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이를 통한 평가방법과 공급량 평가방법을 이용한 산화방지제 일일 추정 섭취량 안전성 평가
Safety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Antioxidants in Korean Using Dietary Survey Approach and Food Supply Survey Approach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6 = no.214, 2010년, pp.762 - 767  

서희재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최성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 중 사용빈도가 높은 BHT, BHA, TBHQ에 대한 식이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 방법과 공급량 자료를 통한 섭취량 추정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인의 BHT, BHA, TBHQ 일일추정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을 위해 산화방지제 별로 BHT 131품목(빵 및 떡류, 과자류, 츄잉껌, 식용유지, 식사대용 곡류가공품, 견과류가공품), BHA 134품목(빵 및 떡류, 과자류, 츄잉껌, 견과류가공품, 마가린), TBHQ 104 품목(빵 및 떡류, 과자류, 츄잉껌, 어패류가공품)을 HPLCUVD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이섭취량자료를 이용하여 BHT, BHA, TBHQ의 일일추정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추정을 위해 식품 공급량과 첨가물 최대 허용량을 근거로 BHT, BHA, TBHQ의 일일추정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이 결과를 JECFA의 ADI와 비교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 결과 BHT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8 ${\mu}g$/kg body weight/day, BHA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5 ${\mu}g$/kg body weight/day, TBHQ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3 ${\mu}g$/kg body weight/day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ADI 대비 0.2, 0.1, 0.04% 이었다. 상위섭취자($90^{th}$ percentile)의 BHT 평균 섭취량은 2.2 ${\mu}g$/kg body weight/day, BHA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1.6 ${\mu}g$/kg body weight/day, TBHQ의 평균 일일추정 섭취량은 0.6 ${\mu}g$/kg body weight/day로 나타났고, 이는 각각 ADI 대비 0.7, 0.3, 0.1% 로 나타나, 한국인의 BHT, BHA, TBHQ 섭취량은 평균섭취자와 상위섭취자 모두에게서 안전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추정 결과 BHT, BHA, TBHQ 섭취량은 각각 0.3 mg/kg body weight/day(ADI 대비 97%), 0.3 mg/kg body weight/day(ADI 대비 60%), 0.3 mg/kg body weight/day(ADI 대비 40%)로 나타나, 역시 안전한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식이를 통한 섭취량 추정결과와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섭취량 추정 결과 간에 200-480배의 섭취량 차이를 보여, 식품첨가물 섭취량은 그 추정 방법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daily intakes of BHT, BHA, and TBHQ in Korean. The daily intakes were estimated using both a dietary survey approach and food supply survey approach. In the dietary survey approach, individual dietary intak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05, a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품 중 사용빈도가 높은 BHT, BHA, TBHQ의 식이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식이를 통한 BHT, BHA, TBHQ의 일일 추정 섭취량과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BHT, BHA, TBHQ의 일일 추정 섭취량을 파악하였다. 식이를 통한 섭취량은 가공식품에 함유되어 있는 BHT, BHA, TBHQ의 농도를 분석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식이섭취량 자료(dietary survey approach)를 적용하여 추정하였고, 공급량 자료를 이용한 섭취량은 가공식품 총 공급량(food supply survey approach)과 식품첨가물 최대 허용량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식품 및 식품첨가물 생산실적(20), 수입식품 등 검사연보(21) 자료를 이용하여 대상 식품의 총 생산량을 산출하였고, 이를 산화방지제 섭취량 추정을 위한 식품섭취량 자료로 이용하였다. 산화방지제의 사용이 허용된 식품의 일인당 일일 평균 섭취량은 각 식품의 2005년 출하량(P)과 수입량(I)을 합하여 산출되는 국내 소비량을 국민 총 섭취량으로 가정하고, 국민 총 인구수 및 연간일수(365일)로 나누어 각 대상 식품의 일인 일일 평균 섭취량을 산출하였다. 국민 총 인구수는 45,983,421명을 이용하였다(2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udget method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우선, 식품첨가물 섭취량 평가의 첫 단계로는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에서 권고하고 있는 Budget method가 이용된다. 이 방법은 식품첨가물 최대허용량(maximum permitted level)에 계수를 적용하여 식품에 존재하는 식품첨가물의 수준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매우 간편하게 식품첨가물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위해성 평가 자료로는 이용되지 않고 초기 검색을 위해서만 이용되고 있다(2). 식품첨가물 섭취량 단순 평가 방법으로는 공급량에 의한 평가 방법(food supply survey approach)이 있다.
식품첨가물 섭취량 평가의 첫 단계로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권고하고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식품첨가물의 섭취량을 평가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고, 계산방법에 따라 차이가 상당하기 때문에(1) 연구자들은 문제가 되는 식품첨가물의 종류, 소요시간, 예산, 평가 목적 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게 식품첨가물의 섭취량 평가방법을 적용해야 한다. 우선, 식품첨가물 섭취량 평가의 첫 단계로는 Codex 국제식품규격위원회(Codex Alimentarius Commission)에서 권고하고 있는 Budget method가 이용된다. 이 방법은 식품첨가물 최대허용량(maximum permitted level)에 계수를 적용하여 식품에 존재하는 식품첨가물의 수준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매우 간편하게 식품첨가물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위해성 평가 자료로는 이용되지 않고 초기 검색을 위해서만 이용되고 있다(2).
품첨가물 섭취량 단순 평가 방법으로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 방법은 식품첨가물 최대허용량(maximum permitted level)에 계수를 적용하여 식품에 존재하는 식품첨가물의 수준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매우 간편하게 식품첨가물 섭취량을 추정할 수 있으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위해성 평가 자료로는 이용되지 않고 초기 검색을 위해서만 이용되고 있다(2). 식품첨가물 섭취량 단순 평가 방법으로는 공급량에 의한 평가 방법(food supply survey approach)이 있다. 이 방법에선 우선, 1년 동안의 가공식품 생산량, 수출량, 수입량 등에 관한 통계자료를 이용하여 가공식품의 총 공급량을 산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ibney MJ, Lambe J. Estimation of food additive intake - methodology. Food Addit. Contam. 14: 405-410 (1996) 

  2. CAC. Guidelines for simple evaluation of food additive intak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eneva, Switzerland (1989) 

  3. Kroes R, Muller D, Lambe J, Lowik MRH, Van Klaveren J, Kleiner J, Massey R, Mayer S, Urieta I, Verger P, Visconti A. Assessment of intake from the diet. Food Chem. Toxicol. 40: 327-385 (2002) 

  4. Yoshio I. Daily intakes of food additives in Japan determination of food additives in food (1976-1994). Food Hyg. Res. 45: 17-68 (1995) 

  5. Codex Committee on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Consideration of Codex General Standard for Food Additives: Proposed Draft Revised Annex A at Step 3. CX/FAC 98/9.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Geneva, Switzerland. pp. 1-9 (1997) 

  6. Yoon HJ, Cho YH, Park JY, Lee CH, Park SK, Cho YJ, Han KW, Lee JO, Lee CW.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sorbates benzoates, and esters of p-hydroxybenzoic acid for average consumers in Korea. J. Food Hyg. Saf. 16: 53-60 (2001) 

  7. Yoon HJ, Cho YH, Park JY, Lee CH, Park SK, Cho YJ, Han KW, Lee JO, Lee CW.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benzoates for average and high consumers in Korea. Food Addit. Contam. 20: 127-135 (2003) 

  8. Choi SH, Lee JY, Park EY, Won J, Hong KH, Moon GI, Kim MS, Hong JH. Assessment of estimated daily intakes of preservatives in the Korean population. J. Food Sci. Technol. 40: 503-509 (2008) 

  9. Suh HJ, Chung MS, Cho YH, Kim JW, Kim DH, Han KW, Kim CJ. Estimated daily intakes for BHA, BHT, and TBHQ in Korea. Food Addit. Contam. 22: 1176-1188 (2005) 

  10. Chung MS, Suh HJ, Yoo WC, Choi SH, Cho YJ, Cho YH, Kim CJ. Daily intake assessment for saccharin, stevioside, D-sorbitol, and aspartame of various processed foods in Korea. Food Addit. Contam. 22: 1087-1097 (2005) 

  11. Suh HJ, Cho YH, Chung MS, Kim BH, Preliminary data on sulphite intake from the Korean diet. J. Food Compos. Anal. 20: 212-219 (2007) 

  12. KFDA.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preservatives, Antioxidant.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38 (2007) 

  13. Sherwin ER. Antioxidants. pp. 139-194. In: Food Additives. Branen AL, Davidson PM, Saliminen S (eds).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USA (1990) 

  14. KFDA. Korean Food Additives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7) Available from: http:// fa.kfda.go.kr/ Accessed June 3, 2010. 

  15. KFDA.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Additive by Korean Populati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221- 290 (2004) 

  16. KFDA. Korean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3) Available from: http://fa.kfda.go.kr/ Accessed June 7, 2010. 

  17. MOHW. The 3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 115-203 (2007) 

  18. Nutriscan. An Evaluation of the methodologies for the Estimation of Intakes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 in European Community. The O'Reilly Institute. Trinity College. Dublin. Ireland. p. 20 (1992) 

  19. MOHW. The 3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Health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 82-85 (2007) 

  20. KFDA. The Report on Annual Production of Food and Food Additiv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6). Available from: http://www.kfda.go.kr/index.kfda?mid96 &pageNo4&seq599&cmdv Accessed June 10, 2010. 

  21. KFDA.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6). Available from: http:// www.kfda.go.kr/index.kfda?mid96&pageNo3&seq603&cmdv Accessed June 05, 2010. 

  22. Statistics Korea, Korea Statistical Yearbook 2006, Vol 53. Statistics Korea, Seoul, Korea. p. 131 (2006) 

  23. WHO. Evaluation of certain food additives (51st report of the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891.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2000) 

  24. Baunwart GCMC, Toledo MCF. Estimates of the theoretical maximum daily intake of phenolic antioxidants BHA, BHT, and TBHQ in Brazil. Food Addit. Contam. 18: 365-373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