts from brown seaweeds. Bioresource Technol 96: 1613-1623. 

  30. Siriwardhana N, Jeon YJ, Kim SH, Ha JH, Heo SJ, Lee KW.2004. Enzymatic hydrolysis for effective extrac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Hizikia fusiformis. Algae 19:59-68. 

  31. Heo SJ, Park PJ, Park EJ, Kim SK, Jeon YJ. 2005.Antioxidant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Ecklonia cava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and comet assay. Eur Food Res Technol 221:41-47. 

  32. Ahn CB, Jeon YJ, Kang S, Shin TS, Jung BM. 2004.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nzymatic extracts from a brown seaweed Scytosiphon lomentaria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metry. Food Res Int 37: 253-258. 

  33. Siriwardhana N, Lee KW, Kim SH, Ha JW, Jeon YJ.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Hizikia fusiformis on 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nd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Food Sci Tech Int 9: 339-346. 

  34. Oki T, Masuda M, Furuta S, Nishibia Y, Terahara N, Suda I. 2002. Involvement of anthocyanins and other phenolic compounds in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urplefleshed sweet potato cultivars. J Food Chem Toxicol 67: 1752-1756. 

  35. Park EJ, Kang MH. 2002. Application of the alkaline comet assay for detecting oxidative DNA damage in human biomonitoring. Kor J Nutr 35: 213-222. 

  36. Kim JG, Kang YM, Eum GS, Ko YM, Kim TY. 2003.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Akebia quinate Decaisn, Scirusfluviatilis A. Gray, Gardenia jasminoides for. grandiflora Makino). J Agric Life Sci 37: 69-75. 

  37. Halliweill B. 1991. Reactive oxygen species in living systems:source, biochemistry, and role in human disease. Ame J Med 91: 14-19. 

  38. Fridovich I. 1995. Superoxide radical and superoxide dismutases. Annu Rev Biochem 64: 97-112. 

  39. Lee SH, Karawita R, Affan A, Lee JB, Lee KW, Lee BJ, Kim DW, Jeon YJ. 2009. Potential of benthic diatoms Achnanthes longipes, Amphora coffeaeformis and Navicula sp. (Bacillariophyceae) as antioxidant sources. Algae 24:47-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