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by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1, 2010년, pp.73 - 81  

조귀래 (국민건강보험공단 요양급여실) ,  최정실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universal precaution) as stated i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Method: From September 14 to September 28, 2006,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from 18...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일반적 특성, 감염관련 특성 및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표준주의 지식과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혈액 및 체액 노출사고를 예방하고, 표준주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일반적, 감염관련 특성 및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표준주의 지식과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우려가 높고, 침습적인간호중재가 지속되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일반적 특성, 감염관련 특성 및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를 조사하여 일반적 특성 및 감염과련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 지식과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감염관리 표준주의 지침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경기 서북부 지역 500병상 이상의 3개의 종합병원과 1개 대학병원의 성인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89명을 전수 조사하여, 표준주의 지식은 평균 18.
  • 따라서 이러한 고위험부서인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경우 혈액이나 체액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며, 잠재적인 감염원을 가진 환자들을 간호하는 환경에서 감염노출을 예방하기 위한 표준주의관련 지식을 가지고 지침을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및 감염관련 특성에 따른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지식과 이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혈액 및 체액 노출사고를 예방하고, 효과적인 표준주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인들이 근무 중에 노출되는 혈액매개 감염 원인균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병원환경은 다양한 병원체가 모여 있고, 이러한 환경에 근무하는 의료인은 여러 가지 전파경로를 통하여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혈액이나 체액의 노출로 인해 발생하는 혈액매개 감염은 다른 감염보다 병원직원에게 감염을 일으킬 비중이 커지고 있다(Kim, 1998). 의료인들이 근무 중에 흔히 노출되는 혈액매개 감염 원인균으로는 B형 간염, C형 간염,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가 있으며 혈액매개 감염에 노출되는 의료인 중 간호사가 가장 많고, 의사, 용역 직원, 보조 직원, 검사실 직원 순으로 이러한 직종분포는 국내외 연구에서도 동일하다. 이는 업무 특성상 각종 검체의 채취나 검사의 보조, 정맥주사, 침습적인 처치 등을 주로 수행하는 간호사의 직업적인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고되고 있다(Choi, 1998; Choi & Kim, 2009; International Health Care Worker Safety Center, 2008).
혈액매개 감염에 노출되는 의료인 중 간호사가 가장 많은 이유는? 의료인들이 근무 중에 흔히 노출되는 혈액매개 감염 원인균으로는 B형 간염, C형 간염,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가 있으며 혈액매개 감염에 노출되는 의료인 중 간호사가 가장 많고, 의사, 용역 직원, 보조 직원, 검사실 직원 순으로 이러한 직종분포는 국내외 연구에서도 동일하다. 이는 업무 특성상 각종 검체의 채취나 검사의 보조, 정맥주사, 침습적인 처치 등을 주로 수행하는 간호사의 직업적인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보고되고 있다(Choi, 1998; Choi & Kim, 2009; International Health Care Worker Safety Center, 2008).
표준주의는 무엇인가? 혈액매개 감염 노출 사고는 주로 주사침 등 날카로운 기구에 찔린 경우와 혈액이나 체액이 점막이나 손상된 피부에 노출 시 발생하는 것으로 이러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관리 하기 위하여 미국의 질병관리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일반주의(Universal Precautions)를 제정하였고, 1996년에는 기존의 일반주의에서 더 나아가 표준 주의(Standard Precautions)를 지키도록 하였다. 표준주의란 기존의 일반주의에서 강조하였던 혈액 외에 체액, 땀, 눈물, 가래, 콧물 등의 신체분비물과 소변, 대변 등의 배설물, 피부 및 점막의 개방성 상처부위 모두를 잠재적 오염원에 포함시켜 이에 대한 노출을 피하도록 하는 감염관리지침 중 하나이다 (Cho, 2007; Jane, Emily, Marguerite, Linda, &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7). 그러나 이러한 표준주의 준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러 연구결과에서 볼 때 표준주의 지식수준과 이행도는 높지 않게 나타내고 있으며(Choi, 1998; Gong, 1999; Kim, Kim, & Eun, 2003), 표준주의를 잘 준수하지 못하는 이유로 시간의 부족, 지식부족, 주위환경 위험에 대한 인식부족, 보호 장비 사용의 어려움 등이 연구되었다(Choi, 1998; Yu & Lim,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1). Updated U.S. Public Health Serv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occupational exposures to HBV, HCV, and HIV and recommendations for postexposure prophylaxis.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50(11), 1-52. 

  2. Chan, R., Molassiotis, A., Chan, E., Chan, V., Ho, B., Lai, C. Y., et al. (2002). Nurses'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universal precautions in an acute care hospital.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9(2), 157-163. 

  3. Cho, G. L. (2007).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mpliance about standard precautions among ICU and ER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hoi, J. S. (1998). A Study on KAP of medical personnel against exposure to the patient's bloods and fluids in special departments of a general hospital: focused on intensive care unit, emergency unit, haemodialysis unit, operating unit, microbiological laborat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Choi, J. S., & Kim, K. S. (2009).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on blood-borne infection control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2), 298-309. 

  6. Gershon, R. R., Karkashian, C. D., Grosch, J. W., Murphy, L. R., Escamilla-Cejudo, A., Flanagan, P. A., et al. (2000). Hospital safety climate and its relationship with safe work practices and workplace exposure incident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8(3), 211-221. 

  7. Gong, H. J. (1999). Compliance with universal precautions among health car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8. International Health Care Worker Safety Center. (2008, November). $EPINet^{TM*}$ Report: 2005 percutaneous injury rates. Retrieved April 30, 2009, from http://www. healthsystem.virginia.edu/internet/epinet/2006EPINetreport.pdf 

  9. Jane, D. S., Emily. R., Marguerite, J., Linda, C., &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2007). 2007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 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 care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5, S65-S164. 

  10. Kermode, M., Jolley, D., Langkham, B., Thomas, M. S., Holmes, W., & Gifford, S. M. (2005). Compliance with universal/standard precautions among health care workers in rural north India.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33(1), 27-33. 

  11. Kim, M. J., Kim, J. S., & Eum, S. J. (2003). Knowledge, universal precaution practice, and hindrance factors of medical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concerning bloodmediated disea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41-54. 

  12. Kim, O. S. (1998). Risk factors and incidences of needlestick injuries among hospital employ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3. Kim, O. S. (2004).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prevention model of bloodborne disease exposure among health care work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4. Korean Society for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 Hospital infection control (3rd ed.). Seoul: Hanmi book. 

  15. Madan, A. K., Raafat, A., Hunt, J. P., Rentz, D., Wahle. M. J., & Flint, L. M. (2002). Barrier precautions in trauma: Is knowledge enough?. The Journal of Trauma, 52(3), 540-543. 

  16. McCoy, K. D., Beekmann, S. E., Ferguson, K. J., Vaughn, T. E., Torner, J. C., Woolson R. F., et al. (2001). Monitoring adherence to standard precautions.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9(1), 24-31. 

  17. Park, S. Y., Shin, D. S., Lee, H. G., & Kim, H. S. (2008). Compliance with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and related factor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2), 153-160. 

  18. Sax, H., Perneger, T., Hugonnet, S., Herrault, P., Chraiti, M. N., & Pittet, D. (2005). Knowledge of standard and isolation precautions in a large teaching Hospital.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6(3), 298-304. 

  19. Yu, M. J., & Lim, Y. (1998). Compliance level of universal precautions to hospital infection and related factors of health care worker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37(2), 73-84. 

  20. Yu, S. M., Jeon, S. S., Kang, I. S., & An, H. G. (2006). Status of nosocomial urinary tract infections in the ICU: molecular epidemiology of imipenem resistant P. aeruginosa. Journal of Korean Academey of Nursing, 36(7), 1204-1214.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