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공식품 중 중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A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Processed Food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4 no.1, 2012년, pp.21 - 27  

이효정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심지연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오현숙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장미란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이윤애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이륜경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김민아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이상민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조태용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  강호일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유해물질분석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주요섭취 가공식품(우유, 식용유지, 마가린) 3개 품목에 대한 납, 카드뮴, 비소의 기준 규격 설정을 위해 가공식품 총 287건을 전국 8개 권역(강원, 경기, 경남, 경북, 충청, 전남, 전북, 경남, 제주)에서 수거하고 각 시료를 microwave 분해법으로 전처리 하였다. 시료의 산분해 전처리 시 보다 객관화된 시료 전처리 방법의 확립을 위해 잔여 $^{12}C$ intensity를 ICP-MS로 측정하여 가장 분해정도가 우수한 조건(검체량, 질산량, 과산화수소량)을 선정하였다. 최적조건에서 전처리한 시료의 납, 카드뮴, 비소 함량은 ICP-MS로 분석하였다.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 LOQ)는 납의 경우, 우유 0.3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61 ${\mu}g/kg$ 이었고, 카드뮴의 경우, 우유 0.1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31 ${\mu}g/kg$이었다. 비소의 경우, 우유 0.45 ${\mu}g/kg$, 식용유지, 마가린 0.91 ${\mu}g/kg$이었다. 납, 카드뮴, 비소의 회수율은 납 92.6-98.0%, 카드뮴 91.2-98.9%, 비소 97.9-105.6% 수준 이었다 모니터링 결과, 가공식품의 납의 평균함량은 우유 2.395 ${\mu}g/kg$, 식용유지 7.656 ${\mu}g/kg$이었으며, 카드뮴의 평균함량은 우유 0.483 ${\mu}g/kg$, 식용유지 0.380 ${\mu}g/kg$이었다. 비소의 평균함량은 우유 0.781 ${\mu}g/kg$, 식용유지 1.241 ${\mu}g/kg$이었다. 가공식품의 Codex 납 기준 0.02-0.1 mg/kg, 카드뮴 0.1 mg/kg, 비소 0.1 mg/kg 수준과 비교해 볼 때, 모든 검체에서 기준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2005년 국민건강조사 DB에서 조사대상 인구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위해평가 한 결과 대상 식품들의 납, 카드뮴, 비소의 인체노출수준을 JECFA의 납, 카드뮴, 비소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으로 나누어 위해지수를 산출한 결과, 1.0 보다 훨씬 낮게 나타남으로 위해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as a survey on the contents of lead, cadmium, and arsenic in processed foods (milk, vegetable oil, and margarine) in Korea. The limits of quantification (LOQs) were Pb 0.3 ${\mu}g/kg$, Cd 0.15 ${\mu}g/kg$, and As 0.45 ${\mu}g/kg$ for m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는 식품원재료 즉 농산물, 수산물, 축산물에 대한 중금속모니터링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개별적으로 일부 보고되어 있으나, 좀 더 다양한 주요섭취 가공식품들에 대한 중금속 모니터링 및 기준ᆞ규격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공식품 중 우유, 식용유지, 마가린의 납, 카드뮴, 비소 함량을 조사하여 중금속 오염실태를 파악하고 Codex(13) 및 제외국의 기준과 비교함으로써, 국제기준규격과 조화를 이루어 향후 가공식품 중 중금속 기준 제ᆞ개정 시 과학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금속 중 자체 독성이 있으면서 축적성도 있어 중추신경 및 신장 독성을 일으켜 심각한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는 것은 무엇인가? 중금속은 환경오염이나 식품오염으로 체내로 들어와 축적되며 그 흡수량은 식품 종류와 개인의 건강상태 등에 따라 달라진다. 중금속 중 납, 카드뮴, 비소 등은 자체 독성이 있으면서 축적성도 있어 중추신경 및 신장 독성을 일으켜 심각한 위해를 끼칠 우려가 있다. 현대의 식생활 패턴은 곡류 위주에서 채소, 과일, 육류, 가공식품 등의 소비가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무엇에 따라 식품의 오염도 증가되고 있는가? 급격한 산업 발달로 인한 환경오염에 따라 식품의 오염도 증가되고 있다. 오염물질들은 물, 토양, 공기 등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또한 식품의 수확, 저장, 제조, 가공, 조리 및 포장 등의 과정에서도 오염될 수 있다.
가공식품 중 중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연구를 수행한 본 실험에서, 전처리 시 사용된 우유, 식용유지, 마가린의 시료 양은? 또한 환경시료 중 카드뮴, 구리, 납, 아연 분석에 대하여 microwave 분해법과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11466의 습식분해법 및 질산을 이용한 습식분해법을 비교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기물이 많은 시료 내 중금속을 분석할 때는 microwave 분해법이 우수한 전처리 방법이었다(20). 위의 참고자료들을 토대로 분석해 본 결과 시료량은 우유 약 1 g, 식용유지, 마가린은 약 0.3 g을 취하여 전처리를 수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onor R. Metal Contamination of Food. 3rd ed. Blackwell Science Ltd., Melbourne, Australia. pp.5-11, 40-76, 81-188 (1991) 

  2. Jose MC. Food Toxicology. Part B: Contamination and Additives. Marcel Dekker, New York, NY, USA. pp. 1033-1073 (1988) 

  3. Kim MH, Kim JS, Sho YS, Chung SY, Lee JO. The study on heavy metal contents in various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61-567 (2003) 

  4. UNEP/FAO/WHO. The Contamination of Food.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Nairobi, Kenya (1992) 

  5. Kim M, Chang MI, Chung SY, Sho YS, Hong MK. Trace metal contents in cereals, pulses and potato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64-368 (2000) 

  6. Chung SY, Kim M, Sho YS, Won KP, Hong M. Trace metal contents in vegetabl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2-36 (2001) 

  7. Sho YS, Kim J, Chung SY, Kim M, Hong MK. Trace metal contents in fishes and shellfish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549-554 (2000) 

  8. Chung SY, Kim JS, Kim EJ, Park SK, Kim M, Hong M, Kim MC, Lee JO. Trace metal contents in tea products and their safety evalua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812-817 (2003) 

  9. Kim M, Lee YD, Kim EJ, Chung SY, Park SK, Lee JO. Heavy metal contents in beverage consum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42-346 (2002) 

  10. Lee JK, Chang KE, Seo IW, Yoon CY, Paek OJ, Kim P S, Lee HM, Kim MJ, Roh HJ, Kim SS, Cho BS. Study on hazardous metal contents of circulating vegetables in Korea. The Annual Report of KFDA, Korea 7: 328-332 (2003) 

  11. Lee JO, Sho YS, Oh KS, Kang KM, Suh JH, Lee EJ, Lee YD, Park SS, Kim HY, Woo GZ. Heavy metal survey of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n circulation market. The Annual Report of KFDA, Korea 9: 953-965 (2005) 

  12. Choi DW, Jung SH. The survey for heavy metal contents in food - survey for heavy metal contents in frequently consumed food. The Annual Report of KFDA, Korea 10: 328-332 (2006) 

  13. CODEX. Codex general standard for contaminations and toxins in food and feed. CODEX STAN 193-1995: 1-44 (Adopted 1995; Revised 1997, 2006, 2008, 2009; Amended 2009) 

  14. Jeon JH. 2009-2010 Food Yearly Statistics in Korea. HNCOM, Seoul, Korea. pp. 201-358 (2009) 

  15. Georgia CL, Araujoa MH, Gonzaleza AG, Ferreira ARA, Nogueira JA. Effect of acid concentration on closed-vessel microwave- assisted digestion of plant materials. Spectrochim. Acta Part B 57: 2121-2132 (2002) 

  16. Elene P. Nardi FS, Evangelista LT, Tatiana DSP, Adilson JC, Samuel SS, Fernando BJr. The use of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for the determination of toxic and essential elements in different types of food samples. Food Chem. 112: 727-732 (2009) 

  17. Sandro TG, Fernando VS, Letcia MC, Ana RAN, and Joaquim AN. Determination of residual carbon by inductively-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ry with axial and radial view configurations. Anal. Chim. Acta 445: 269-275 (2001) 

  18. KHIDI. In-Depth analysis on the 3rd (2005)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nutrition survey.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eoul, Korea (2007) 

  19. U.S. EPA. EPA Method 3052, Microwave assisted acid digestion of siliceous and organically based matrices. U.S.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USA (1996) 

  20. Sastre JA, Sahuquillo M, Vidal & Rauret G. Determination of Cd, Cu, Pb and Zn in environmental samples: microwave-assisted total digestion versus aqua regia and nitric acid extraction. Anal. Chim. Acta 462: 59-72 (2002) 

  21. Martino FAR, Sinchez MLF, Sanz-Medel A. The potential of double focusing-ICP-MS for studying elemental distribution patterns in whole milk, skimmed milk and milk whey of different milks. Anal. Chim. Acta 442: 191-200 (2001) 

  22. Ataro RI, McCrindle BM, Botha CME, McCrindle PP, Ndibewu. Quantification of trace elements in raw cow's milk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ICP-MS). Food Chem. 111: 243-248 (2008) 

  23.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33rd Meeting. Summary and Conclus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88) 

  24.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53rd Meeting. Summary and Conclus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1999) 

  25. JECFA. Joint FAO/WHO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61st Meeting. Summary and Conclusions. World Health Organization, Rome, Italy (2003) 

  26. Choi H, Park SK, Kim MH, Lee ES. Human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food for safety management systems. The Annual Report of KFDA, Korea 14: 115-11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