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4, 2010년, pp.353 - 371  

박주범 ,  정동열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서관 불안은 문헌정보학에서 이용자의 정서적 부분에 관한 대표적 연구로 인정 받아왔으며, 많은 도서관 이용자들이 정보이용 과정에서 도서관 불안을 경험하고 있으며 도서관 불안이 정보 활용에 제한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져 왔다. 오늘날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가장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디지털도서관 환경은 전통적 도서관의 그것과 매우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털도서관 불안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을 인정받는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DLAS)를 개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개념과 하위영역 등을 파악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DLAS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서적 문제, 자원, 이용지식, 보안, 언어, 기술적 문제, 과제 등 7개의 하위영역과 39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이 7개의 영역은 전체 디지털도서관불안의 51.165%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이용 특성 변수를 사용하여 T검증분산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특성을 살펴보고, 일반적 변인과 영향요인을 예측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brary anxiety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elds that concerns user's affectivity in library and information study. Considerable library users have been discovered to experience library anxiety according to researches. Although digital libraries are becoming more popular cha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가 디지털도서관 이용 시 경험하는 불안을 정의하여 개념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DLAS)를 개발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디지털도서관 이용 특성 등 이용자의 일반적 변인들과 디지털도서관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 요인들을 예측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가 디지털도서관 이용 시 경험하는 불안을 정의하여 개념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도서관 불안척도(Digital Library Anxiety Scale: DLAS)를 개발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이나 디지털도서관 이용 특성 등 이용자의 일반적 변인들과 디지털도서관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제시함으로써 디지털도서관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적 요인들을 예측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도서관 불안의 개념과 하위영역을 정의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DLAS를 개발하였다. DLAS의 개발은 디지털 도서관 이용자 연구와 관련된 이론 개발의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으며, 디지털도서관의 이용확대를 꾀하는 개발자, 운영자, 교육자들에게 필수적인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도서관 불안은 무엇을 말하는가? 디지털도서관 불안(Digital Library Anxiety:DLA)이란 정보기술의 발달이라는 환경적 영향에 따라 나타난 네트워크 기반의 도서관 시스템인 디지털도서관 이용과 관련해 이용자가 경험하는 두려움이다.
디지털도서관은 어떤 수단이 될 수 있는가? 디지털도서관은 인터넷을 활용한 가장 신뢰성 있는 정보활동의 수단이 될 수 있다. 인터넷은 무한한 정보의 바다로 불리지만 본질적으로 비구조적이고 체계가 없음으로 인해 이용자들은 자신의 정보요구에 부합되는 적합한 정보를 찾는 것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관리되지 않는 상태로 끊임없는 변화를 수행하는 인터넷의 특성은 검색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에도 의문을 갖게 한다.
디지털도서관이 인터넷의 부정적 측면을 해소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 각광받을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상황에서 신뢰성을 가진 도서관 자원에 네트워크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 디지털도서관은 인터넷의 부정적 측면을 해소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으로 각광 받을 수 있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도서관은 인터넷의 편리한 접근성과 도서관이 라는 신뢰성 있는 기관의 만남으로 인터넷의 장점만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터넷 정보활동만으로는 부족한 학술적·연구적 목적으로 전문적 자료를 찾고자 하는 학생이나 원격으로 도서관을 이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디지털도서관 활용능력은 연구나 과제수행을 위한 보다 필수적인 덕목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박현영, 남태우. 2006. 도서관 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3): 99-120. (Hyun-Young Park, Tae-Woo Nam.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Anxiety Sca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3): 99-120.) 

  2. 성기주, 이수연. 2003. 디지털도서관의 정보보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3): 217-237. (Kee-Joo Sung, Su-Yeon Lee. 2003.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in Digital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3): 217-237.) 

  3. Bostick, S. 1992. The Development of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Ph.D. diss., Wayne State University. 

  4. Coffin, R. J., & MacIntyre, P. D. 1999. "Motivational Influence on computer-related affected stat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5: 546-569. 

  5. Hackbath, G., Grover, V., & Yi, M. 2003. "Computer playfulness and anxiety: positive and negative mediators of system experience effect in perceived ease of use." Information & Management, 40(3): 221-232. 

  6. Harrison, A. W., & Rainer, R. K. 1992. "An examination of the factor structures and concurrent validates for the computer attitude scale, the computer anxiety rating scale, and the computer self-efficacy sca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2: 735-744. 

  7. Jiao, Q. G., & Onwuegbuzie, A. J. 2004. "The impact of information technology on library anxiety: the role of comp ter attitude."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3(4): 138-144. 

  8. Jiao, Q. G., Onwuegbuzie, A. J., & Lichtenstein, A. 1996. "Library Anxiety: characteristics of 'at-risk' college student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8: 151-163. 

  9. Liu, Z. 2005. "Reading behavior in the digital environment: changes in reading behavior over the past ten years." Journal of Documentation, 61(6): 700-712. 

  10. Luke, C. 2000. "Cyber-schooling and technological change: multiliteracies for new times." in: Cope, B. & Kalanizis, M. (Eds.) Multiliteracies: literacy learning and the design of social futures. London: Routledge. 

  11. Mellon, C. 1986.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47(2): 160-165. 

  12. Meuter, M. L., Ostrom, A. L., Bitner, M. J., & Roundtree, R. 2003. "The influence of technology anxiety on consumer use and experiences with self-service technologi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6: 899-906. 

  13. Onwuegbuzie, A. J. 1997. "The role of technology in the library anxiety of Arkansas college students." Arkansas Association of Instructional Media Quarterly, 30(3): 6-8. 

  14. Philip, P., Abraham, C., & Bond, R. 2003. "Personality, cognition, and university students examination performanc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7: 435-448. 

  15. Polit, D. F. & Beck, C. T. 2006.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Health, 29: 489-497. 

  16. Sever, I. 1994. "Electronic information retrieval as culture shock: an anthropological exploration." RQ, 33: 336-341. 

  17. Shoham, S. & Mizrachi, D. 2001. "Library anxiety among undergraduates: A study of Israeli B. Ed Student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7(4): 305-311. 

  18. Sturges, P., Teng, V., & Iliffl, U. 2001. "User Privacy in digital library environment: a matter of concern for information professionals." Library Management, 22(8/9): 364-370. 

  19. van Kampen, D. J. 2004. "Development of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library anxiety scal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Jan: 28-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