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트륨 실측치와 식품교환표 및 식품성분표를 이용한 추정치의 비교
Differences Between Analyzed and Estimated Sodium Contents of Food Composition Table or Food Exchange Lis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535 - 541  

권용주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무용 (동국대학병원 심장혈관센터) ,  김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  권광일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  김소진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  신희준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  박성수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  이은주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  박혜경 (식품의약품안전청 영양정책과) ,  박용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고혈압의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인의 성인 하루 평균 소금 섭취량은 영양 섭취기준보다 3배 이상 높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14일간의 식단을 작성하고 조리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을 실제로 측정한 후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에서 계산된 나트륨 추정치와 비교하여, 각각 방법의 정확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하루 식단의 나트륨 함량에서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추정치는 실측치와 유의한 차이가 났으나, 식품성분표는 실측치와 유사하였다. 음식별 절대값의 비교에서는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나트륨 추정치와 식품성분표로 계산한 나트륨 추정치가 모두 실측치와 유의한 차이가 났다. 음식군별 절대값 비교에서는 양념류의 나트륨 함량이 많은 주요리, 부식, 국물요리에서 상당히 유의한 차이가 났으며,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추정치, 식품성분표로 계산한 추정치, 실측치간의 차이가 큰 음식들이 모두 주요리, 부식, 국물요리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르면, 단순히 하루 식단의 나트륨 함량 비교에서 식품교환표에 비해 식품성분표의 나트륨 함량이 더 정확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음식별 또는 음식군별로 추정치와 실측치간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비교한 결과,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의 나트륨 함량 모두 실측치와 차이가 컸다. 특히 나트륨 과잉 섭취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는 양념류의 차이로 장류, 김치 등의 사용이 많은 한국음식에서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를 이용한 추정치와 실측치의 차이가 컸다. 따라서 고혈압 및 신장질환 환자를 위한 저염식단작성시 식품교환표나 식품성분표를 사용할 때 실제 소금량과의 차이를 고려해야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cessive intake of sodium is known as a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and Korean adults consume sodium 3 times higher than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on sodium content between analyzed and estimated by food composition table and food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식품성분표를 근거로 한국영양학회에서 제작한 식품분석 프로그램(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CAN-Pro)(18)의 나트륨량도 실측치와 차이가 난다는 보고가 있으나(19),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의 나트륨량과 실측치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14일간의 식단을 작성하고 이에 따라 조리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을 실제로 측정한 후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에서 계산된 나트륨량과 비교하여, 각각 방법의 정확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14일간식단의 다양한 음식으로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나트륨 추정치, 식품교환표로 계산한 나트륨 추정치, 실측치를 비교하여 추정치와 실측치의 차이뿐 아니라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의 나트륨 함량의 차이도 비교하였다. 또한 음식별, 음식 군별 나트륨 함량의 차이를 절대값으로 비교하여 기존의 식품교환표 및 식품성분표와 실측치의 나트륨 차이를 정확하게 비교하고자 하였다.
  •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고혈압의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인의 성인 하루 평균 소금 섭취량은 영양섭취기준보다 3배 이상 높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14일간의 식단을 작성하고 조리된 음식의 나트륨함량을 실제로 측정한 후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에서 계산된 나트륨 추정치와 비교하여, 각각 방법의 정확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통조림은 가공 중에 첨가된 나트륨이 용액에 용해되기 때문에 내용물보다 국물의 나트륨 함량이 더 높았고 가공하지 않은 생과일에 비해 가공된 주스의 나트륨 함량이 현저하게 높았다.(12) 모든 과일류의 나트륨 함량이 0으로 설정되어 있는 식품교환표를 이용 시 과일의 종류와 가공 유무에 따라 나트륨 함량 차이를 고려해야 된다.
  • 본 연구의 몇 가지 제한점은 조리 전 재료의 나트륨량이 아니라 조리된 음식의 나트륨량을 측정하였다는 것이다. 조리된 음식을 포장 후 실험실로 운반하는 과정에 조리기구에서 불가피하게 손실된 양념의 양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영양섭취기준의 2.7배인데, 이렇게 과잉 섭취하게 되는 이유는? 7배 높은 것이다. 한국인은 장류와 김치 등 염장식품과 국이나 찌개류 섭취가 많아 나트륨을 과다하게 섭취하기 쉬우며(7,9-11) 최근에는 가공식품의 섭취 증가가 나트륨 과잉 섭취의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다(12). 우리나라에서는 1968년부터 나트륨 제한식사가 사용되어 왔으며(13), 나트륨의 섭취를 줄이기 위한 항고혈압식사(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iet, DASH diet)가 고혈압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다(14,15).
고혈압의 주요한 위험요인은? 나트륨의 과잉섭취가 고혈압의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국인의 성인 하루 평균 소금 섭취량은 영양 섭취기준보다 3배 이상 높다. 본 연구에서는 식품교환표를 이용하여 14일간의 식단을 작성하고 조리된 음식의 나트륨 함량을 실제로 측정한 후 식품교환표와 식품성분표에서 계산된 나트륨 추정치와 비교하여, 각각 방법의 정확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인의 사망원인 1위와 2위는? 한국인의 사망원인으로 1위는 암, 2위는 순환기계 질환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고혈압성 질환)이며, 특히 고혈압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9.5%로 조사되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 Geleijnse JM, Witteman JCM, Stijnen T, Kloos MW, Hofman A, Grobbee DE. 2007. Sodium and potassium intake and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and all-cause mortality: the Rotterdam Study. Eur J Epidemiol 22: 763-770. 

  3. Graudal NA, Galloe AM, Garred P. 1998. Effects of sodium restriction on blood pressure, renin, aldosterone, catecholamines, cholesterols, and triglyceride a meta-analysis. JAMA 279: 1383-1391. 

  4. Grobbee DE. 1994. Electrolyte intake and human hypertension: sodium and potassium. In Textbook of hypertension. Swales J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England. p 539-551. 

  5. MacMahon S, Peto R, Cutler J, Collins R, Sorlie P, NeatonJ, Abbott R, Godwin J, Dyer A, Stamler J. 1990. Blood pressure, stroke, and coronary heart disease. Part 1, Prolonged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ies corrected for the regression dilution bias. Lancet 335: 765-774. 

  6. Stamler J. 1991. Implications of the INTERSALT study.Hypertension 17: 116-120. 

  7. Ministry of Health and Wealth.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Nutrition survey. 

  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7th revision. Seoul, Korea. p 5. 

  9. Nam HW, Lee KY. 1985.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metabolism of the pregnant women in Korea. Korean J Nutr 18: 194-200. 

  10. Moon HK, Choi SO, Kim JE. 2009. Dishes contributing to sodium intake of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Korean JComm Nutr 14: 123-136. 

  11. Park TS, Lee KY. 1985. A study on th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and their metabolism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J Nutr 18: 201-208. 

  12. Park JA. 1980. Study on sodium and potassium contents of processed food in Korea.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p 201-208. 

  13. Ihm IS, Hyun KS. 1969. Studies on the special diet for in-patients (Part 1)-On the sodium restricted diet-. Korean J Nutr 2: 157-168. 

  14. Bray GA, Vollmer WM, Sacks FM, Obarzanek E, SvetkeyLP, Appel LJ. 2004. A further subgroup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DASH diet and three dietary sodium levels on blood pressure: results of the DASH-Sodium Trial. Am J Cardiol 94: 222-227. 

  15. Sacks FM, Svetkey LP, Vollmer WM, Appel LJ, Bray GA,Harsha D, Obarzanek E, Conlin PR, Miller ER 3rd, Simons-Morton DG. 2001.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N Engl J Med 344: 3-10. 

  16. Park RS, Kim SJ, Lee LH. 1977. Survey on the sodium content of low salt diet at 27 hospitals. Korean J Nutr 10:38-43. 

  17. Cho KH, Park MA, Kim ES. 1996. Differences between estimated and analyzed contents of sodium and potassium in the salt-restricted diet. J Korean Soc Food Nutr 25:406-414. 

  18.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Evaluation of nutrition program CAN-Pro3.0. 

  19. Choi BS, Kim EJ, Park YS. 1997. Study on sodium intake and preference for salty taste in college women. J KoreanSoc Food Sci Nutr 26: 154-160. 

  20.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7. Food standards codex. p 767. 

  21. Park YR, Park BO. 1974. NaCl content in Korean storage foods. Korean J Nutr 7: 25-29. 

  22. Lee HY, Kim ES. 1988. A study on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of residents of a farm.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p 62. 

  23.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 Nutr 12: 545-558. 

  24. Park CS. 1976. Studies on the mineral contents in Korean foods-III. Sodium and potassium contents in milk and soft drinks-. Korean J Nutr 9: 31-34. 

  25. Song BH, Hwang SH, Lee JD, Kim HJ, Chung HR, MoonHK. 1991. A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s and analytic methods 1. Sodium. Kor J FoodHygiene 6: 139-145. 

  26. Appel LJ, Champagne CM, Harsha DW, Cooper LS, Obarzanek E, Elmer PJ, Stevens VJ, Vollmer WM, Lin PH, Svetkey LP. 2003. Effects of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on blood pressure control: main results of the premierclinical trial. JAMA 289: 2083-2093. 

  27. Yang YF, Wu V, Huang CC. 2005. Successful management of extreme hypernatraemia by haemofiltration in a patient with severe metabolic acidosis and renal failure. NDT 20: 2013-2014. 

  28. Cutler JA, Follmann D, Allender PS. 1997. Randomized trials of sodium reduction: an overview. Am J Clin Nutr 65:643-651. 

  29. Im JH, Yoon JS. 1993.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Na, Ca intake and urinary excretion of Na, Ca in normotensive and hypertensive free-living adults. EASDL 3:41-50. 

  30. Jang JS, Choi HM, Hyun YY, Kwon BS, Park JY, Kim JH,Lee JW, Lee JE, Kwon YJ, Pyo HJ. 2006. A case of hypernatremia by folk remedies in a CRF patient. Korean J Nephrol 25: 675-6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